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 동북부를 강타한 강진으로 원자력발전소가 폭발해 피폭자가 발생한 것으로 알려지면서 탄소배출 감축 방안으로 원전 건설을 추진하던 세계 각국의 계획이 역풍을 맞고 있다.
최근 지구온난화에 따른 환경문제가 국제적 이슈로 대두하면서 선진국은 물론 개발도상국들도 석유, 석탄 등 화석연료보다 온실가스 배출이 적은 원자력을 대안으로 주목해 왔으나 이번 사고가 이에 찬물을 끼얹은 셈이다.
그러나 각국 정부가 여전히 원전 안전성을 강조하고 있는데다 효율성이 높은 원전을 쉽게 포기하지는 못할 것이라는 의견도 만만치 않아 주목된다.
13일 세계원자력협회(WNA)에 따르면 현재 전 세계적으로 가동되고 있는 원전은 모두 442기로, 전체 전기공급량의 15%를 담당하고 있다.
특히 아시아 국가들을 중심으로 155기 이상의 원자로가 추가 건설될 계획으로, 현재 건설 중인 것만 65기에 달하는 등 전 세계적으로 원전 건설붐이 한창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번에 사고가 발생한 일본은 미국과 프랑스 다음으로 많은 54기의 원전을 보유하고 있으며, 이를 통해 전기공급량의 3분의 1을 충당하고 있다. 또 2개의 원자로가 추가 건설 중이고 13개가 계획돼 있다.
현재 13기의 원전을 가동하고 있는 중국도 27기를 추가 건설하고 있으며, 최대 원전국가인 미국도 기존 104기 이외에 민간업체들이 앞으로 21기를 추가 건설한다는 계획인 것으로 알려졌다.
또 재정난을 겪고 있는 일부 유럽 국가는 저렴한 비용으로 온실가스 의무 감축량을 달성하기 위해 기존 원전의 수명을 연장하려는 움직임을 보이고 있다.
그러나 일본 강진 여파로 후쿠시마(福島) 제1원자력발전소가 폭발하고 90여명이 피폭됐을 가능성까지 제기되자 독일과 이탈리아 등에서 원전에 반대하는 목소리가 높아지고 있다.
독일에서는 12일 수만명의 시위자들이 남서부 지역인 슈투트가르트에 모여 원전 가동 시한을 연장하려는 정부의 계획에 반대하는 집회를 열었다.
이들은 인근 원전에서 슈투트가르트까지 약 45㎞ 길이의 인간띠를 형성하고 ‘핵발전은 사양한다’라고 적힌 노란 깃발들을 흔들면서 정부 계획에 항의했다.
야당인 녹색당 지도부도 이날 성명을 통해 “후쿠시마 원전 사고는 일본처럼 선진 기술로 모든 상황을 대비한 국가에서도 핵발전은 통제 불가능한 것임을 보여준다”고 주장했다.
비난의 목소리가 높아지자 앙겔라 메르켈 총리는 자국의 원전이 안전하다는 점을 강조하면서 일본 원전사고에서 ‘배울 점’을 찾고 국내 원전의 안전상태도 검사하겠다며 사태 수습에 나섰다.
프랑스 정부도 원전 가동에 대한 국내 여론 악화를 우려하면서 진화에 나섰다. 에릭 베송 산업장관은 이날 후쿠시마 원전 사고와 관련해 원자력 산업 관계자들과 긴급 회동한 뒤 기자회견을 통해 “프랑스 원전들은 지진 및 홍수의 위험에 모두 견딜 수 있게 설계됐다”고 강조했다.
이탈리아의 여권도 이날 야권 공세를 견제하며 정부의 원전 가동 재개 계획을 적극적으로 두둔하고 나섰다.
집권 자유국민당(PDL) 소속 파브리치오 치치토 의원은 이날 하원에서 “(원전 가동을 재개한다는 정부의) 입장은 그대로”라면서 일본 원전 사고 때문에 원전 계획을 바꾸지는 않을 것이라고 못박았다.
그러나 이에 대해 야당인 ‘이탈리아의 가치’ 소속 펠리체 볼리사리오 의원은 “일본의 사고는 안전한 원자력이란 존재하지 않음을 보여준다”고 여당을 비난했다.
