버클리大 “성적은 행복순”

버클리大 “성적은 행복순”

입력 2012-03-06 00:00
수정 2012-03-06 00:28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14

“아이 행복감, 뇌 잠재력 극대화”

눈을 번득이고 지켜보다 아이가 넘어질라치면 쏜살같이 달려가기, 아이가 ‘피아제의 인지발달 이론’에서 벗어날까 노심초사하기, 아이한테 숨겨진 재능이 있는지 파악하기, 중학생 자녀에게 축구·바이올린·발레 등 각종 ‘폼나는’ 취미 강요하기, 고교생 자녀에게 고급서적 독서 강요하기, 대학생 자녀를 위해 교수들에게 전화하기….

얼핏 보면 한국의 극성스러운 학부모들 행태 같지만, 사실은 현재 미국 학부모들의 정형화된 양육 방식이다. 자녀의 명문대 진학을 위해 철저한 규율과 주입식 교육을 불사하는 동양식 양육법이 미국 학부모 사이에 만연한 가운데 이제는 자녀의 행복을 중시하는 전통적인 미국식 양육법으로 돌아가야 한다는 목소리가 나오고 있다고 워싱턴포스트가 4일(현지시간) 보도했다. 실제 최근에는 ‘아이를 사랑하되 지나치게 부모의 삶을 희생하지 않는’ 프랑스식 양육법을 소개한 책 등이 인기를 끌고 있다.

신문에 따르면 요즘 미국 엄마들은 4분의3가량이 직장을 갖고 있음에도 1960년대 전업 주부보다 더 많은 시간을 자녀와 보내고 있으며, 전체 선진국 중에서도 자녀와 가장 많은 시간을 함께한다. 잠자는 시간을 줄이고 취미 활동을 포기하면서까지 자녀에게 ‘올인’한다는 것이다.

섀런 헤이스 남가주대 사회학 교수는 “지금 미국의 양육은 전문가의 지도를 중시하고, 돈이 많이 들고, 엄마가 도맡는다는 게 특징”이라면서 “전례가 없을 만큼 엄마의 역할이 중시되는 현상은 맞벌이 부부가 크게 늘어난 현상에 비하면 불가능한 역설”이라고 말했다. 미 농무부에 따르면 평균 양육비용은 1960년대만 해도 가계지출의 2%에 불과했지만, 지금은 17%로 집 모기지 렌트비에 이어 두 번째를 차지한다.

그렇다면 이렇게 희생과 극성을 쏟아부으면 자녀는 성공할까. 크리스틴 카터 UC버클리대 사회학 교수는 “아이가 좋은 대학을 나와 좋은 직업을 갖도록 하기 위해서는 더 많이 가르칠수록 좋다는 인식이 만연해 있다.”면서 “하지만 그렇게 대학을 간 학생 중 4분의1이 항우울제를 복용한다는 통계가 있다.”고 말했다.

그는 “양육의 목표는 성적이 아니라 행복이어야 하며, 부모는 자기 희생을 줄이고 완벽주의를 버리면서 현재를 즐겨야 한다.”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온 가족이 저녁 식사를 함께 하는 것과 같은 단순한 일부터 시작하라.”고 충고했다.

카터 교수는 “행복한 아이의 뇌는 확신·감사와 같은 긍정적 감정으로 가득 차면서 잠재력이 극대화된다는 연구 결과가 있다.”고 소개했다. 성공과 행복의 상관관계를 연구한 225개 논문을 분석한 결과 행복지수가 높은 사람이 결혼생활과 대인관계, 수입, 업무능률, 건강, 수명 등에서 더 좋은 ‘성적’을 냈다는 것이다. 그는 “성적은 행복을 보장해 주지 못하지만 행복은 성적을 향상시킬 수 있다.”고 지적했다.

워싱턴 김상연특파원 carlos@seoul.co.kr

2012-03-06 18면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남북 2국가론’ 당신의 생각은?
임종석 전 대통령실 비서실장이 최근 ‘남북통일을 유보하고 2개 국가를 수용하자’는 내용의 ‘남북 2국가론’을 제안해 정치권과 학계에서 갑론을박이 이어지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반헌법적 발상이다
논의할 필요가 있다
잘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