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명의 실낱같은 빛을 감지해 새벽을 깨우는 닭은 분명 ‘희망’의 상징이다. 닭은 또 예전부터 우리 민간신앙에서 서쪽을 지키는 방위신이자 오후 5∼7시를 가리키는 시간신으로서 역할을 했고, 액을 쫓고 복을 부르는 동물로도 인식됐다.
을유년, 닭띠해를 맞아 이처럼 우리 인간과 밀접한 관계를 맺으며 살아온 ‘닭’의 상징과 의미를 유물을 통해 살펴보는 전시가 마련된다. 새해 1월1일부터 2월28일까지 국립민속박물관 기획전시실에서 열리는 ‘새날을 밝히는 닭’ 특별전이 그것.1,2,3부로 나누어 전시한다.
1부 ‘서쪽지킴이’는 특정 시간과 방위에서 사악한 기운을 물리치는 역할을 한 닭의 다양한 모습을 보여주는 자리. 닭조각상, 십이지번 닭, 청동십이지무늬거울 등 시간신, 방향신으로서의 닭 관련 유물을 볼 수 있다. 특히 ‘닭 조각상’은 십이지동물 관련 고분 출토품의 백미로 평가되는 유물로 뛰어난 조형성을 보여준다.
2부 ‘복을 부르는 동물’에선 변상벽의 ‘계도’, 닭과 맨드라미가 그려진 장승업의 ‘화조십이지병풍-닭’, 닭을 새겨넣은 ‘종이 이층 농’,‘수저집’ 등 액을 쫓고 복을 불러들이는 길상동물로서의 닭 관련 유물이 대부분이다.
이중 ‘계도’는 고양이와 닭 그림을 특히 잘 그린 조선 후기의 화원(畵員) 변상벽의 작품으로 닭 그림 중 가장 빼어난 기교를 보여주는 걸작이다.
3부에선 울음으로써 광명을 비춰주는 닭의 모습을 살펴보는 자리다. 어둠 속에 떠오는 광명의 빛을 가장 먼저 알고 힘찬 울음으로 맞이하는 닭은 신라 김알지 탄생설화 속에서 상서로움을 인간에게 전달하는 신령한 존재로서 등장한다. 광명을 밝히는 닭 관련 유물로서 김알지의 탄생설화를 묘사한 ‘금궤도’, 종묘제례에 쓰이는 제기(祭器)로 닭이 새겨진 계이(鷄), 닭모양 연적, 닭머리 등잔 등을 구경할 수 있다.
전시기간 중 닭띠생은 생년월일을 확인할 수 있는 신분증을 지참하면 박물관에 무료로 입장할 수 있다. 관람문의 (02)3704-3152.
임창용기자 sdragon@seoul.co.kr
을유년, 닭띠해를 맞아 이처럼 우리 인간과 밀접한 관계를 맺으며 살아온 ‘닭’의 상징과 의미를 유물을 통해 살펴보는 전시가 마련된다. 새해 1월1일부터 2월28일까지 국립민속박물관 기획전시실에서 열리는 ‘새날을 밝히는 닭’ 특별전이 그것.1,2,3부로 나누어 전시한다.
1부 ‘서쪽지킴이’는 특정 시간과 방위에서 사악한 기운을 물리치는 역할을 한 닭의 다양한 모습을 보여주는 자리. 닭조각상, 십이지번 닭, 청동십이지무늬거울 등 시간신, 방향신으로서의 닭 관련 유물을 볼 수 있다. 특히 ‘닭 조각상’은 십이지동물 관련 고분 출토품의 백미로 평가되는 유물로 뛰어난 조형성을 보여준다.
2부 ‘복을 부르는 동물’에선 변상벽의 ‘계도’, 닭과 맨드라미가 그려진 장승업의 ‘화조십이지병풍-닭’, 닭을 새겨넣은 ‘종이 이층 농’,‘수저집’ 등 액을 쫓고 복을 불러들이는 길상동물로서의 닭 관련 유물이 대부분이다.
이중 ‘계도’는 고양이와 닭 그림을 특히 잘 그린 조선 후기의 화원(畵員) 변상벽의 작품으로 닭 그림 중 가장 빼어난 기교를 보여주는 걸작이다.
3부에선 울음으로써 광명을 비춰주는 닭의 모습을 살펴보는 자리다. 어둠 속에 떠오는 광명의 빛을 가장 먼저 알고 힘찬 울음으로 맞이하는 닭은 신라 김알지 탄생설화 속에서 상서로움을 인간에게 전달하는 신령한 존재로서 등장한다. 광명을 밝히는 닭 관련 유물로서 김알지의 탄생설화를 묘사한 ‘금궤도’, 종묘제례에 쓰이는 제기(祭器)로 닭이 새겨진 계이(鷄), 닭모양 연적, 닭머리 등잔 등을 구경할 수 있다.
전시기간 중 닭띠생은 생년월일을 확인할 수 있는 신분증을 지참하면 박물관에 무료로 입장할 수 있다. 관람문의 (02)3704-3152.
임창용기자 sdragon@seoul.co.kr
2004-12-31 39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