왕원빈 중국 외교부 대변인. 중국 외교부 제공
왕원빈 중국 외교부 대변인은 11일 정례 브리핑에서 “각국이 지켜야 할 국제규범은 유엔 헌장의 취지와 원칙에 입각한 국제관계의 기본준칙이라는 것이 국제사회 절대다수가 인정하는 사안”이라며 “그런데 G7은 유엔 헌장은 언급하지 않고 ‘민주국가 규칙에 기초한 국제질서’만 입에 달고 산다”고 지적했다. 왕 대변인은 “G7이 말하는 국제규범은 이념과 가치관으로 선을 긋는 서구의 규칙으로 ‘미국우선주의’이자 ‘소집단의 규칙’일 뿐”이라며 “이 규범은 소수국가의 기득권을 챙기기 위한 것이지 국제사회 공동의 이익이 아니다”라고 단언했다.
그는 “G7은 중국에 ‘국제규범을 지키라’고 요구하지만 정작 규칙을 어기고 파괴하는 이들은 바로 G7”이라며 “특히 미국은 유네스코와 파리기후협정 등 17개 국제기구 및 협정에서 탈퇴하고 전 세계를 상대로 무분별한 도·감청을 일삼았다. 아프가니스탄과 이라크, 시리아 등 약소국을 침략해 수천만명의 민간인이 죽거나 난민이 됐다. 미국이야말로 피고석에 앉아야 한다”고 일갈했다.
G7 정상들은 히로시마 정상회담을 통해 중국에 맞서 단결을 모색하고 있다. 앞서 중국은 센카쿠 열도 영유권을 두고 갈등을 빚던 일본에 희토류 광물 공급을 중단했고 코로나19 기원 조사를 요구한 호주에 무역 보복을 가했다. 한국에 사드(고고도미사일방어체계)가 배치되자 한한령(한류제한령)도 발동했다. 베이징의 이런 보복에 ‘각국이 공동 대응하자’는 분위기가 무르익고 있다. 파이낸셜타임스(FT)는 11일(현지시간) “그간 G7은 중국이 경제력을 활용해 개별 국가를 압박하는 상황을 집단적으로 저지할 방법을 찾지 못했다”며 “이에 일본 정부는 G7 공동 접근법을 만드는 아이디어를 내놨다”고 밝혔다. 지난해 리즈 트러스 당시 영국 총리도 ‘경제판 나토(북대서양조약기구)’ 구상을 통한 중국 포위 전략을 제안했다.
이런 상황에 대해 왕 대변인은 “미국과 일본 등 G7 국가들은 우선 수년째 밀린 유엔 회비부터 완납하고 시리아 내 주둔군을 철수하며 방사능 오염수 배출을 중단하라”며 “국제규칙을 내세워 자신들의 패권적 지위를 지키려는 행동을 중단할 것을 촉구한다”고 비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