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해 세계 성장률 1.7% ‘30년새 최악’…선진국·신흥국 다 깎였다

올해 세계 성장률 1.7% ‘30년새 최악’…선진국·신흥국 다 깎였다

김현이 기자
김현이 기자
입력 2023-01-11 16:51
업데이트 2023-01-11 16:51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세계은행, 작년 6월 전망보다 1.3%포인트 낮춰

로이터 연합뉴스
로이터 연합뉴스
세계은행(WB)이 고물가와 고금리, 투자 위축,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 등을 이유로 올해 세계 경제성장률 전망치를 큰 폭으로 끌어내렸다.

세계은행은 10일(현지시간) 발표한 2023 세계경제전망 보고서에서 올해 세계 경제성장률을 1.7%로 제시했다. 이는 지난해 6월 전망치인 3.0% 대비 거의 ‘반 토막’ 난 것이다.

글로벌 금융위기 여파로 침체를 겪은 2009년과 코로나19 확산 시점인 2020년을 제외한 지난 30년 새 가장 낮은 성장률이다. 내년 세계 경제성장률은 2.7%로 전망했다.

세계은행은 “세계경제가 침체에 빠질 위험이 매우 클 정도로 세계 성장이 둔화했다”고 경고했다. 특히 “취약한 경제 상황을 고려할 때 예상보다 높은 인플레이션, 이를 억제하기 위한 급격한 금리 인상, 코로나19 팬데믹 재확산, 지정학적 긴장 고조와 같은 새로운 사건들이 세계 경제를 침체에 빠뜨릴 수 있다“고 덧붙였다.

권역별로는 선진국(미국·유로존·일본)의 경제성장률이 지난해 2.5%에서 올해 0.5%로 크게 둔화할 것으로 내다봤다.

미국의 성장률은 1970년 이후 가장 낮은 0.5%로 전망됐고 유로존 성장률은 정체(0%)가 예상됐다. 일본은 1.0% 성장으로 나타났다.
중국 저장성 퉁루현의 한 병원에서 환자들이 링거를 맞고 있다. 로이터 연합뉴스
중국 저장성 퉁루현의 한 병원에서 환자들이 링거를 맞고 있다. 로이터 연합뉴스
지난해 성장률 2.7%를 기록한 중국은 4.3% 성장하며 경기 회복 국면에 접어들 것으로 예상했다. 다만 코로나19 확산과 외부 수요 약화를 반영해 지난해 6월에 내놨던 전망보다는 수치를 0.9% 포인트 낮췄다.

중국을 제외한 신흥국과 개발도상국의 성장률은 지난해 3.8%에서 올해 2.7%로 둔화할 것으로 봤다. 고물가, 통화 가치 하락, 자금 조달 여건 악화를 비롯한 대내외 수요 약화 요인들이 반영됐다.

코로나19 팬데믹의 여파로 내년 말까지 신흥국과 개도국의 국내총생산(GDP) 수준은 당초 예상했던 것보다 약 6% 낮아질 것으로 예상됐다.

신흥국과 개도국에 대한 투자도 둔화될 전망이다. 이 지역 투자 증가율은 2022~2024년 평균 3.5%로, 지난 20년간 수치의 절반에도 미치지 못할 것이란 평가다.

세계 극빈층의 60%가 집중된 사하라 사막 이남 아프리카 지역의 성장률은 3.6%로 전망됐다. 다만 이 지역의 1인당 소득 증가율은 내년까지 평균 1.2%에 그칠 것으로 예상돼 오히려 빈곤율이 증가할 것이란 분석이다.

데이비드 맬패스 세계은행 총재는 “선진국이 높은 수준의 금리 인상으로 전 세계 자본을 빨아들이고 있고 신흥국과 개도국은 막대한 채무 부담과 투자 위축으로 수년간 저성장에 직면했다”고 말했다.
김현이 기자
많이 본 뉴스
공무원 인기 시들해진 까닭은? 
한때 ‘신의 직장’이라는 말까지 나왔던 공무원의 인기가 식어가고 있습니다. 올해 9급 공채 경쟁률은 21.8대1로 32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습니다. 공무원 인기가 하락한 이유는 무엇일까요?
낮은 임금
경직된 조직 문화
민원인 횡포
높은 업무 강도
미흡한 성과 보상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