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쑤성 창저우에 사는 천옌은 친척 20명과 하얼빈 관광을 떠났습니다. 일행은 지난 9일 저녁 하얼빈 베이안 어촌의 한 식당으로 철갑상어회를 먹으러 갔습니다. 철갑상어는 1근(500g)에 398위안(약 7만 5000원)이었습니다. 큰 맘 먹고 10근을 시켜 먹은 뒤 계산을 하려는데 음식값이 무려 1만 위안(약 187만원)이나 나왔습니다. 말싸움은 몸싸움으로 번졌고 경찰까지 출동했습니다.
여행에서 돌아온 천옌은 웨이보(미니 블로그)에 “여행 사기를 조심하라”는 글을 올렸습니다. “저울로 잴 때는 10근이었는데, 계산서에는 14근으로 돼 있었다. 가이드가 일방적으로 그 식당으로 데려갔다. 경찰이 경찰서로 끌고 가려고 해서 어쩔 수 없이 계산했다”는 내용입니다. 글이 퍼지자 해당 식당은 물론 하얼빈 관광지 전역이 뭇매를 맞았습니다. 식당 주인과 경찰은 “주문할 때는 말이 없다가 술에 취해 행패를 부렸다. 경찰이 중재해 1만 위안을 7000위안으로 깎아 줬다”고 반박하고 있습니다.
주목할 점은 이 ‘사소한’ 논란을 관영 매체들이 대대적으로 보도한다는 것입니다. 신화통신은 두 번씩이나 논평을 냈고, 인민일보도 장문의 논평을 실었습니다. 바이두와 텅쉰 등 대형 포털사이트는 연일 이 기사를 ‘대문’에 걸어 놓습니다. 논조는 한결같습니다. “단순한 싸움이 아니다. 중국 여행·서비스업을 개혁하고 강화해야 한다”는 것입니다. 신화통신은 “서비스업의 공급 측 개혁이 필요한 이유를 잘 보여 준 사건”이라며 시진핑(習近平) 국가주석의 ‘공급 측 개혁론’과 연결시켰습니다.
인민일보는 한발 더 나아갔습니다. “차를 타면 자고, 차가 멈추면 화장실에 가고, 차에서 내리면 사진 찍는 게 국내 관광의 현실이다. 이러니 한국과 일본으로 돈을 쓰러 나가는 것”이라고 비판했습니다. 지난해 중국인이 해외 명품 소비에 쓴 돈은 1168억 달러(약 141조원)로 전 세계 명품 판매액의 절반을 차지했습니다. 경기 침체에 직면한 중국은 내수에서 돌파구를 찾고 있습니다. 해외에서 돈을 펑펑 쓰는 유커들의 지갑을 단속하고 자국 서비스업을 발전시키겠다는 겁니다. 작은 어촌에서 벌어진 회값 바가지 논란을 서비스업 개혁의 화두로 확장시킨 중국의 의도가 예사롭지 않아 보입니다.
베이징 이창구 특파원 window2@seoul.co.kr
2016-02-18 17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