막사발 도예가 김종문
지난 17일 서울 종로구 관훈동 더케이갤러리에서 만난 막사발 도예가 김용문(56)은 분주했다. ‘2011 막걸리 막사발전’ 개막을 맞아 특별한 손님을 모셨기 때문이다. 바로 터키 하제테페대 도예과 교수들이다.
막사발 세계화를 위해 뛰었던 김용문은 지난해 가을 하제테페대 도예과 교수로 초빙됐다 만난 교수들, 가르친 제자들을 이끌고 들어온 것이다. 이게 끝이 아니다. 터키 전문가들이 빚어낸 막사발을 22일까지 경기 오산시 궐동에서 열리는 ‘2011 오산 막사발 축제’에 내놓는다.
9월에는 중국 산둥성 치박시에서 열리는 ‘치박 막사발 콘퍼런스 2011’에 참여한다. 10월에는 다시 터키로 돌아가 앙카라에서 ‘막사발 장작가마 심포지엄 2011’을 연다. 심포지엄을 위해 하제테페대 안에 한국식 전통 장작가마까지 만들어뒀다.
막사발 실크로드는 터키 진출과 함께 스스로 내건 구호다. 그런데 터키에도 우리같은 막사발이 있을까. “똑같은 건 없어요. 다만 모스크(사원) 안쪽과 바깥쪽을 모두 타일로 장식할 만큼 (타일을 굽는) 가마문화는 발달했더군요. 그런데 직접 가 보니 또 달라요. 앙카라에 있는 숱한 박물관들을 둘러봤는데 옹관이나 물을 담아두는 자라병 같은 것은 우리 것과 똑같더군요. 그걸 보고 아하 전통적으로 우리와 무언가 끈이 닿아있구나 했지요.”
터키 사람들도 막사발이 가진 미학을 이해할까. “아주 좋아합니다. 이번에 나온 작품들을 봐도 알 수 있어요. 조형적인 면에 대해서는 금방 이해하고 받아들이는데 물레질만큼은 적응하는 데 시간이 좀 걸릴 것 같아요.
막사발 고르는 법을 물었다. 두 가지를 들었다. “딱 들었을 때 무게중심이 밑이 아니라 가운데 있어야 합니다. 그래야 들기 좋고 모양새도 좋습니다. 또 거칠고 투박하긴 하지만, 입에 닿는 부분은 보드랍고 두툼하게 만들어져 있어야 합니다. 먹는 기능을 외면하면 안 되지요.”
전시는 지하 1층과 2층 두 곳으로 나눠 열린다. 지하 1층에서는 일상생활에서 쓸 수 있는 막사발도 판매한다. 2층에는 터키 작가들이 막사발 기법으로 빚은 작품들을 선보인다. (02)764-1389.
조태성기자 cho1904@seoul.co.kr
2011-08-20 17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