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엔 “키르기스 피란민 최소 40만”

유엔 “키르기스 피란민 최소 40만”

입력 2010-06-18 00:00
수정 2010-06-18 01:28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키르기스스탄의 유혈 민족분규는 일단 소강 상태에 들어섰지만 집을 떠난 우즈베크계 피란민이 40만명에 이르는 등 난민들의 대규모 인도적 재난 우려속에 긴장이 지속되고 있다. 40만명이 유혈 사태속에 외지로 피란하거나 국경을 넘은 것으로 추산되고 있다.

유혈 사태 8일째인 17일(현지시간) 분규 진원지인 오슈시는 장갑차를 동원한 군인들에 의해 통제되고 있다고 AP통신 등 외신이 전했다. 키르기스 정부 측은 현재 공식적인 사상자와 관련해 사망 191명, 부상 2000여명이라고 내놓으면서도 사망자가 적어도 200명 이상 될 것으로 추산하고 있다. 우즈베크계 공동체 측은 “우즈베크계 주민 사망자만 300명이 넘었다.”고 주장했다.

유엔 인도지원조정국의 엘리자베스 바이어스 대변인은 이날 “유엔의 집계 결과 최소 40만명의 키르기스 주민이 난민 또는 피난한 상태에 있다.”고 전했다. 바이어스 대변인은 약 10만명이 키르기스에 인접한 우즈베키스탄으로 피신했으며 이는 성인들만 계산한 숫자라고 설명했다. 피란민 40만명은 삶터를 잃고 물과 음식물 등 생필품의 부족으로 심각한 처지에 놓였다.

국제적십자위원회는 “중대한 인도주의적 위기를 맞고 있다.”며 국제사회에 구호를 요청했다. 반기문 유엔 사무총장은 이슬람 카리모프 우즈베키스탄 대통령과 전화통화를 갖고 국제사회의 신속한 지원을 약속했다. 유엔난민고등판무관실(UNHCR)은 텐트와 물·음식품 등 240t의 긴급구호품을 실은 항공기를 우즈베키스탄에 보냈다.

키르기스 정부는 이날부터 사흘 동안을 ‘국가 애도기간’으로 지정, 국민에게 조기를 달도록 당부했다. 또 분규의 배후로 지목돼 체포된 쿠르만베크 바키예프 전 대통령이 혐의를 인정하는 진술을 하기 시작했다고 발표했다. 유엔 역시 “목표가 분명하고 주도면밀하게 계획된 사건”이라고 규정했다.

한편 러시아 외무부는 기자회견에서 “러시아는 집단안보조약기구(CSTO) 규약에 따라 움직일 것”이라고 언급, 병력을 키르기스에 파견하지 않겠다는 의사를 거듭 밝혔다. 미국도 강한 우려를 표명하면서도 직접적인 개입은 자제하고 있다.

박성국기자 psk@seoul.co.kr
2010-06-18 18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5 / 5
“도수치료 보장 안됩니다” 실손보험 개편안, 의료비 절감 해법인가 재산권 침해인가
정부가 실손의료보험 개편을 본격 추진하면서 보험료 인상과 의료비 통제 문제를 둘러싼 논란이 확산되고 있다. 비급여 진료비 관리 강화와 5세대 실손보험 도입을 핵심으로 한 개편안은 과잉 의료 이용을 막고 보험 시스템의 지속 가능성을 확보하기 위한 조치로 평가된다. 하지만 의료계와 시민사회를 중심으로 국민 재산권 침해와 의료 선택권 제한을 우려하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과잉진료를 막아 전체 보험가입자의 보험료를 절감할 수 있다.
기존보험 가입자의 재산권을 침해한 처사다.
5 / 5
1 / 3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