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로벌 리더 두 여성의 한국 방문이 파장을 일으키고 있다. 크리스틴 라가르드 국제통화기금(IMF) 총재는 한국을 방문해 기획재정부, 한국은행 등 정부 주요 정책 당국자와 활발한 만남을 가졌고 국제 콘퍼런스 등 다양한 행사에 참석했다. 라가르드 총재가 한국 방문 기간 중 강조한 핵심 메시지를 꼽으라면 ‘여성의 경제활동 확대의 중요성’일 것이다. 여성금융인네트워크 행사에 참석한 라가르드 총재는 “여성의 경제활동 지원 관련 한국의 법제도가 잘 갖춰져 있는 데 비해 현실은 여전히 어려우며 특히 여성에 대한 편견, 사회문화적 인식, 출산 및 육아로 인한 경력 단절 등에서 개선해야 할 여지가 많다”고 지적했다. 한국은행 등이 주최한 국제 콘퍼런스에서는 “여성의 경제활동 참여를 늘리면 국내총생산(GDP)이 10% 올라갈 것”이라며 고령화 등 인구동태적 어려움에 부닥친 한국 경제의 해법을 ‘여성’에서 찾았다. 이화여대를 방문한 자리에서 “여성은 더 독립적이고 강해져야 한다”면서 유리천장을 깨기 위해 노력할 것을 주문했다.
라가르드 총재는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회원국 최하위권에 속한 한국의 여성 경제활동 참가 비율, 남녀 간 임금격차, 경력 단절 현황 등에 대해 정확하게 알고 있었고, 임원할당제, 육아지원 대책의 실효성 제고 등 그에 대한 해법도 명료하게 제시했다. 세계 금융을 움직이는 리더의 목소리인 만큼 많은 주목을 받았다. 무엇보다 금융계 및 기업에서 활동하는 여성들의 마음을 뒤흔들었다. 여성 금융인들이 모인 자리에서 ‘나도 커피를 탄 적이 있다’는 그의 고백과 ‘숨을 쉴 수 없는 상태에서도 미소를 짓는 싱크로나이즈드 수영선수처럼 여러분도 어려움에 부딪힐 때 이를 악물면서도 미소를 짓고 앞으로 나아가라’는 그의 충고에 공감과 환호가 출렁였다.
라가르드 총재보다 한발 앞서 한국을 방문한 또 다른 여성은 리베카 솔닛이다. 솔닛은 작가이자 사상가, 사회운동가다. 1980년대부터 인권운동, 기후변화, 미국 원주민 토지권 반환 운동, 반전운동 등 사회운동가로 적극적으로 활동해 왔으며 작가로서도 유명하다. 그의 저서 중 ‘남자들은 자꾸 나를 가르치려 든다’는 특히 큰 파장을 불러일으켰다. 여자에게 모든 것을 설명하려 드는 남자를 뜻하는 ‘맨스플레인’(man+explain)은 2010년 뉴욕타임스가 꼽은 올해의 단어가 됐고, 2014년에는 옥스퍼드 온라인 사전에 등재됐다.
솔닛의 방한은 ‘솔닛 현상’이라 부를 만큼 관심을 끌었다. 그의 강연회는 원래 150명 정도 수용 가능한 장소에서 열릴 예정이었으나 신청이 쇄도해 최종 신청 인원은 1400명이나 됐다고 한다. 국내 도서시장 침체에도 최근 페미니즘 관련 서적의 판매량은 크게 증가하고 있는데 불을 지피는 역할을 한 것이 바로 2015년 번역 출간된 솔닛의 ‘맨스플레인’ 책이었다고 한다. 솔닛은 자신의 경험을 솔직하게 털어놓는 감성과 함께 사상적 깊이와 지성을 보여 주면서 ‘포기하지 말고 평등한 권리를 찾으라’고 한국 여성들을 독려했다.
