美 신용등급 강등 충격 정도는··· “투자자 공포감이 관건”

美 신용등급 강등 충격 정도는··· “투자자 공포감이 관건”

입력 2011-07-28 00:00
업데이트 2011-07-28 09:36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미국의 연방정부 부채상한 증액을 둘러싼 정치권 협상이 난항을 거듭하면서 디폴트(부채상환 불이행)와 함께 국가 신용등급 하향조정에 대한 우려가 커지고 있다.

 특히 막판 협상을 통해 디폴트 사태는 피하더라도 신용등급 강등은 불가피할 것이라는 관측이 점차 설득력을 얻으면서 이에 따른 ‘충격’이 어느 정도일지에 관심이 쏠리고 있다.

 이와 관련,미 공영라디오방송 NPR는 27일 “장기적 부채상환 능력에 대한 우려로 인해 미국의 국가 신용등급이 현재 최고수준인 ‘AAA’에서 ‘AA’ 혹은 ‘AA+’로 떨어질 가능성이 있지만 충격은 예상보다 크지 않을 수 있다”고 진단했다.

 미국 국채는 대부분 연기금 등 대형 기관투자자들이 보유하고 있는데,이들은 자체적으로 국채의 신용도를 평가하기 때문에 외부 신용평가사들의 분석에 크게 의존하지 않는다는 것이다.

 실제로 씨티그룹의 아미탭 어로라 연구원은 “미국의 신용등급 강등 확률은 50%”라면서도 “그러나 디폴트 사태 없이 신용등급만 내려간다면 국채 수익률에 큰 변화가 없을 것”이라고 내다봤다.

 이와 함께 신용등급은 주로 금융산업 규제나 금융기관의 내부정책 결정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인데,이런 차원에서 ‘AAA’와 ‘AA’는 현실적으로 큰 차이가 없다는 게 금융업계의 평가라는 것.

 이밖에 지난 2009년 일본의 국가 신용등급이 ‘AAA’에서 ‘AA’로 낮아졌을 때도 충격이 거의 없었고,1994년 캐나다도 같은 일을 당했지만 일시적으로 금리가 오른 후 즉시 원상 복구됐다는 ‘역사적 경험’도 이유로 지목됐다.

 그러나 NPR는 투자자들이 이를 어떻게 받아들이느냐에 따라 시장이 큰 충격을 받을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고 지적했다.

 즉,채권시장뿐 아니라 주식시장에서 신용등급 하향조정을 계기로 미국 경제 전반에 대한 투자자의 ‘공포감’이 커진다면 상황은 달라질 수 있다는 것이다.

 세계최대 채권펀드인 핌코의 모하메드 엘-에리언 수석 이코노미스트는 “신용등급 강등은 달러화 약세,금리 상승 등으로 연결될 수 있고 나아가 국가경제에 대한 신뢰 손상으로 이어진다”면서 “이는 성장 둔화,고용시장 불안 등 심각한 상황으로 해석될 수도 있다”고 경고했다.

 뉴욕타임스(NYT)도 이날 미국의 신용등급 강등 가능성과 관련,이로 인한 악영향이 디폴트보다는 덜 하겠지만,정부,기업,가계 등에 상당한 충격을 줄 것이라는 게 전문가들의 분석이라고 보도했다.

 연합뉴스
많이 본 뉴스
핵무장 논쟁,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에서 ‘독자 핵무장’과 관련해 다양한 의견이 나오고 있습니다. 러시아와 북한의 밀착에 대응하기 위해 핵무장이 필요하다는 의견과 평화와 경제에 악영향을 미칠 수 있어 반대한다는 의견이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독자 핵무장 찬성
독자 핵무장 반대
사회적 논의 필요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