월하 김달진(1907~1989) 선생의 문학 세계를 기리는 김달진문학상이 어느덧 22회를 맞았다. 올해 수상자로는 시 부문에 오세영, 평론 부문에 최현식이 각각 선정됐다. 상금은 각각 2000만원. 심사위원단은 자신의 문학 세계를 경계 짓지 않은 채 삶과 세계를 유기적으로 관조하고 아우르면서 이뤄낸 두 사람의 성취에 주목했다. 3일 오후 서울 안암동 고려대 국제관에서 수상 기념 시 낭송회가 열렸다. 그곳에서 수상자들을 만났다.
◆ 시 부문 오세영
“가능하면 말을 줄이고 이미지로 메시지 전달”
시(詩)는 시인이 겪어온 삶 자체다. 시가 아닌 다른 것으로 자신의 삶을 언죽번죽 풀어내기란 참 겸연쩍은 일이다. 그러나 이 명제는 노()시인 오세영(69)에게 이르면 조금 달라진다. 그의 삶은 사진 한 장만으로도 곧이곧대로 드러난다. 네 살의 오세영(왼쪽)과 예순아홉 살의 오세영(오른쪽)은 놀랍도록 똑같다. 굳이 다른 점을 꼽는다면 네 살에는 오히려 짓지 않은 동심(童心)의 미소를 일흔 목전에 품고 있다는 정도다.
오세영의 시를 읽으면 확신은 더욱 굳어진다. 그의 시는 언뜻 동시를 닮았다. 무람없이 노래되는 시어들은 순수함과 동심 안에서 질펀하게 한바탕을 펼친다. 물론 그렇다고 그의 자리를 ‘순수의 서정시인’ 즈음으로만 못 박아둠은 그의 다양한 면모를 놓치는 일이다.
시인에게 제22회 김달진문학상을 안겨준 열아홉 번째 시집은 최근 나온 ‘밤 하늘의 바둑판’(서정시학 펴냄)이다. 관조 속에 깨달음이, 깨달음 속에 자연과 사람, 사물이 함께임을 보여주는 오세영 시 미학의 결정판이다. 삶과 사회, 자연, 우주의 관계에 대한 관조 너머에 동심이 있음은 드러내지 않아도 번연하다.
‘지구는 우주의 거대한 사파리’(‘마사히 마라’ 중)라거나 ‘구름은/ 하늘 유리창을 닦는 걸레’(‘구름’ 중), ‘하늘은 항상 미끄러운 빙판길’(‘팽이’ 중) 등의 비유는 아이의 눈높이에 머문 듯하면서도 시인의 눈이 일상의 소소함과 우주의 광대무변함이 만나는 지점에 머물고 있음을 단적으로 드러낸다. 하나 순수의 시선이라고 세상의 참담함을 외면하거나 삶의 진실 바깥에 머문 채 박제화될 일은 없다. ‘비정규직’은 거리에 나뒹구는 일회용 종이컵에서 길거리로 내몰린 비정규직 노동자의 모습을 불러낸다. ‘…커피 한 모금 훌쩍 빨아 마시고 내팽개친/ 그 새하얀 순정’이라는 안타까운 시선과 함께 ‘깨지면 칼날이 되는/ 유리병과는 다르다’라고 노래했다. 시인의 눈에 비친 비정규직 노동자들은 절박한 저항의 몸짓을 외치건만 세상은 위협조차 느끼지 않을 정도로 그들은 무기력한 존재다.
시상식장에서 만난 오세영은 “가능하면 말을 줄이고 이미지를 중심으로 하되 단순한 그림이 아니라 메시지를 담아보고자 했다.”면서 “이미지와 메시지가 상충한다고 생각하곤 하는데 단순히 사물을 묘사하는 식이 아니라 사물의 내면에 있는 진실을 드러내는 작업을 진행하고 싶었다.”고 말했다.
심사위원들은 “오세영 시인이 보여온 자본주의의 반생태적 경향에 대한 성찰은 물론, 생태적 상상력의 시적 성취도에 주목했다.”면서 “그는 전통적 서정시의 혈통을 고집하면서도 궁극적으로 사회 속에서 인간의 고귀함과 존엄성을 일깨우려는 시적 실천을 지향하고 있다.”고 선정 배경을 설명했다.
박록삼기자 youngtan@seoul.co.kr
◆ 평론 부문 최현식
“서정주에서 진은영까지 세대 아우른 비평 할 것”
“미당 서정주에서 진은영, 김민정 등에 이르기까지 아래위 세대 시인들을 모두 아우르는 비평을 하고 싶습니다. 물론 새로운 목소리와 실험적 형식에도 주목해야겠죠.”
평론가인 최현식(44) 경상대 국문과 교수는 미당 서정주를 연구하는 대표적 소장학자 중 하나다. 연세대 석·박사 논문을 모두 미당에 대해 썼다. 1997년 조선일보 신춘문예로 등단한 뒤 세 권의 평론집을 내는 동안에도 미당에 대한 연구를 놓지 않았다. 공간으로서 만주 땅이 미당에게 미친 의미를 비롯해 미당이 왜 ‘천지유정’, ‘안 잊히는 일’ 등 유독 자서전을 반복해서 펴냈는지 등에 대해 연구했다. 학술적 측면의 접근과 문학비평적 접근을 혼재시킨 셈이다.
