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열린세상] 대선 정국과 영웅의 조건/박상익 우석대 역사교육과 교수

[열린세상] 대선 정국과 영웅의 조건/박상익 우석대 역사교육과 교수

입력 2012-08-11 00:00
수정 2012-08-11 00:14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14
여름 휴가철인 데다 올림픽까지 겹쳐 소강 국면에 접어들 법도 하건만 정치 지형은 좀처럼 요동을 멈추지 않는다. 후보군이 각축을 벌이는 뜨거운 대선 정국에 한 권의 역사책이 떠오른다. 머콜리와 더불어 19세기 영국 최고의 역사가로 손꼽히는 토머스 칼라일의 ‘영웅 숭배론’이다. 서양 인물들의 전기를 모아 놓은 ‘위인 열전’ 또는 ‘인물 서양사’라고 할 수 있는 이 책은 19세기 서양 최고의 베스트셀러에 속했다. 하지만 제목이 문제였다. 영웅에 대한 맹목적 숭배와 절대적 복종을 연상케 하는 제목 때문에 칼라일은 20세기 접어들어 지독한 오해를 받았다. 1930년대에는 ‘총통(히틀러) 숭배’의 원조로 매도당할 정도였다.

이미지 확대
박상익 우석대 역사교육과 교수
박상익 우석대 역사교육과 교수
먼저 ‘영웅’이 말썽이었다. 서양이건 동양이건 영웅이라 하면 대뜸 말 타고 칼 휘두르는 군사적 영웅을 연상하기 마련이다. 물론 이 책에는 두 명의 군인(나폴레옹과 크롬웰)이 등장한다. 하지만 그 밖의 인물들, 즉 단테, 셰익스피어, 루터, 존 녹스, 루소, 로버트 번스(‘올드랭사인’을 쓴 시인) 등에게서는 군사적 영웅의 이미지를 찾으려야 찾을 수 없다. 그들은 뛰어난 자질을 지닌 ‘위인’이었을 뿐이다. 실제로 칼라일 자신도 영웅을 위인과 동의어로 섞어 쓰고 있다. 제목이 오해를 자초한 측면이 있다. 딱한 노릇이다.

‘숭배’도 마찬가지다. 사전적 정의로 숭배란 막강한 권능을 가진 신적 존재를 우러러 공경한다는 뜻이다. 그런데 칼라일은 숭배를 단지 ‘존경’이란 의미로 썼을 뿐이다. 이 점은 독일 철학자 니체와 비교해 보면 차이가 분명히 드러난다. 니체는 저서 ‘권력 의지’에서 초인과 범인(凡人)의 특징을 ‘의지’와 ‘무(無)의지’로 구분하고, 초인과 범인을 ‘상반된’ 속성을 지닌 사람들로 간주했다. ‘의지’의 초인이 깃발을 흔들면 ‘무의지’의 범인은 동화 속 피리 부는 사나이를 따라나선 수천 마리 쥐처럼 우르르 몰려간다.

이와 대조적으로 칼라일은 영웅과 추종자가 상반된 속성을 가진 것으로 보지 않았다. 양자는 같은 속성을 지닌 사람들이다. 유유상종(類類相從)이란 말처럼 둘의 차이는 ‘정도’의 차이다. 영웅은 진정성을 지닌 위인이었다. 그 영웅을 알아보고 추대하려면 추종자 역시 진정성을 가진 사람이어야 했다. 물론 영웅은 추종자에 비해 진정성의 빛이 한층 강렬하고 뜨겁다. 하지만 추종자 내면에도 영웅과 같은 진정성이 있기에 영웅에게서 동질감을 느끼고 지지하게 된다.

칼라일에 따르면 영웅은 ‘다른 모든 사람들이 표현할 수 있을 듯하면서도 하지 못해 애태우던 것’을 표현해 주는 인물이다. 다시 말해 영웅은 대중의 내면에 감춰진 욕구와 시대정신을 읽어 낼 줄 아는 소통의 달인이다. 추종자가 영웅에게서 느끼는 감정은 진정성에 대한 찬탄과 감동이다. 영웅과 추종자의 관계는 결코 정치적 지배, 예속의 관계가 아니다.

칼라일은 영웅의 주변 세계에 대한 영향력을 설명하기 위해 영웅을 ‘광명의 원천’에 비유했다. 그러나 그 빛은 주변 세계를 아무런 장애 없이 밝힐 수 있는 무제한의 능력이 아니다. 광명이 빛을 어떻게 퍼뜨리는가 하는 것은 그것을 받아들이는 추종자의 마음에 달려 있다는 것이 칼라일의 일관된 입장이다. 따라서 수많은 작은 영웅들로 가득 찬 세계에서라야 진정한 영웅 숭배도 가능하다고 봤다. 칼라일이 생각한 이상 사회는 ‘영웅들로 가득 찬 세계’였다. 칼라일이 말한 ‘추종자’는 자율적 인격을 지닌 근대적 개인이라고 할 수 있다. 특정인을 덮어 놓고 맹종하는 ‘빠’가 아니다.

한국 사회는 감동에 목마르다. 정치가 재앙이 되고 기성 정치권이 ‘가장 도둑적인 정권’으로 조롱받는 현실에 절망한 대중은 대낮에 등불을 들고 사람을 찾아 헤매던 디오게네스의 심정이다. 소명으로서의 정치를 펼쳐 줄 지도자, 진정성을 가지고 공익에 헌신해 줄 지도자에 대한 갈급함이 바야흐로 폭발 직전이다. 대중의 타는 목마름을 해소해 줄 비전과 정책을 제시할 지도자, 진정성으로 감동을 안겨 줄 소통의 달인이 12월의 승자로 우뚝 설 것이다. 물론 여기에는 조건이 있다. 지역과 이념에 갇힌 ‘빠’이기를 거부하는 유권자가 절대 다수여야 한다는 것이다.

2012-08-11 26면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추계기구’ 의정 갈등 돌파구 될까
정부가 ‘의료인력 수급 추계기구’ 구성을 추진하고 있습니다. 정부는 이 기구 각 분과위원회 전문가 추천권 과반수를 의사단체 등에 줘 의료인의 목소리를 충분히 반영한다는 입장입니다. 반면 의사들은 2025학년도 의대 증원 원점 재검토 없이 기구 참여는 어렵다는 입장을 고수하고 있습니다. 이 추계기구 설립이 의정 갈등의 돌파구가 될 수 있을까요?
그렇다
아니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