처절한 쇳덩이 문명의 응어리…작가 김종구, 세월을 깎아 He- Story를 담다

처절한 쇳덩이 문명의 응어리…작가 김종구, 세월을 깎아 He- Story를 담다

입력 2011-11-26 00:00
수정 2011-11-26 00:00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14

새달 18일까지 종로구 가회동서 ‘더 볼’展

“제 작품에 히스토리(History)가 있어요.”라더니 아닌 게 아니라 히스토리(He-story)이긴 하다. 서울대 미대 조소과를 나와 쇳덩어리를 깎았다. 흙이나 나무, 돌처럼 조각에 흔히 쓰이는 재료는 피했다. 깎기는 훨씬 어려웠지만 만들어 두면 남다른 느낌이 나서 쇠가 좋았다. 말 그대로 “열심히, 죽어라” 깎아댔다. 1993년 첫 개인전 때는 3년 동안 깎아댄 작품 30여점을 선보였다.

그러다 1996년 영국 전시 중 일이 터졌다. 야외 전시작품 3개를 도둑맞은 것. 무한정 큰 쇳덩이를 다룰 수는 없으니 300㎏짜리 쇠봉을 재료로 썼는데, 길고 좁직하다 보니 뽑아서 몰래 들고 가기 딱 좋았던 모양이다. “보험금 덕분에 외환 위기가 몰아쳤음에도 남은 영국 체류 기간 돈 걱정 없이 편하게 살긴 했지만….” 찝찝한 기분은 내내 목에 걸렸다.

이미지 확대
‘더 볼’ 연작
‘더 볼’ 연작
●작품 도둑맞고 흔적으로 남은 쇳가루 120㎏ 밑천

영국에서 구한 작업실은 반지하의 폐쇄된 공간. 쇠를 갈다 보니 소음과 먼지가 보통이 아니었다. 이웃 주민들에게 쫓겨나지 않기 위해 가장 폐쇄적인 공간을 골랐다. 보일러실과 함께 쓰면서 아주 작은 철문 한짝만 나 있는 곳을 찾았다. 그렇게 몇 달간 작업했는데 작품은 사라지고 갈아낸 쇳가루만 남았다. 놀면 뭐하나. 3일 동안 자석으로 분류했다. 쇳가루 산과 먼지 산, 2개의 산이 탄생했다. 그 쇳가루로 바닥에 글씨나 그림을 그려보기 시작했다. 그 쇳가루 120㎏이 지금까지의 작업 밑천이다.

12월 18일까지 서울 종로구 가회동 원앤제이갤러리에서 ‘더 볼’(The Ball) 전시를 여는 김종구(48) 작가 얘기다. 해서 전시장에 들어서면 쇳가루로 만든 작품들이 즐비하다.

1층에는 벽면을 가득 채운 설치작업이 보인다. 아니, 그림 작업이기도 하다. 캔버스 혹은 천 위에 쇳가루를 마치 물감처럼 썼기 때문이다. 그림과 글자를 그려 둔 뒤 접착제로 고정했지만 시간이 지나면서 녹슬고 흘러내렸다. 그림과 글자는 뭉개져서 알아보기 어렵다.

“저건 2004년부터 시작해 올해 완성한 겁니다. 7년간 제작이란 게 어떤 의미냐면, 녹슬고 뭉개지고 또 가루가 바닥에 떨어지는 것까지 모두 작품이란 뜻입니다. 바닥에 놓고 그린 뒤 세우니 쇳가루가 우수수 떨어지더군요. 그러면서 제 속의 응어리가 한꺼번에 씻겨 내려가는 것 같았어요. 그 느낌 때문에 지금에서야 완성됐다고 말하는 겁니다.”

