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로나 입원환자 3분의1은 뇌질환…퇴원 후에도 일상 차질”

“코로나 입원환자 3분의1은 뇌질환…퇴원 후에도 일상 차질”

신진호 기자
신진호 기자
입력 2020-10-06 10:45
업데이트 2020-10-06 10:45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미국 병원 연구 결과…뇌질환 때 사망률 7배
집중력 저하·단기기억 상실·혼수상태 등 증상
요리·돈·계산 등 일상생활 활동 어려움 겪어


미국 코로나19 환자 중 3분의 1에서 뇌질환이 나타났으며, 이들의 사망률도 뇌질환이 없는 환자의 7배에 달한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미국 뉴욕타임스(NYT)에 따르면 시카고에 있는 노스웨스턴 메디슨 병원의 연구진은 3월 5일~4월 6일 코로나19 입원 환자 509명 중 거의 3분의 1에서 정신착란, 혼동, 무반응 같은 뇌질환이 나타났다고 밝혔다.

뇌질환을 겪는 코로나19 환자들의 입원 기간은 대조군(뇌질환이 없는 코로나19 환자들)의 3배에 달했다.

퇴원한 뒤에도 요리, 돈 계산 같은 일상생활이 가능한 비율이 뇌질환 그룹에서는 32%, 대조군에서는 89%로 나타났다.

특히 뇌질환 그룹이 사망에 이를 확률은 대조군의 7배에 달했다.

여기에서 말하는 질환이란 뇌와 관련한 정신적 질환을 통틀어서 가리킨다. 주의력 및 집중력 장애, 단기 기억상실, 혼미, 혼수상태 등이 포함된다.

연구진은 “뇌질환은 퇴원 후 일상을 돌보는 능력과 관련해 최악의 의료적 결과로 연결된다”고 분석했다.

이번 연구에서 이같이 뇌질환이 나타나는 원인은 규명되지 않았다.

이 연구 결과는 ‘임상·중개 신경학 연보’에 실렸다.

기존 연구에서도 코로나 바이러스가 뇌세포를 직접 공격한다는 증거는 거의 나오지 않았다. 다만 염증 및 면역체계 반응에 따라 뇌를 포함한 장기들이 손상되면서 신경에도 영향을 줄 가능성이 있다는 게 전문가들의 대체적인 분석이었다.

신진호 기자 sayho@seoul.co.kr
많이 본 뉴스
핵무장 논쟁,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에서 ‘독자 핵무장’과 관련해 다양한 의견이 나오고 있습니다. 러시아와 북한의 밀착에 대응하기 위해 핵무장이 필요하다는 의견과 평화와 경제에 악영향을 미칠 수 있어 반대한다는 의견이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독자 핵무장 찬성
독자 핵무장 반대
사회적 논의 필요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