中, 2차 보복관세 시행…미중 관세전쟁 본격화

中, 2차 보복관세 시행…미중 관세전쟁 본격화

류지영 기자
류지영 기자
입력 2025-03-10 23:34
수정 2025-03-10 23:34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이미지 확대
중국 최대 연례 정치행사인 양회(전국인민대표대회·중국인민정치협상회의) 중 하나인 중인민정치협상회의(정협)이 10일 폐막했다. 베이징 신화 뉴시스
중국 최대 연례 정치행사인 양회(전국인민대표대회·중국인민정치협상회의) 중 하나인 중인민정치협상회의(정협)이 10일 폐막했다. 베이징 신화 뉴시스


중국이 도널드 트럼프 미국 행정부의 ‘10+10%’ 관세 인상에 맞서 10일 0시(현지시간)부터 미국산 농·축산물을 대상으로 ‘2차 보복 관세’ 부과에 돌입했다. 앞으로 트럼프 대통령이 중국을 겨냥해 추가 관세를 매길 가능성이 큰 만큼 양국 간 분쟁이 확대될 전망이다.

앞서 중국 국무원 관세세칙위원회는 미국의 두 번째 10% 관세 인상이 단행된 지난 4일 공고를 통해 “10일부터 미국산 수수와 대두, 닭고기, 밀, 옥수수, 면화 등에 대해 10~15% 보복 관세를 매긴다”고 발표했다.트럼프 2기 관세전쟁은 미국이 ‘좀비 마약’으로 불리는 펜타닐 문제를 이유로 지난달 4일부터 중국산 수입품에 10% 관세를 추가 부과하면서 시작됐다. 중국이 “우리는 해외로 펜타닐을 수출하지 않는다. 더 할 수 있는 조치가 없다”고 맞서자 미국은 이달 4일부터 10% 관세를 추가로 매기고 있다.

앞서 중국은 지난달 미국발 1차 관세 인상에 맞서 미국산 석탄과 액화천연가스(LNG)에 15%, 원유·농기계·픽업트럭에 10% 보복관세를 물린다고 발표했다. 이날 관세 인상으로 중국의 보복 대상이 미 농·축산물로 넓어졌다. 트럼프 대통령의 핵심 지지층인 농어민을 겨냥한 맞춤형 보복 조치다.

트럼프 대통령이 후보 시절부터 ‘60% 대(對)중국 관세’를 공언했고 중국도 순순히 물러설 의사가 없어 보이는 만큼 양국 간 갈등이 더 커질 수 있다는 우려가 나온다.

다만 중국은 미국을 강하게 비난하면서도 대화의 문은 열어뒀다. 지난 6일 왕원타오 중국 상무부장은 “양국은 적당한 시기에 만날 수 있고 조속히 소통할 수 있다”고 말했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2 / 5
AI의 생성이미지는 창작인가 모방인가
오픈AI가 최근 출시한 ‘챗GPT-4o 이미지 제네레이션’ 모델이 폭발적인 인기를 끌면서 인공지능(AI)이 생성한 이미지의 저작권 침해 문제가 도마 위에 올랐다. 해당 모델은 특정 애니메이션 ‘화풍’을 자유롭게 적용한 결과물을 도출해내는 것이 큰 특징으로, 콘텐츠 원작자의 저작권을 어느 범위까지 보호해야 하는지에 대한 논쟁을 불러일으켰다.
1. AI가 학습을 통해 생성한 창작물이다
2. 저작권 침해 소지가 다분한 모방물이다.
2 / 5
2 / 3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