잭 골드스톤 저서 ‘왜 유럽인가’ 대항해시대 급속 번영 허실 지적
유럽이 지금처럼 강해진 것은 19세기 중반, 혹은 일러야 18세기쯤이라는 주장이 나왔다. 유럽의 배가 전 세계 바다를 누비기 시작한 15세기 대항해 때부터라는 기존의 ‘상식’에 대한 도전이다. 오랜 역사적 배경을 바탕으로 500년 넘게 유럽의 우월성이 이어진 게 아니라 기껏해야 100~200년 남짓된 일이라는 주장이기도 하다. 그것도 우연한 기회에 거머쥔 성공이라고 잘라 말한다.아메리카대륙 발견에 쓰인 산타마리아호(앞쪽)는 명나라 정화함대 함선(뒷쪽)의 10분의 1 수준에 불과했다. 그러나 가난했던 유럽과 달리 풍족했던 중국은 슬그머니 대항해를 그만둬버렸다.
여기에는 두 가지 뜻이 숨겨져 있다. 하나는 유럽이 우월한 이유가 “세계 다른 지역 혹은 문명보다 더 낫다는 일반적인 우월성에 기초한 것이 아니다.”라는 의미다. 다른 하나는 “서양의 등장은 상대적으로 단기적이고 일시적 현상으로 끝날 수도 있다.”는 의미다. 곧 패권이 다시 아시아로 넘어갈 것이라는 얘기다.
이런 목소리를 처음 낸 이들은 좌파 학자들이었다. 1950년대 스탈린에게 실망한 서구 좌파들이 마오쩌둥에게 열광했듯 미 제국주의에 염증이 나 중국 제국주의를 대안으로 꼽으려는 움직임과 같은 맥락이다. 이들 가운데 일부는 보유한 국채를 팔아서 미국 중심의 경제 체제를 끝장내라고 은근히 중국을 부추기기까지 한다.
‘왜 유럽인가’(서해문집 펴냄)는 이 같은 주장에 동의하는 ‘캘리포니아 학파’ 가운데 한 명인 잭 골드스톤 미국 조지메이슨대 교수의 책이다. 중국더러 보유 국채를 이용해 미국을 굴복시키라는 대목에서는 엇갈리지만 유럽이 짧은 성공에 도취돼 ‘왕자병’에 걸렸다는 대목에는 견해를 같이한다.
골드스톤 교수는 왕자병의 한 예로 바스코 다가마를 든다. 유럽 사람들은 “바스코 다가마가 아프리카 최남단 희망봉을 돌아 인도 진출길을 찾아냈으며, 덕분에 대항해 시대가 열렸다.”고 주장한다. 우리도 대부분 그렇게 알고 있다. 하지만 그가 찾았다는 항로는 이미 현지 상인들이 수없이 다닌 길을 물어물어 찾아간 것에 지나지 않는다고 골드스톤 교수는 꼬집는다. 전인미답의 길을 홀로 개척한 게 아니라는 지적이다.
심지어 바스코 다가마 일행은 고생 끝에 도착한 곳에서 금세 쫓겨났다고 덧붙인다. 유럽이 워낙 낙후된 지역이다 보니 내놓을 만한 장사꺼리가 마땅찮아서였다. 쫓겨난 그들이 선택한 다음 카드는 군인들을 이끌고 와 무역선을 강탈한 것이었다.
그렇다면 유럽은 군사력만큼은 막강했던 것일까. 골드스톤 교수는 “다가마로서는 대단히 훌륭한 성과였겠으나” 아시아 입장에서 이런 일은 “변방 오지에서 일어난 이상한 사건 가운데 하나”였을 뿐이라고 본다. 그만큼 존재감이 없었다는 얘기다. 다시 말해 15세기 대항해 시대에 시작됐다는 유럽의 급격한 번영은 포장된 이미지일 뿐이라는 주장이다. 좀 더 정확한 진실은 “아시아를 중심으로 이미 활발하게 움직이고 있던 대양무역 네트워크에 유럽이 서쪽 끝에서 참여하게 되었다는 표지” 정도에 불과했다는 게 책의 결론이다.
유럽이 내세우는 과학문명에 대해서도 저자는 “16~17세기 유럽의 과학은 9~15세기 이슬람 과학을 물려받은 것”이라면서 “근대과학의 뿌리는 본질적으로 유럽적이 아니라 전 지구적”이라고 지적한다.
골드스톤 교수는 “유럽이 세계의 대세를 잡기 시작한 것은 어쩌다 그렇게 된 우연일 뿐”이라고 단언한다. 몇 번의 우연이 겹치다 보니 필연으로 작동하게 되고, 그 필연 몇 가지가 모여 19세기 중반 급기야 유럽이 아시아를 따라잡고 ‘역전’에 성공할 수 있었다는 설명이다.
조태성기자 cho1904@seoul.co.kr
2011-09-14 22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