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일(현지시간) 블룸버그통신에 따르면 제레미아 마넬레 솔로몬제도 외교부 장관은 뉴질랜드에서 가진 기자회견에서 “협정문 초안에 자국이 불편하게 생각하는 문구가 담겨 반대 입장을 표명해 왔다”며 최종 협정문에서 이를 빼야 한다고 말했다.
마넬레 장관은 현 협정문에 “우리가 어느 한쪽을 편 들 수밖에 없게 만드는 문구들이 들어 있다”며 “우리는 한쪽을 편들어야 하는 입장에 놓이고 싶지 않다”고 밝혔다. 그 문구가 중국을 언급한 것이냐는 질문에 그는 “간접적으로 (그렇다)”라고 밝혀며 “인도·태평양은 평화롭게 협력하고 상호 제휴하는 지역이 돼야 한다”고 강조했다.
앞서 조 바이든 미 행정부는 지난달 30일 14개 태평양 도서 국가들과 협정을 맺었다고 발표했다. 해양 안보와 기후 변화, 경제 협력을 증진한다는 내용을 담고 있다. 바이든 행정부가 중국의 영향력을 약화시키는데 성공한 사례로 평가된다고 통신은 전했다.
솔로몬제도는 호주 북동쪽에서 약 2000㎞ 떨어진 곳에 있는 섬나라로 인구는 70만명 정도다. 남태평양 국가 가운데 최빈국에 속한다. 대만과 30년 넘게 수교해 온 솔로몬제도는 2019년 마나세 소가바레 총리의 단독 결정으로 중국과 새 외교 관계를 맺었다. ‘차이나 머니’를 가져와 빈사 상태인 자국 경제를 일으켜 보겠다는 심산이었다. 그러나 국민적 합의 없이 이뤄진 단교 결정에 지방 정부들이 반발했고 지난해 11월에는 수도 호니아라에서 폭동이 일어나 차이나 타운이 불탔다.
앞서 솔로몬제도는 올해 4월 중국과 안보협정을 체결했다고 발표해 남태평양 맹주인 미국과 호주를 충격에 빠뜨렸다. 협정에는 중국 함정이 솔로몬제도에서 물류 보급을 받을 수 있도록 하는 내용이 포함된 것으로 알려졌다. 지난해 9월 호주가 오커스(미국·영국·호주) 출범을 통해 중국에 대한 견제를 공식화하자 중국도 이에 맞서 솔로몬 제도에 군사적 발판을 마련했다는 분석이 나온다. ‘장군멍군’인 셈이다.
이에 호주가 소가바레 총리에 고위급 인사를 보내 “협정을 철회하라”고 요구했지만 받아들여지지 않았다. 이처럼 솔로몬제도가 중국과 빠르게 밀착하는 행보를 보이자 토니 블링컨 미국 국무부 장관은 올해 2월 “솔로몬제도에 29년만에 대사관을 다시 개설하겠다”며 달래기 방침을 밝히기도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