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영상부터 보자. https://www.youtube.com/shorts/25ohtjwg59U 제목은 ‘세계 최고의 쓰레기 폐기장’이다.
역겹다. 세계 최고봉 에베레스트(해발 고도 8848.86m)를 오르겠다는 꿈과 야망, 열정은 알겠는데 그 높은 곳에 저렇게 온갖 쓰레기들을 버리고 하산하는 이들의 양식을 어떻게 받아들여야 할까, 고개가 절로 저어진다.
최근 레딧 닷컴에 짤막한 이 동영상은 인류가 지구와 세상에 해악만 끼친다는 점을 새삼 절감하게 만든다.
다 쓴 산소통, 음식 용기, 버려진 텐트, 대소변까지 끔찍할 정도다.
한 사람이 이 산에 남기는 쓰레기는 18파운드 이상이다. 한 해 에베레스트에서 수거되는 쓰레기 량은 5400㎏에 이른다. 이는 네팔 쿰부 히말라야 에 사는 이들의 건강을 위험에 빠뜨린다. 산행객들이 본 대소변은 토양에 그대로 스며들어 주민들이 마시는 식수를 오염시킨다. 콜레라와 A형 간염 등을 유발시킨다.
지구 온난화로 얼음 녹는 속도가 빨라져 과거 몇년 동안 등반가들이 남기고 떠난 쓰레기까지 아래로 떠내려오는 형국이다. 지금까지 대략 6000명 정도가 세계 최고봉을 등정했는데 갈수록 많은 인원이 등반 허가를 얻어 입산하는 형편이다. 나라 살림이 형편없는 네팔 정부는 이런 사정을 뻔히 알면서도 비싼 등반 허가를 내주고 나라 재정이나 주민들의 일자리 창출에 적지 않은 도움을 얻고 있다. 이에 따라 여러 캠프 주변은 쓰레기와 악취로 몸살을 앓고 있다.
네팔 정부는 등반가들에게 쓰레기 처리 비용으로 일인당 4000달러의 보증금을 맡기도록 해 문제를 해결하려 하지만 역부족이다. 그들은 보통 5만 달러에서 16만 달러까지 값비싼 등반 허가 비용을 치르기 때문에 상대적으로 얼마 안 되는 보증금을 되찾으려는 노력보다 그냥 가볍게 하산하는 쪽을 택하기 때문이다.
레딧 닷컴에 달린 댓글들을 보자.
“등산객과 장비의 무게를 달아 보증금 5000 달러를 맡기라 해라. 내려올 때 올라갈 때보다 10%라도 무게가 늘면 보증금을 반환해주는 거다. 만약 돌 같은 것을 넣어 사기를 치면 엄청난 벌금을 물려라. 그들이 산을 청소하게 하라.”
“등산객들이 더 많은 것을 갖고 내려오게 해야 한다. 10년 동안만 이렇게 하면 다 치워질 것이다.”
“역겹기만 하다! 우리가 자연을 돌보지 않는다는 얘기를 숱하게 하는데 바라건대 우리의 방식을 바꿔야 함께 살아갈 수 있다.”
역겹다. 세계 최고봉 에베레스트(해발 고도 8848.86m)를 오르겠다는 꿈과 야망, 열정은 알겠는데 그 높은 곳에 저렇게 온갖 쓰레기들을 버리고 하산하는 이들의 양식을 어떻게 받아들여야 할까, 고개가 절로 저어진다.
최근 레딧 닷컴에 짤막한 이 동영상은 인류가 지구와 세상에 해악만 끼친다는 점을 새삼 절감하게 만든다.
다 쓴 산소통, 음식 용기, 버려진 텐트, 대소변까지 끔찍할 정도다.
레딧 닷컴 동영상 캡처
지구 온난화로 얼음 녹는 속도가 빨라져 과거 몇년 동안 등반가들이 남기고 떠난 쓰레기까지 아래로 떠내려오는 형국이다. 지금까지 대략 6000명 정도가 세계 최고봉을 등정했는데 갈수록 많은 인원이 등반 허가를 얻어 입산하는 형편이다. 나라 살림이 형편없는 네팔 정부는 이런 사정을 뻔히 알면서도 비싼 등반 허가를 내주고 나라 재정이나 주민들의 일자리 창출에 적지 않은 도움을 얻고 있다. 이에 따라 여러 캠프 주변은 쓰레기와 악취로 몸살을 앓고 있다.
네팔 정부는 등반가들에게 쓰레기 처리 비용으로 일인당 4000달러의 보증금을 맡기도록 해 문제를 해결하려 하지만 역부족이다. 그들은 보통 5만 달러에서 16만 달러까지 값비싼 등반 허가 비용을 치르기 때문에 상대적으로 얼마 안 되는 보증금을 되찾으려는 노력보다 그냥 가볍게 하산하는 쪽을 택하기 때문이다.
레딧 닷컴에 달린 댓글들을 보자.
“등산객과 장비의 무게를 달아 보증금 5000 달러를 맡기라 해라. 내려올 때 올라갈 때보다 10%라도 무게가 늘면 보증금을 반환해주는 거다. 만약 돌 같은 것을 넣어 사기를 치면 엄청난 벌금을 물려라. 그들이 산을 청소하게 하라.”
“등산객들이 더 많은 것을 갖고 내려오게 해야 한다. 10년 동안만 이렇게 하면 다 치워질 것이다.”
“역겹기만 하다! 우리가 자연을 돌보지 않는다는 얘기를 숱하게 하는데 바라건대 우리의 방식을 바꿔야 함께 살아갈 수 있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