연합뉴스
최근 지구온난화에 따른 환경문제가 국제적 이슈로 대두하면서 선진국은 물론 개발도상국들도 석유, 석탄 등 화석연료보다 온실가스 배출이 적은 원자력을 대안으로 주목해 왔으나 이번 사고가 이에 찬물을 끼얹은 셈이다.
그러나 각국 정부가 여전히 원전 안전성을 강조하고 있는데다 효율성이 높은 원전을 쉽게 포기하지는 못할 것이라는 의견도 만만치 않아 주목된다.
13일 세계원자력협회(WNA)에 따르면 현재 전 세계적으로 가동되고 있는 원전은 모두 442기로, 전체 전기공급량의 15%를 담당하고 있다.
특히 아시아 국가들을 중심으로 155기 이상의 원자로가 추가 건설될 계획으로, 현재 건설 중인 것만 65기에 달하는 등 전 세계적으로 원전 건설붐이 한창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번에 사고가 발생한 일본은 미국과 프랑스 다음으로 많은 54기의 원전을 보유하고 있으며, 이를 통해 전기공급량의 3분의 1을 충당하고 있다. 또 2개의 원자로가 추가 건설 중이고 13개가 계획돼 있다.
현재 13기의 원전을 가동하고 있는 중국도 27기를 추가 건설하고 있으며, 최대 원전국가인 미국도 기존 104기 이외에 민간업체들이 앞으로 21기를 추가 건설한다는 계획인 것으로 알려졌다.
또 재정난을 겪고 있는 일부 유럽 국가는 저렴한 비용으로 온실가스 의무 감축량을 달성하기 위해 기존 원전의 수명을 연장하려는 움직임을 보이고 있다.
그러나 일본 강진 여파로 후쿠시마(福島) 제1원자력발전소가 폭발하고 90여명이 피폭됐을 가능성까지 제기되자 독일과 이탈리아 등에서 원전에 반대하는 목소리가 높아지고 있다.
독일에서는 12일 수만명의 시위자들이 남서부 지역인 슈투트가르트에 모여 원전 가동 시한을 연장하려는 정부의 계획에 반대하는 집회를 열었다.
이들은 인근 원전에서 슈투트가르트까지 약 45㎞ 길이의 인간띠를 형성하고 ‘핵발전은 사양한다’라고 적힌 노란 깃발들을 흔들면서 정부 계획에 항의했다.
야당인 녹색당 지도부도 이날 성명을 통해 “후쿠시마 원전 사고는 일본처럼 선진 기술로 모든 상황을 대비한 국가에서도 핵발전은 통제 불가능한 것임을 보여준다”고 주장했다.
비난의 목소리가 높아지자 앙겔라 메르켈 총리는 자국의 원전이 안전하다는 점을 강조하면서 일본 원전사고에서 ‘배울 점’을 찾고 국내 원전의 안전상태도 검사하겠다며 사태 수습에 나섰다.
프랑스 정부도 원전 가동에 대한 국내 여론 악화를 우려하면서 진화에 나섰다. 에릭 베송 산업장관은 이날 후쿠시마 원전 사고와 관련해 원자력 산업 관계자들과 긴급 회동한 뒤 기자회견을 통해 “프랑스 원전들은 지진 및 홍수의 위험에 모두 견딜 수 있게 설계됐다”고 강조했다.
이탈리아의 여권도 이날 야권 공세를 견제하며 정부의 원전 가동 재개 계획을 적극적으로 두둔하고 나섰다.
집권 자유국민당(PDL) 소속 파브리치오 치치토 의원은 이날 하원에서 “(원전 가동을 재개한다는 정부의) 입장은 그대로”라면서 일본 원전 사고 때문에 원전 계획을 바꾸지는 않을 것이라고 못박았다.
그러나 이에 대해 야당인 ‘이탈리아의 가치’ 소속 펠리체 볼리사리오 의원은 “일본의 사고는 안전한 원자력이란 존재하지 않음을 보여준다”고 여당을 비난했다.
연합뉴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