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열린세상] 인터넷 강의, 이제는 달라져야 한다/김혜영 중앙대 영어교육과 교수

[열린세상] 인터넷 강의, 이제는 달라져야 한다/김혜영 중앙대 영어교육과 교수

입력 2009-03-13 00:00
수정 2009-03-13 01:26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이미지 확대
김혜영 중앙대 영어교육과 교수
김혜영 중앙대 영어교육과 교수
요즘 인터넷 강의가 대세다. 대한민국의 교육계를 장악하였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주로 사이버대학, 방송통신대학 등을 중심으로 시작한 우리나라 이러닝(e-Learning)은 , IT와 교육의 결합을 통해 교육의 질에 큰 변화를 가져올 것으로 기대 받으며 정부의 많은 투자와 지원 속에 고속성장을 하였다. 온라인 강의로 유명해진 몇몇 사교육기관은 이제 거대 상장기업이 되었고, 5년 전 인터넷 수능강의를 개시한 EBS방송국도 그 전과는 위상이 사뭇 달라졌다. 현재 교육기관치고 인터넷강의를 사용하지 않는 곳이 없을 정도이다.

정확한 통계자료는 아니지만, 우리나라 고등학생 2명 중 1명은 인터넷강의를 들은 경험이 있다. 대학입학 후에도 절반 가까운 학생이 학원에 다니며, 이중 상당수는 인터넷 강의를 듣는다고 한다. 실제 필자가 재직하는 대학의 컴퓨터실은 이른 아침부터 인터넷 강의를 듣는 학생들로 만원이다.

인터넷 강의가 우리 교육에 이렇듯 깊숙이 자리하고, ‘이러닝=인터넷강의’라는 인식이 형성된 데에는 교육부 영향이 컸다. 사교육비를 축소할 비책으로 명강사들의 수능 특강을 온라인으로 제공할 것을 선언하고 대대적으로 홍보하였고, 일선학교에 사용을 권장해왔다. 지방 교육청 역시 낙후지역에 균등한 교육기회를 주어 인재를 양성하겠다는 취지로 이른바 ‘강남 특급강사’의 인터넷 강의에 많은 예산을 사용하였다. 이쯤 되면 교사들이 유명 아무개 강사의 강의비법을 전수받고자 인터넷 강의를 몰래 듣는다는 소문은 더 이상 농담이 될 수 없다.

그러나 동영상 강의가 이 정도로 확산되고, 대다수 국민이 이러한 교육방식에 익숙해져 버리기 전, 과연 이 교육방식이 학습자들에게 올바른 도움을 주고 진정한 교육 효과가 있는지 곰곰이 따져보았어야 한다. 조금만 생각해 보아도, 대한민국 이러닝은 우리가 항상 비교하는 구미의 선진교육은 물론이려니와, 지금까지 연구되어온 효과적인 이러닝 교육과는 전혀 다른 방향으로 변질되어 가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인터넷 강의가 중심이 되는 이러닝이 교육의 질을 심각하게 저해한다고 주장하는 데에는 다음과 같은 이유가 있다.

첫째, 우리나라 인터넷 강의의 대부분은 주입식이다. 지식은 이미 결정되어 있고, 가공되어 있다. 교수자의 탁월성은 학생들의 비판적 사고력이나 스스로 학습능력을 키우는 것과는 무관하며, 단지 많은 정보를 효과적으로 신속하게 전달하는 능력으로 좌우된다. 컴퓨터 앞에 앉은 학습자는 인터넷 강사가 밥상을 잘 차려 떠먹여 주기를 기다리는 의존적인 응석받이 아이가 된다.

둘째, 인터넷 강의는 다분히 결과지향적이다. 학습 과정에는 관심이 없다. 그것이 수능고사이든 편입학이든, 교사임용고시든 로스쿨 입학이든 간에 모두 시험점수 향상이 목표요, 시험 합격이 결과이다. 이러한 시험전략, 문제풀이 연습이 교육으로 착각되어서는 안 된다. 이는 단지 시험공화국이 낳은 또 하나의 기형물일 뿐이다.

셋째, 인터넷 강의는 남용되어서는 안 된다. 실제 원격교육이 발달한 나라들의 이러닝 강의에서 동영상 강좌가 차지하는 비중은 의외로 적다. 그보다 커뮤니케이션과 리서치에 치중한다. 토론·협동과제와 같은 상호협력적 연구 활동, 다각적이고 풍부한 자료 검색을 통한 자기주도적 지식 형성 등이 우선이다. 진정한 학습은 사실상 학습자 자신이 주체가 되어 연구하고, 이 과정에서 교수자와 학생, 학생 상호간의 협력은 필수적인 부분이라고 믿기 때문이다.

제대로 설계된 이러닝은 21세기 교육에 큰 축복이 될 수 있다. 그러나 지금과 같은 인터넷 강의 중심의 온라인교육은 차세대의 글로벌 경쟁력을 해치는 ‘점수따기’ 거짓 교육에 불과하다는 사실을 간과해서는 안 된다. 공교육의 경쟁력은 인터넷 강의가 할 수 없는 진정한 교육 기회를 제공하는 데서 비롯되는 것이다.

김혜영 중앙대 영어교육과 교수
2009-03-13 30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애도기간 중 연예인들의 SNS 활동 어떻게 생각하나요?
제주항공 참사로 179명의 승객이 사망한 가운데 정부는 지난 1월 4일까지를 ‘국가애도기간’으로 지정했습니다. 해당기간에 자신의 SNS에 근황사진 등을 올린 일부 연예인들이 애도기간에 맞지 않는 경솔한 행동이라고 대중의 지탄을 받기도 했습니다. 이에 대한 여러분들의 생각은 어떠신가요?
애도기간에 이런 행동은 경솔하다고 생각한다.
표현의 자유고 애도를 강요하는 것은 안된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