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종현 등 한국작가 10명 프라하비엔날레 참가

하종현 등 한국작가 10명 프라하비엔날레 참가

입력 2009-04-21 00:00
수정 2009-04-21 00:00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우물 안에 갇혀 있던 한국 작가들이 해외로 진출하는 길이 계속 확장되고 있다.

이미지 확대
원로작가 하종현 작품.
원로작가 하종현 작품.
오는 5월14일부터 7월26일까지 개최되는 제4회 프라하비엔날레에 원로작가 하종현을 비롯해 사진작가 정연두, 한국화가 이길우, 서양화가 이기봉 함경아 김리가 등 작가 10명이 참가하게 됐다.

이번 전시 주제는 ‘차원의 전환-한국의 새로운 평면미술’로 체코 프라하의 칼린 홀에서 열린다.

이번 전시를 공동기획한 이원일 스위스은행 BSI문화재단 큐레이터는 20일 기자간담회를 갖고 “프라하비엔날레는 4회에 불과하지만, 베네치아비엔날레(6월7일 개막)와 스위스 바젤아트페어(6월 초 개막)가 개최되는 시기와 맞물리는 만큼 세계적인 컬렉터와 화상들이 출품하는 한국 작가들에게 기회가 될 것”이라면서 “특히 유럽에서 이름 있는 미술잡지인 플래시 아트사가 주최하는 비엔날레인 만큼 유럽에 한국작가들과 작품이 기사로 실리는 것은 물론 도록까지 널리 알려지게 될 것”이라고 말했다.

이 큐레이터는 “중국 일본 작가들은 유럽 큐레이터들이 관심을 갖고 선발된다. 반면 국내 작가들은 소외되고 있는데 한국 출신 큐레이터로서 한국 작가들에게 기회를 주고 싶었다.”고 말했다. 그는 한국 작가들의 작품 수준이 절대 떨어지지 않기 때문에 그의 작업을 단순한 애국심으로 이해해서는 안 된다고도 설명했다.

문소영기자 symun@seoul.co.kr
2009-04-21 19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5
전과자의 배달업계 취업제한 시행령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강력범죄자의 배달원 취업을 제한하는 내용의 시행령 개정안이 의결된 가운데 강도 전과가 있는 한 배달원이 온라인 커뮤니티에 “속죄하며 살고 있는데 취업까지 제한 시키는 이런 시행령은 과한 ‘낙인’이다”라며 억울함을 호소했다.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전과자의 취업을 제한하는 이런 시행령은 과하다
사용자의 안전을 위한 조치로 보아야 한다.
1 / 5
1 / 3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