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곡리 선사유적을 발굴한 주역의 한 사람인 배기동 한양대 문화인류학과 교수는 운정1지구의 몇몇 지점에도 발굴조사 지도위원으로 참여했다.배 교수는 “이곳에서 나온 주먹도끼는 한탄강의 전곡리 유적과 임진강의 장파리 유적의 그것과 맥을 같이한다.”면서 “하지만 다수의 발굴조사기관이 참여하는 바람에 운정1지구의 전모는 아직 알 수 없다.”고 조심스럽게 평가했다.
한국박물관협회 회장을 맡고 있는 배 교수는 “교하신도시처럼 거대한 개발사업부지에는 훌륭한 유적이나 유물이 나오지 않았더라도 박물관 하나쯤은 반드시 필요한 것 아니냐.”고 반문하면서 “교하신도시에도 계획단계에서부터 문화공간부지가 많이 들어있는 만큼 ‘운정구석기박물관’같은 특수 박물관으로 하나쯤 용도를 바꾸는 것은 어렵지 않을 것”이라고 전망했다.
배 교수는 그러나 “대한주택공사나 한국토지공사,지방자치단체같은 공공성 있는 기관들은 신도시를 개발하면서 박물관을 세울 뜻이 있어도 운영 과정에 어려움을 들어 망설이곤 하는 것도 사실”이라면서 “사업 시행기관도 그렇고 박물관을 요구하는 쪽도 그렇고 규모를 너무 크게 하려고 욕심을 부리지 말아야 한다.”고 조언했다.
그는 “처음 박물관을 지을 때 100억원의 예산이 가능하다면 50억원만 건물을 짓는 데 쓰고,나머지 50억원은 운영기금화하여 영구적으로 재원조달이 될 수 있도록 규모를 적정화하는 것이 좋다.”면서 “또 공공기관이 대학 연구소와 공동으로 운영하면 인건비 등 운영비도 적게 들고 운영도 효율적으로 할 수 있을 것”이라고 충고했다.
박록삼기자 youngtan@seoul.co.kr
한국박물관협회 회장을 맡고 있는 배 교수는 “교하신도시처럼 거대한 개발사업부지에는 훌륭한 유적이나 유물이 나오지 않았더라도 박물관 하나쯤은 반드시 필요한 것 아니냐.”고 반문하면서 “교하신도시에도 계획단계에서부터 문화공간부지가 많이 들어있는 만큼 ‘운정구석기박물관’같은 특수 박물관으로 하나쯤 용도를 바꾸는 것은 어렵지 않을 것”이라고 전망했다.
배 교수는 그러나 “대한주택공사나 한국토지공사,지방자치단체같은 공공성 있는 기관들은 신도시를 개발하면서 박물관을 세울 뜻이 있어도 운영 과정에 어려움을 들어 망설이곤 하는 것도 사실”이라면서 “사업 시행기관도 그렇고 박물관을 요구하는 쪽도 그렇고 규모를 너무 크게 하려고 욕심을 부리지 말아야 한다.”고 조언했다.
그는 “처음 박물관을 지을 때 100억원의 예산이 가능하다면 50억원만 건물을 짓는 데 쓰고,나머지 50억원은 운영기금화하여 영구적으로 재원조달이 될 수 있도록 규모를 적정화하는 것이 좋다.”면서 “또 공공기관이 대학 연구소와 공동으로 운영하면 인건비 등 운영비도 적게 들고 운영도 효율적으로 할 수 있을 것”이라고 충고했다.
박록삼기자 youngtan@seoul.co.kr
2008-12-25 22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