심경호 고려대 한문학과 교수
유학의 이념에 따르면 인간의 상식을 벗어난 허탄한 것은 입에 담지도 말아야 했으므로, 요술에 가까운 연희는 금지해야 마땅했다. 어떤 사람은 말하길, “이런 재간을 부려 생계를 꾸리는 자들이 나라의 법률로 처단되지 않는 이유가 무엇입니까?”라고 하였다. 그러자 연암은 이렇게 말했다고 한다. “중국은 땅이 크고 넉넉하여 기괴한 자들도 포용해서 함께 길러내므로 그런 것이 정치에 방해가 되지 않습니다. 만약 천자가 좀스럽게 이런 것들을 일일이 따져서 추궁한다면 그자들은 도리어 깊고 으슥한 곳에 숨어 모습을 드러내지 않다가 때때로 나와서 야단을 떨게 될 것이고, 그렇게 되면 천하의 근심이 아주 커지게 될 것입니다. 날마다 사람들로 하여금 장난삼아 구경하게 하면 아낙네나 어린아이라고 하여도 이것이 요술인 줄 알아서, 마음으로 놀라게 하고 눈으로 보고 놀라게 하지는 않을 것입니다. 이게 바로 군주가 세상을 다스리는 방법이 아니겠습니까?”
‘환희기제사’는 열하의 거리에서 벌어지는 공연예술을 거론하면서 실은 중국과 조선의 통치원리에 대해 비교한 정치문화론이라고 말할 수 있다. 연암은 중국이 환희를 용납하는 것은 ‘사람마다의 본성을 거스르지 않고 각각 그 그릇에 맞게 함으로써 모두 다 극(極)에 모이고 극으로 돌아오게 하는’오묘한 방식이라고 판단하였다. 극이란 일정한 푯대를 뜻한다. 그렇다고 고착되어 있는 것은 아니다. 연암은 조선의 당시 정치문화가 관용적이지 못하여, ‘군주가 좀스럽게 일일이 따지고 추궁하는 방식’을 사용하고 있다고 암암리에 비판한 것이다. 연암은 민중들이 신비주의에 빠지는 것을 우려하되, 그 원인이 일상 경험의 편협성에 있다고 여겼다. 그 자신도 조선을 벗어나 드넓은 세계를 여행함으로써 경험 세계의 폭을 넓힘으로써 인식을 확대할 수 있었다. 연암은 경직된 이념을 앞세우기보다는 지식인이든 민중이든 ‘주어진’ 세계를 폭넓게 받아들임으로써 비이성의 논리에 현혹되지 않는 심적 태도를 갖추어야 한다고 생각하였다.
경직된 이념이나 원리의 관점에서 보면 세간의 잡다한 언설과 행동은 비이성적이고 퇴행적이라고 여겨질 수 있다. 하지만 고전에 따르면, 정치의 원리는 그러한 잡다한 언설과 행동을 금압하는 데 있지 않다. 특히 민중의 대항언론 등 모든 언설들에 대해서는 그것을 너그럽게 포용하여, 그 언설이 현실에서 유효성을 검증받을 때까지 기다리라고 가르치기도 하였다. 세간의 잡다한 언설과 행동들 가운데는 이성의 논리인지 비이성의 논리인지 판정하기 어려울 때도 있다. 그렇다면 더욱, 문제의 언설과 행동을 일일이 추궁하기보다는 그 언설과 행동이 자신의 논리를 갖추어 현실에서 검증받을 때까지 지켜보아야 하지 않겠는가.
우리 정치사회는 관용의 정신이 부족한 듯하다. 타인의 언설과 행동을 비이성의 것으로 치부하고 타인을 억압하려는 경향이 곳곳에 드러난다. 하지만 연암의 말을 빌리자면, 각 계층이나 각 개인이 자기의 본성을 거스르지 않고 각각 자기 그릇에 맞게 살아 나가서 저절로 극에 모이고 저절로 극으로 돌아오기를 기다려야 하리라고 본다.
2012-04-06 30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