日紙, 당시 주일 외교관 인터뷰
1993년 일본군 위안부 동원의 강제성을 인정한 고노 담화 작성 당시 주일 한국대사관에서 역사 문제를 담당한 조세영(전 외교통상부 동북아시아 국장) 동서대 특임교수가 17일 산케이신문과의 인터뷰에서 “일본이 먼저 ‘내밀히 논의했으면 좋겠다’고 요청해 왔다”고 밝혔다.조 특임교수는 “당시 한국 정부는 담화에 대해 ‘강제성(의 인증)은 필요하다’면서도 조사 내용은 ‘구체적으로는 일본 측이 스스로의 판단으로 발표해야 한다’는 입장이었다. 한국 외교부에서 ‘일본과 담화 문안 협상은 하지 않는다’고 씌어진 지시도 있었다”고 당시 한국의 입장을 전했다.
이어 자신이 입회한 자리에서 일본의 한 고위 당국자가 “일본 측이 결정하기를 바라는 마음은 안다. 나중에 조율한 사실이 밝혀지면 여론의 비판을 받을 우려가 있다는 걱정도 알지만 내밀하게 의논하고 싶다”고 밝혔다고 전했다. 조 특임교수는 “이 고위 인사가 ‘뒤에서 한국에 책임을 전가할 생각은 없다’고 했으며, 한국이 상담에 응한 계기는 일본의 요청이었다”고 강조했다.
산케이신문은 이를 근거로 고노 담화 발표 시 일본 정부가 ‘한국과 사전 조정을 하지 않았다’고 한 것과 달리 양국 정부가 담화의 문구와 표현까지 ‘면밀하게 조율했다’는 사실이 드러났다고 주장했다. 앞서 지난 14일 교도통신은 고노 담화의 초안 작성 과정에서 한국 정부 당국자가 일부 표현에 대해 수정을 요구하고 일본이 여기에 응했다고 보도한 바 있다.
조 특임교수는 산케이신문 인터뷰 내용과 관련해 서울신문과의 전화통화에서 “고노 담화 검증팀의 보고서가 나오면 그것을 보고 얘기하겠다”며 말을 아꼈다.
한편 노광일 외교부 대변인은 이날 정례 브리핑에서 “고노 담화는 일본 측의 자체적인 조사와 판단을 기초로 일본의 입장을 담아 발표된 문건”이라면서 “공동 성명이나 합의 문서와는 다르다. 이는 타국과의 사전 조율이나 합의가 필요한 문건이 아니라는 점을 분명히 하고자 한다”고 밝혔다.
도쿄 김민희 특파원 haru@seoul.co.kr
서울 안동환 기자 ipsofacto@seoul.co.kr
2014-06-18 2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