수상작은 지난 4월 펴낸 평론집 ‘시는 매일매일’(문학과지성 펴냄)이다. 진은영의 시집 ‘우리는 매일매일’(문학과지성 펴냄)에서 제목을 빌려와 살짝 비틀었다. 진은영은 자신의 시집 표제작에서 ‘우리는 너무 오래 생각했다/ 틀린 것을 말하기 위해/ 열쇠 잃은 흑단상자 속 어둠을 흔든다’고 남겼다.
이에 대해 최 교수는 “‘우리는 매일매일’ 다음에 명사형이건 형용사형이건 동사형이건 뭔가 서술어가 와야 하고, 또 올 수 있다는 점에 주목했고, 자연스럽게 ‘우리는’ 자리에 ‘시는’을 넣어보게 됐다.”면서 “다양성을 포괄하고 다양한 음역을 주목한다는 측면에서 젊은 시인이나 중견 시인, 특정 시인이 아니라 폭넓게 보겠다는 의미”라고 설명했다.
평론집의 백미는 조금은 느릿한 문체 속에 한국 현대시의 흐름을 일괄하는 1부에 있다. ‘추보(醜甫)씨의 비가 혹은 연가’, ‘노동의 시, 시의 노동’ 등은 각각 서정주에서 김혜순, 이민하까지, 또한 임화에서 백무산, 송경동에 이르기까지 시의 현재를 짚고 내일을 전망한다. 아울러 황동규, 마종기 등 원로 시인의 시 세계를 조망하고, 허수경, 정끝별, 채호기, 정호승, 김기택, 박라연, 차창룡, 장석남 등의 개별 시집들이 현실과 어떻게 마주하고 있는지 애정 있게 들여다본다.
심사위원들은 “시가 터져 나오면서 겪는 만큼의 고통스러운 글쓰기가 팽팽한 긴장으로 비평집을 채우고 있다.”(정현기 연세대 명예교수), “시를 새롭게 보려는 시도가 강하게 느껴지는 평문들, 기왕에 보기 힘들었던 낯선 목소리를 가진 비평”(김선학 동국대 교수), “무엇보다 눈길을 끄는 것은 시를 대하는 따뜻한 마음”(이숭원 서울여대 교수)이라고 평가했다.
최 교수는 “최근 평론도 소설과 시의 영역으로 나뉘어 전문화되는 추세”라면서 “여러 평론상 중 김달진문학상이 시론(詩論)을 대상으로 하는 유일한 상인 만큼 시 평론을 하는 사람으로서 수상의 의미가 남다르다.”고 말했다.
박록삼기자 youngtan@seoul.co.kr
◆ 시 부문 오세영
“가능하면 말을 줄이고 이미지로 메시지 전달”
시(詩)는 시인이 겪어온 삶 자체다. 시가 아닌 다른 것으로 자신의 삶을 언죽번죽 풀어내기란 참 겸연쩍은 일이다. 그러나 이 명제는 노()시인 오세영(69)에게 이르면 조금 달라진다. 그의 삶은 사진 한 장만으로도 곧이곧대로 드러난다. 네 살의 오세영(왼쪽)과 예순아홉 살의 오세영(오른쪽)은 놀랍도록 똑같다. 굳이 다른 점을 꼽는다면 네 살에는 오히려 짓지 않은 동심(童心)의 미소를 일흔 목전에 품고 있다는 정도다.
오세영 시인
오세영의 시를 읽으면 확신은 더욱 굳어진다. 그의 시는 언뜻 동시를 닮았다. 무람없이 노래되는 시어들은 순수함과 동심 안에서 질펀하게 한바탕을 펼친다. 물론 그렇다고 그의 자리를 ‘순수의 서정시인’ 즈음으로만 못 박아둠은 그의 다양한 면모를 놓치는 일이다.
시인에게 제22회 김달진문학상을 안겨준 열아홉 번째 시집은 최근 나온 ‘밤 하늘의 바둑판’(서정시학 펴냄)이다. 관조 속에 깨달음이, 깨달음 속에 자연과 사람, 사물이 함께임을 보여주는 오세영 시 미학의 결정판이다. 삶과 사회, 자연, 우주의 관계에 대한 관조 너머에 동심이 있음은 드러내지 않아도 번연하다.
‘지구는 우주의 거대한 사파리’(‘마사히 마라’ 중)라거나 ‘구름은/ 하늘 유리창을 닦는 걸레’(‘구름’ 중), ‘하늘은 항상 미끄러운 빙판길’(‘팽이’ 중) 등의 비유는 아이의 눈높이에 머문 듯하면서도 시인의 눈이 일상의 소소함과 우주의 광대무변함이 만나는 지점에 머물고 있음을 단적으로 드러낸다. 하나 순수의 시선이라고 세상의 참담함을 외면하거나 삶의 진실 바깥에 머문 채 박제화될 일은 없다. ‘비정규직’은 거리에 나뒹구는 일회용 종이컵에서 길거리로 내몰린 비정규직 노동자의 모습을 불러낸다. ‘…커피 한 모금 훌쩍 빨아 마시고 내팽개친/ 그 새하얀 순정’이라는 안타까운 시선과 함께 ‘깨지면 칼날이 되는/ 유리병과는 다르다’라고 노래했다. 시인의 눈에 비친 비정규직 노동자들은 절박한 저항의 몸짓을 외치건만 세상은 위협조차 느끼지 않을 정도로 그들은 무기력한 존재다.
