쿠데타 거치며 테러 일상화
이집트에서 발생한 한국인 관광객 폭탄 테러는 ‘미완의 혁명’으로 끝난 이집트 정치와 전략적 요충지인 시나이반도의 지역적 특성 때문에 발생했다고 분석할 수 있다.이집트의 치안이 급격히 불안해진 것은 2011년 ‘아랍의 봄’으로 불리던 시민 봉기 때였다. 호스니 무바라크 대통령의 30년 철권통치가 끝나자 탄압받던 이슬람 세력이 정치적 자유를 확보했고, 이 틈을 이용해 테러단체들도 활동 공간을 넓혔다. 특히 온건 이슬람운동단체인 무슬림형제단 소속 무함마드 무르시가 2012년 대선에서 정권을 차지하고, 곧바로 1년 뒤 군부 쿠데타에 의해 축출되면서 이집트 정부는 치안 능력을 상실했다.
무슬림형제단은 테러단체가 자신들이 집권한 후에도 테러를 일삼자 소탕에 나섰다. 그러자 테러분자들은 군부 쪽으로 붙었다. 군부는 무르시 대통령이 이슬람주의자들을 대거 석방하고, 테러에 연루됐던 인물을 룩소르 주지사로 임명하자 대대적인 반격에 나섰다. 결국 무슬림형제단은 고립됐고, 정권을 내줬다. 재집권에 성공한 군부가 무슬림형제단과 테러단체 모두를 응징하자 이슬람 세력 전체가 과격화 양상을 띠고 있는 형세다.
이창구 기자 window2@seoul.co.kr
김민석 기자 shiho@seoul.co.kr
2014-02-18 5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