두 사람은 조금 다른 방식으로 리더의 전범을 보였다. 라가르드 총재는 실력과 힘을 겸비한 여성 리더의 모습을, 솔닛은 실천과 지성을 겸비한 여성 리더의 모습을 보여 주었다. 라가르드 총재의 기조연설을 보면서, 솔닛의 인터뷰 기사를 보면서 공감하다가 문득 여성들만 이렇게 열렬한 반응을 보이는 것은 아닐까 생각했다. 라가르드 총재는 보기 드물게 한국의 정책 당국자를 모두 만날 수 있는 힘을 가진 여성이다. 그는 국무총리, 경제부총리, 한국은행 총재 등을 만나 ‘여성의 경제 참여 확대가 단지 여성에게 도움이 되기 때문이 아니라 한국 경제의 활력과 GDP 상승에 실질적인 도움이 되기 때문에 한국 정부의 노력이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기업에서 여성 리더가 필요한 것도 단지 여성이 약자여서 시혜를 베풀어야 하기 때문이 아니라 기업 성과에 도움이 되기 때문이라고 숫자를 제시하면서 강조했다. 솔닛 역시 페미니즘은 모두 잘살기 위한 것이며 남성들의 협력과 인식 전환이 필요하다고 했다. 남녀 모두에게 중요한 문제이며, 함께 풀어야 할 문제임을 확인했다. 대단한 두 여성 리더의 한국 방문으로 흔들린 것이 단지 여성의 마음만은 아니기를.
이은형 국민대 경영학부 교수
라가르드 총재보다 한발 앞서 한국을 방문한 또 다른 여성은 리베카 솔닛이다. 솔닛은 작가이자 사상가, 사회운동가다. 1980년대부터 인권운동, 기후변화, 미국 원주민 토지권 반환 운동, 반전운동 등 사회운동가로 적극적으로 활동해 왔으며 작가로서도 유명하다. 그의 저서 중 ‘남자들은 자꾸 나를 가르치려 든다’는 특히 큰 파장을 불러일으켰다. 여자에게 모든 것을 설명하려 드는 남자를 뜻하는 ‘맨스플레인’(man+explain)은 2010년 뉴욕타임스가 꼽은 올해의 단어가 됐고, 2014년에는 옥스퍼드 온라인 사전에 등재됐다.
솔닛의 방한은 ‘솔닛 현상’이라 부를 만큼 관심을 끌었다. 그의 강연회는 원래 150명 정도 수용 가능한 장소에서 열릴 예정이었으나 신청이 쇄도해 최종 신청 인원은 1400명이나 됐다고 한다. 국내 도서시장 침체에도 최근 페미니즘 관련 서적의 판매량은 크게 증가하고 있는데 불을 지피는 역할을 한 것이 바로 2015년 번역 출간된 솔닛의 ‘맨스플레인’ 책이었다고 한다. 솔닛은 자신의 경험을 솔직하게 털어놓는 감성과 함께 사상적 깊이와 지성을 보여 주면서 ‘포기하지 말고 평등한 권리를 찾으라’고 한국 여성들을 독려했다.
두 사람은 조금 다른 방식으로 리더의 전범을 보였다. 라가르드 총재는 실력과 힘을 겸비한 여성 리더의 모습을, 솔닛은 실천과 지성을 겸비한 여성 리더의 모습을 보여 주었다. 라가르드 총재의 기조연설을 보면서, 솔닛의 인터뷰 기사를 보면서 공감하다가 문득 여성들만 이렇게 열렬한 반응을 보이는 것은 아닐까 생각했다. 라가르드 총재는 보기 드물게 한국의 정책 당국자를 모두 만날 수 있는 힘을 가진 여성이다. 그는 국무총리, 경제부총리, 한국은행 총재 등을 만나 ‘여성의 경제 참여 확대가 단지 여성에게 도움이 되기 때문이 아니라 한국 경제의 활력과 GDP 상승에 실질적인 도움이 되기 때문에 한국 정부의 노력이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기업에서 여성 리더가 필요한 것도 단지 여성이 약자여서 시혜를 베풀어야 하기 때문이 아니라 기업 성과에 도움이 되기 때문이라고 숫자를 제시하면서 강조했다. 솔닛 역시 페미니즘은 모두 잘살기 위한 것이며 남성들의 협력과 인식 전환이 필요하다고 했다. 남녀 모두에게 중요한 문제이며, 함께 풀어야 할 문제임을 확인했다. 대단한 두 여성 리더의 한국 방문으로 흔들린 것이 단지 여성의 마음만은 아니기를.
2017-09-13 30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