시상식장에서 만난 오세영은 “가능하면 말을 줄이고 이미지를 중심으로 하되 단순한 그림이 아니라 메시지를 담아보고자 했다.”면서 “이미지와 메시지가 상충한다고 생각하곤 하는데 단순히 사물을 묘사하는 식이 아니라 사물의 내면에 있는 진실을 드러내는 작업을 진행하고 싶었다.”고 말했다.
심사위원들은 “오세영 시인이 보여온 자본주의의 반생태적 경향에 대한 성찰은 물론, 생태적 상상력의 시적 성취도에 주목했다.”면서 “그는 전통적 서정시의 혈통을 고집하면서도 궁극적으로 사회 속에서 인간의 고귀함과 존엄성을 일깨우려는 시적 실천을 지향하고 있다.”고 선정 배경을 설명했다.
박록삼기자 youngtan@seoul.co.kr
◆ 평론 부문 최현식
“서정주에서 진은영까지 세대 아우른 비평 할 것”
“미당 서정주에서 진은영, 김민정 등에 이르기까지 아래위 세대 시인들을 모두 아우르는 비평을 하고 싶습니다. 물론 새로운 목소리와 실험적 형식에도 주목해야겠죠.”
최현식 평론가
평론가인 최현식(44) 경상대 국문과 교수는 미당 서정주를 연구하는 대표적 소장학자 중 하나다. 연세대 석·박사 논문을 모두 미당에 대해 썼다. 1997년 조선일보 신춘문예로 등단한 뒤 세 권의 평론집을 내는 동안에도 미당에 대한 연구를 놓지 않았다. 공간으로서 만주 땅이 미당에게 미친 의미를 비롯해 미당이 왜 ‘천지유정’, ‘안 잊히는 일’ 등 유독 자서전을 반복해서 펴냈는지 등에 대해 연구했다. 학술적 측면의 접근과 문학비평적 접근을 혼재시킨 셈이다.
수상작은 지난 4월 펴낸 평론집 ‘시는 매일매일’(문학과지성 펴냄)이다. 진은영의 시집 ‘우리는 매일매일’(문학과지성 펴냄)에서 제목을 빌려와 살짝 비틀었다. 진은영은 자신의 시집 표제작에서 ‘우리는 너무 오래 생각했다/ 틀린 것을 말하기 위해/ 열쇠 잃은 흑단상자 속 어둠을 흔든다’고 남겼다.
이에 대해 최 교수는 “‘우리는 매일매일’ 다음에 명사형이건 형용사형이건 동사형이건 뭔가 서술어가 와야 하고, 또 올 수 있다는 점에 주목했고, 자연스럽게 ‘우리는’ 자리에 ‘시는’을 넣어보게 됐다.”면서 “다양성을 포괄하고 다양한 음역을 주목한다는 측면에서 젊은 시인이나 중견 시인, 특정 시인이 아니라 폭넓게 보겠다는 의미”라고 설명했다.
평론집의 백미는 조금은 느릿한 문체 속에 한국 현대시의 흐름을 일괄하는 1부에 있다. ‘추보(醜甫)씨의 비가 혹은 연가’, ‘노동의 시, 시의 노동’ 등은 각각 서정주에서 김혜순, 이민하까지, 또한 임화에서 백무산, 송경동에 이르기까지 시의 현재를 짚고 내일을 전망한다. 아울러 황동규, 마종기 등 원로 시인의 시 세계를 조망하고, 허수경, 정끝별, 채호기, 정호승, 김기택, 박라연, 차창룡, 장석남 등의 개별 시집들이 현실과 어떻게 마주하고 있는지 애정 있게 들여다본다.
심사위원들은 “시가 터져 나오면서 겪는 만큼의 고통스러운 글쓰기가 팽팽한 긴장으로 비평집을 채우고 있다.”(정현기 연세대 명예교수), “시를 새롭게 보려는 시도가 강하게 느껴지는 평문들, 기왕에 보기 힘들었던 낯선 목소리를 가진 비평”(김선학 동국대 교수), “무엇보다 눈길을 끄는 것은 시를 대하는 따뜻한 마음”(이숭원 서울여대 교수)이라고 평가했다.
최 교수는 “최근 평론도 소설과 시의 영역으로 나뉘어 전문화되는 추세”라면서 “여러 평론상 중 김달진문학상이 시론(詩論)을 대상으로 하는 유일한 상인 만큼 시 평론을 하는 사람으로서 수상의 의미가 남다르다.”고 말했다.
박록삼기자 youngtan@seoul.co.kr
2011-06-04 19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