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열린세상] 유라시아 문명의 교차로, 알타이를 찾아서/강인욱 경희대 사학과 교수

[열린세상] 유라시아 문명의 교차로, 알타이를 찾아서/강인욱 경희대 사학과 교수

입력 2017-07-18 23:34
수정 2017-07-19 01:28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이미지 확대
강인욱 경희대 사학과 교수
강인욱 경희대 사학과 교수
알타이라고 하면 많은 한국 사람은 민족의 기원을 떠올린다. 그 이유는 한국어가 알타이어족에 속하기 때문일 것이다. 20세기 초에 정립된 우랄알타이어족의 개념에 대해서는 지금도 많은 비판이 존재하지만, 어쨌든 그를 대신할 대안이 없는 것도 사실이다. 그 결과 우리에게 알타이는 한국어, 나아가 우리 민족의 고향이라는 인식이 여전히 널리 퍼져 있다. 사실 알타이를 자신의 기원으로 간주하는 나라는 유라시아 각지에 있다. 역사 기록에 따르면 터키인들이 서기 5세기 알타이에서 발원한 돌궐족에서 시작됐고, 동아시아로 확산된 최초의 유목민과 전차를 만들었던 사람들도 알타이를 통과해 동아시아 일대로 퍼졌다.

황금이라는 뜻에서 유래한 알타이는 동서 고대 문명세계에서 세상의 끝인 동시에 교류의 출발점이었다. 고대 그리스 역사가 헤로도토스가 쓴 ‘역사’에서 가장 동쪽 끝의 오랑캐는 바로 알타이에 거주하던 ‘황금을 지키는 그리핀’족이었다. 서기 1세기에 중국에 쫓겨 도망가는 북흉노를 마지막으로 무찌른 곳도 금산(金山), 즉 알타이였다. 동서 문명에서 공히 인정하던 세상의 끝이며, 또 다른 세계인 유목문명이 번성하던 중심이었다. 지금도 수많은 유라시아의 민족들이 자신의 기원을 알타이로 지목하는 이유가 여기에 있다.

유라시아에 대한 관심이 높아져 가며 알타이 연구도 다각화되고 있다. 이제까지 알타이 연구는 대부분 러시아의 몫이었지만 2000년대 이후 알타이를 공유하는 카자흐스탄, 몽골, 중국도 각각 자국 내의 알타이 지역에 대한 연구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특히 중국은 일대일로의 제창과 함께 신장 알러타이(중국 알타이의 명칭)를 집중적으로 발굴, 조사하고 있다. 반면 한국에서는 여전히 한민족의 기원이라는 과거의 가설을 반복하는 수준에 머물러 있는 것 같다. 사실 알타이와 한민족의 관련성은 밝혀진 것이 그렇게 많지 않다. 신라의 적석목곽분과 가장 유사하다고 생각하던 알타이의 대표적인 유목문화 파지릭문화의 고분은 생각보다 차이가 크다. 오히려 신라의 적석목곽분은 알타이 남쪽의 카자흐스탄 일대에 더 유사한 것이 많다. 그 밖에 일부 유물들이 유사하긴 하지만, 여전히 직접적인 관련성은 별로 밝혀진 것이 없다. 어찌 보면 당연하다. 제대로 된 알타이 연구가 이루어진 적이 없는데, 어떻게 수천㎞ 떨어진 지역과의 관련성이 쉽게 나오겠는가.

이제 알타이를 한민족 기원과 연결하는 생각은 잠시 잊고 대신 동서 문명의 교차점이라는 세계사적 의의를 생각해 볼 필요가 있다. 한국 고대문화와의 비교 연구는 알타이의 유라시아적 의의에 대한 연구가 충분히 진행되고 나서 이루어져도 결코 늦지 않다. 설사 알타이가 한민족의 직접적인 기원이 아니어도 유라시아 고대 문명의 요람이라는 관점에서 충분히 중요하고 매력적이다. 문제는 알타이 지역이 한민족의 기원인가 아닌가의 문제가 아니라 감정만 앞서는 한국의 유라시아 인식에 있다. 지난 100여년간 수도 없이 알타이를 이야기하고 민족의 기원을 말할 때마다 등장했지만, 정작 제대로 된 전공자가 거의 없기 때문이다.

한국과 러시아의 수교가 갓 시작된 1995년에 국립중앙박물관에서는 유라시아의 진주라고 불리던 알타이 고고학에 대한 특별전인 ‘알타이문명전’을 개최한 적이 있다. 이 전시회를 계기로 당시 대학원생이던 나는 시베리아 고고학을 평생의 직업으로 삼았다. 지난주에 경희대 사학과 학생들과 함께 오랜만에 알타이 일대를 답사했다. 전시회 이후 지난 20여년간 알타이는 이미 유라시아를 세계적인 고고학 연구의 장으로 국제적인 연구의 장이 돼서 세계 고고학의 주요 이슈가 되고 있었다. 반면 한국의 알타이에 대한 인식은 지난 세기와 크게 바뀐 것이 없어서 안타까웠다.

새롭게 바라보는 유라시아 역사의 첫 단추는 알타이에서 시작돼야 한다. 거대한 동서문명의 교차로인 알타이를 굳이 좁은 한국사의 범주에서만 바라볼 것이 아니라 유라시아 문명의 중심이라는 좀더 넓은 관점에서 바라볼 필요가 있다. 또 한편으로는 한국의 젊은 세대들은 우리 민족의 좁은 틀에서 벗어나 유라시아 문명사 관점에서 알타이를 재평가해야 한다. 여기서 국제적인 연구자와 겨룰 수 있는 전문가가 나오기를 바란다.
2017-07-19 30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