中긴축조치에 세계 금융시장 ‘출렁’

中긴축조치에 세계 금융시장 ‘출렁’

입력 2010-01-21 00:00
수정 2010-01-21 07:42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다우존스 122.28P 하락…달러.국채 급등

중국이 잇단 시중 유동성 흡수 조치를 내놓으면서 20일(현지시간) 미국과 유럽 등 각국의 주식.상품 가격이 급락하고 달러와 국채 값은 상승하는 등 전 세계 금융시장이 휘청거렸다.

이날 뉴욕증권거래소(NYSE)에서 다우존스 산업평균지수는 전날보다 122.28포인트(1.14%) 내린 10,603.15로 장을 마감했다. 다우지수는 한때 낙폭이 200포인트에 육박하기도 했다.

스탠더드 앤 푸어스(S&P) 500 지수는 12.19포인트(1.06%) 내린 1,138.04를, 나스닥 지수는 29.15포인트(1.26%) 내린 2,291.25를 기록했다.

영국 런던증권거래소의 FTSE 100 지수도 1.67% 하락한 5,420.80, 프랑스 파리증권거래소의 CAC 40 지수는 2.01% 하락한 3,928.95, 독일 프랑크푸르트증권거래소의 DAX 30 지수는 2.09% 내린 5,851.53으로 장을 마감했다.

범유럽 다우존스 스톡스 600 지수는 256.46으로 1.5% 떨어져 지난달 8일 이후 최대의 하락폭을 기록했다.

앞서 중국의 상하이 종합지수가 전날보다 2.93%나 급락하는 등 중국 증시도 닷새 만에 급락했고 브라질의 주가도 2.44% 하락했다.

이런 주가 하락은 중국이 인플레를 우려해 최근 시중의 유동성을 축소하는 조치들을 잇달아 내놓으면서 중국의 고성장세가 한풀 꺾일 수 있다는 우려가 제기되고 있기 때문.

중국과 홍콩 언론들은 중국 인민은행이 시중은행의 지급준비율을 인상한 데 이어 기준 금리를 0.27% 인상키로 했으며, 시중 은행들에 대해 신규 대출을 억제하라는 지시를 내렸다고 보도했다.

이로 인해 뉴욕 외환시장에서 미국 달러화는 1유로에 1.4101달러에 거래되면서 전날에 비해 1.3% 하락(가치 상승)했다. 6개국 주요 통화에 대한 달러 가치를 나타내는 달러 인덱스도 1.1% 올랐다.

국채 값도 오르면서 10년 만기 미 국채 수익률은 3.65%로 0.05%포인트 떨어졌고 10년 만기 독일 국채 수익률도 0.05%포인트 하락했다.

달러가 상승하면서 상품.원자재 가격은 줄줄이 하락세를 보였다.

2월 인도분 서부 텍사스산 원유(WTI)는 전날보다 1.40달러(1.8%) 하락한 배럴당 77.62 달러에 거래를 마쳤고, 브렌트유도 1.54달러(2.0%) 내린 배럴당 76.09 달러에 거래를 마쳤다.

이밖에 2월물 금값이 27.40달러(2.4%) 내린 온스당 1,112.60 달러에 거래를 마감했고, 구리 등의 상품 가격도 하락세를 면치 못했다.

주요 19개 상품 가격의 가치를 나타내는 로이터.제프리 CRB 지수는 1.3% 하락해 지난해 12월 23일 이후 최저치로 떨어졌다.

뉴욕=연합뉴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5
“도수치료 보장 안됩니다” 실손보험 개편안, 의료비 절감 해법인가 재산권 침해인가
정부가 실손의료보험 개편을 본격 추진하면서 보험료 인상과 의료비 통제 문제를 둘러싼 논란이 확산되고 있다. 비급여 진료비 관리 강화와 5세대 실손보험 도입을 핵심으로 한 개편안은 과잉 의료 이용을 막고 보험 시스템의 지속 가능성을 확보하기 위한 조치로 평가된다. 하지만 의료계와 시민사회를 중심으로 국민 재산권 침해와 의료 선택권 제한을 우려하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과잉진료를 막아 전체 보험가입자의 보험료를 절감할 수 있다.
기존보험 가입자의 재산권을 침해한 처사다.
1 / 5
1 / 3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