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동안 주춤했던 원화 가치의 상대적 강세가 중국의 거듭된 금융완화 등을 계기로 점차 되살아나고 있다.
21일 국제금융시장과 금융투자업계에 따르면 달러화 대비 원화 가치는 올해 들어 1.091% 상승했다.
이는 블룸버그가 집계하는 세계 31개 주요 통화 중 러시아 루블화(17.947%), 스위스 프랑화(3.754%), 대만 달러화(2.116%)에 이어 네 번째로 높은 상승률이다.
이 중 루블화의 경우 러시아 경제제재의 여파로 가치가 지난 1월까지 절반 이하로 추락했다가 이후 일부 반등하는 과정의 일시적 변동 성격이 크다.
따라서 현 시점에서 원화는 전통적인 세계 최고의 안전통화로 꼽히는 스위스 프랑화 등과 함께 세계에서 가장 강세인 통화 중 하나로 볼 수 있다.
특히 수출시장에서 한국의 최대 경쟁국인 일본 엔화 대비 원화 가치는 지난 1년 전 100엔당 1,010엔대에서 이날 현재 900엔대로 약 11.5% 급등했다.
원·달러 환율은 작년 하반기 이후 달러 강세 속에 1,100원대로 상승했고, 지난달 중순에는 한국은행의 깜짝 기준금리 인하 영향 등으로 1,120원대까지 치솟았다.
그러나 지난달 무역수지 흑자가 83억9천200만 달러로 월간 최대 기록을 경신하는 등 경상수지 대규모 흑자 기조가 계속되면서 지난달 중순 이후 50원 이상 하락했다.
여기에 한국의 최대 교역국 중 하나인 중국 당국이 지난달 초 기준금리 인하 등 통화완화 조치를 잇따라 내놓으면서 원화의 상대적 강세를 더욱 부채질하고 있다.
전날에도 중국 인민은행이 시중은행의 지급준비율 1% 인하 조치를 시행한 여파로 서울 외환시장에서 원·달러 환율 종가는 달러당 1,079.2원으로 4.5원 내렸다.
이는 지난 1월 20일 이후 3개월 만에 최저치다.
문제는 이런 추세를 늦출 방법도 당장은 마땅히 없다는 점이다.
기준금리를 내린 지 한 달 밖에 지나지 않아 단기간에 추가 금리 인하가 나올 가능성은 희박하다.
게다가 최근 미국 재무부가 환율보고서에서 한국 정부에 외환시장 개입을 중단하라고 압박하는 등 안팎으로 통화당국의 운신의 폭이 좁아진 상태다.
이런 가운데 원화 가치의 상승세가 계속될 경우 당국의 부담이 한층 커질 것으로 보인다.
◇ 올해 가치 상승률 상위권 주요 통화
┌───┬────────┬────────┐
│ 순위 │ 통화 │ 상승률 │
├───┼────────┼────────┤
│ 1 │ 러시아 루블 │ 17.947% │
├───┼────────┼────────┤
│ 2 │ 스위스프랑 │ 3.754% │
├───┼────────┼────────┤
│ 3 │ 대만달러 │ 2.116% │
├───┼────────┼────────┤
│ 4 │ 한국 원 │ 1.091% │
├───┼────────┼────────┤
│ 5 │ 일본 엔 │ 0.564% │
├───┼────────┼────────┤
│ 6 │ 인도 루피 │ 0.410% │
├───┼────────┼────────┤
│ 7 │중국 원화(역내) │ 0.061% │
├───┼────────┼────────┤
│ 8 │ 홍콩달러 │ 0.058% │
├───┼────────┼────────┤
│ 9 │ 이스라엘 셰켈 │ -0.779% │
└───┴────────┴────────┘
※ 미국 달러 대비 상승률, 20일 기준
※ 상승률 10위 이하는 생략
(자료=블룸버그)
연합뉴스
21일 국제금융시장과 금융투자업계에 따르면 달러화 대비 원화 가치는 올해 들어 1.091% 상승했다.
이는 블룸버그가 집계하는 세계 31개 주요 통화 중 러시아 루블화(17.947%), 스위스 프랑화(3.754%), 대만 달러화(2.116%)에 이어 네 번째로 높은 상승률이다.
이 중 루블화의 경우 러시아 경제제재의 여파로 가치가 지난 1월까지 절반 이하로 추락했다가 이후 일부 반등하는 과정의 일시적 변동 성격이 크다.
따라서 현 시점에서 원화는 전통적인 세계 최고의 안전통화로 꼽히는 스위스 프랑화 등과 함께 세계에서 가장 강세인 통화 중 하나로 볼 수 있다.
특히 수출시장에서 한국의 최대 경쟁국인 일본 엔화 대비 원화 가치는 지난 1년 전 100엔당 1,010엔대에서 이날 현재 900엔대로 약 11.5% 급등했다.
원·달러 환율은 작년 하반기 이후 달러 강세 속에 1,100원대로 상승했고, 지난달 중순에는 한국은행의 깜짝 기준금리 인하 영향 등으로 1,120원대까지 치솟았다.
그러나 지난달 무역수지 흑자가 83억9천200만 달러로 월간 최대 기록을 경신하는 등 경상수지 대규모 흑자 기조가 계속되면서 지난달 중순 이후 50원 이상 하락했다.
여기에 한국의 최대 교역국 중 하나인 중국 당국이 지난달 초 기준금리 인하 등 통화완화 조치를 잇따라 내놓으면서 원화의 상대적 강세를 더욱 부채질하고 있다.
전날에도 중국 인민은행이 시중은행의 지급준비율 1% 인하 조치를 시행한 여파로 서울 외환시장에서 원·달러 환율 종가는 달러당 1,079.2원으로 4.5원 내렸다.
이는 지난 1월 20일 이후 3개월 만에 최저치다.
문제는 이런 추세를 늦출 방법도 당장은 마땅히 없다는 점이다.
기준금리를 내린 지 한 달 밖에 지나지 않아 단기간에 추가 금리 인하가 나올 가능성은 희박하다.
게다가 최근 미국 재무부가 환율보고서에서 한국 정부에 외환시장 개입을 중단하라고 압박하는 등 안팎으로 통화당국의 운신의 폭이 좁아진 상태다.
이런 가운데 원화 가치의 상승세가 계속될 경우 당국의 부담이 한층 커질 것으로 보인다.
◇ 올해 가치 상승률 상위권 주요 통화
┌───┬────────┬────────┐
│ 순위 │ 통화 │ 상승률 │
├───┼────────┼────────┤
│ 1 │ 러시아 루블 │ 17.947% │
├───┼────────┼────────┤
│ 2 │ 스위스프랑 │ 3.754% │
├───┼────────┼────────┤
│ 3 │ 대만달러 │ 2.116% │
├───┼────────┼────────┤
│ 4 │ 한국 원 │ 1.091% │
├───┼────────┼────────┤
│ 5 │ 일본 엔 │ 0.564% │
├───┼────────┼────────┤
│ 6 │ 인도 루피 │ 0.410% │
├───┼────────┼────────┤
│ 7 │중국 원화(역내) │ 0.061% │
├───┼────────┼────────┤
│ 8 │ 홍콩달러 │ 0.058% │
├───┼────────┼────────┤
│ 9 │ 이스라엘 셰켈 │ -0.779% │
└───┴────────┴────────┘
※ 미국 달러 대비 상승률, 20일 기준
※ 상승률 10위 이하는 생략
(자료=블룸버그)
연합뉴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