이미지 확대
김종구
김종구
●쇳덩이 갈다가 검지손가락 한 마디 잃어

여기엔 히스토리가 하나 더 있다. 2003년 미국 뉴욕에 머물 기회를 잡았다. 정부 지원은 원활하지 않았고 그 덕에 묵직한 쇳덩이를 조수와 단둘이서 다루는 날들이 이어졌다. 그러다 사고로 오른손 검지손가락 한 마디를 잃었다. ‘풀렸다는 응어리’는 그때의 충격을 말한다.

2층의 ‘더 볼’ 연작도 같은 생각 위에 서 있다. 쇳가루로 글씨를 쓴 뒤 그걸 다시 이리저리 하나로 뭉쳐 사진으로 찍었다. “하고 싶은 말, 들었던 생각이 하나로 뭉쳐진 팽팽한 느낌, 그게 너무 좋아서 시작한 겁니다. 뭔가 말이 터져나올 것만 같은 그 느낌 말이죠.”

2층 ‘침묵의 방’에는 아무것도 없이 텅 빈 공간에 쇳가루 글자가 돋아 있다. “벽에서부터 불거져 나오는 말의 원초적 힘 같은 걸 보여주고 싶었다.”는 설명이다.

지금 꿈꾸고 있는 프로젝트도 쇳가루를 이용한 그라인딩 프로젝트다. “그때 가져온 120㎏ 쇳가루를 거의 다 써가거든요.” 농담과 달리 그는 철이 문명이라는 점에 착안했다. “문명의 도구를 쇳조각으로 만든 뒤 그걸 다 갈아내는 퍼포먼스를 선보이는 거죠. 시작은 삽, 곡괭이, 삼지창 같은 원시적 도구였는데 궁극적으로 탱크를 한번 갈아보고 싶습니다.”

그 육중하고 무거운 탱크를? “철이 문명인데, 무기로도 쓰이잖아요. 현대 문명에 대한 경고? 뭐 그런 걸 해보고 싶어요.” 탱크를 내주는 곳이 있으려나.

●녹슬어 흘러내리면 그 또한 7년을 담은 작품

“전 세계 전쟁 현장 가운데 한곳을 찾아가는 거죠. 거기서 전투 중에 파괴된 탱크를 하나 허가받는 겁니다. 그러고는 화이트큐브처럼 소음과 먼지를 완전히 차단하는 집을 덮어씌우고, 제가 그 안에 들어가 갈아버리는 거죠. 동영상으로 남겨 두고 쇳가루도 고스란히 남겨 둘 겁니다. 그 자체가 현대문명이 일으킨 전쟁에 대한 하나의 기념비가 되는 거지요.”

가능할까 싶은데 작가는 이 대목에서 목소리를 높였다. “사실 이 작업 구상은 오래된 거고요, US스틸 같은 해외철강업체에서 돕겠다는 얘길 해요. 그런데 한국 작가가 왜 포스코를 놔두고 외국 지원을 받습니까. 포스코가 답을 안 해요. 가령 이라크 전쟁 지역 한가운데서 작업하면 얼마나 이슈가 되겠습니까.” 그대로 써도 되겠냐 했더니 “얼마든지 쓰라.” 했다고 한다.

그래도 조각인데 뭔가 형체가 있는 작품이 있어야 하는 거 아니냐, 죄다 쇳가루면 대체 뭘 보라는 거냐는 질문에 대답이 걸작이다. “쇳가루 작품들 뒤에 숨어 있는 거죠. 쇳가루 작품들 너머 어딘가에 잃어버린 채로.” 쇳가루 범벅 현대문명 속에서 우리는 무엇을 잃어버렸을까. (02)745-1644.

조태성기자 cho1904@seoul.co.kr
2011-11-26 16면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남북 2국가론’ 당신의 생각은?
임종석 전 대통령실 비서실장이 최근 ‘남북통일을 유보하고 2개 국가를 수용하자’는 내용의 ‘남북 2국가론’을 제안해 정치권과 학계에서 갑론을박이 이어지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반헌법적 발상이다
논의할 필요가 있다
잘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