지하철 ‘몰카’ 범죄 1분기대비 4.8배 증가

지하철 ‘몰카’ 범죄 1분기대비 4.8배 증가

입력 2012-07-12 00:00
수정 2012-07-12 08:50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1.2분기 총건수는 작년 동기대비 감소

몰래카메라로 여성의 신체 부위를 촬영하는 지하철 성범죄 발생률이 대폭 증가한 것으로 12일 확인됐다.

서울지방경찰청 지하철경찰대가 이날 공개한 ‘2012년 상반기 지하철 성범죄 현황’ 자료에 따르면 전동차나 역사 계단 등에서 적발한 ‘몰카’ 적발 건수가 1분기 32건에서 2분기 186건으로 4.8배 증가했다.

신체 접촉과 촬영을 포함한 2분기 지하철 성범죄 전체 발생 건수는 338건으로 1분기 127건보다 1.66배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1·2분기를 모두 합친 상반기 총 발생건수는 작년 동기 대비 33.4% 감소했다.

노선별로는 2호선이 189건으로 가장 많았고 1호선(118건), 4호선(53건)이 뒤를 이었다.

시간대별로는 출근시간인 오전 8-10시와 퇴근시간인 오후 6-8시에 각각 120건, 107건으로 전체 발생의 48.8%를 차지했다.

장소별로는 전동차가 235건으로 절반을 차지했고, 역 구내 181건(38.9%), 승강장 45건(9.7%) 순으로 나타났다.

요일별 발생률을 보면 금요일, 수요일, 목요일이 각각 19.8%, 19.6%, 18.7% 순으로 높은 반면 주말인 토요일과 일요일은 각각 9.5%, 3.4%로 낮은 수준을 보였다.

자료가 공개된 이날 여성가족부, 지하철 경찰대, 서울메트로는 서울역 등 주요 16개 역에서 성추행 예방 홍보 캠페인을 벌였다.

캠페인에 참여한 관계 부처 직원 110명은 성추행 범죄에 대한 대처와 신고 방법을 알리는 홍보 전단과 호신용 호루라기 등을 시민에게 배포했다.

여성부 측은 “대부분 여성이 피해를 봐도 주변 시선이나 수치심 때문에 바로 구조 요청을 하는 데 어려움을 겪는다”며 “이번 캠페인이 적극적인 대처와 신고 분위기 확산에 기여하기를 바란다”고 전했다.

한편, 지하철경찰대는 오는 16일부터 9월30일까지를 ‘성추행 특별예방·검거기간’으로 정했다.

연합뉴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5
“도수치료 보장 안됩니다” 실손보험 개편안, 의료비 절감 해법인가 재산권 침해인가
정부가 실손의료보험 개편을 본격 추진하면서 보험료 인상과 의료비 통제 문제를 둘러싼 논란이 확산되고 있다. 비급여 진료비 관리 강화와 5세대 실손보험 도입을 핵심으로 한 개편안은 과잉 의료 이용을 막고 보험 시스템의 지속 가능성을 확보하기 위한 조치로 평가된다. 하지만 의료계와 시민사회를 중심으로 국민 재산권 침해와 의료 선택권 제한을 우려하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과잉진료를 막아 전체 보험가입자의 보험료를 절감할 수 있다.
기존보험 가입자의 재산권을 침해한 처사다.
1 / 5
1 / 3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