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씨줄날줄] ‘검은 반도체’ 김

[씨줄날줄] ‘검은 반도체’ 김

박상숙 기자
박상숙 기자
입력 2024-09-04 00:12
수정 2024-09-04 00:12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14
이미지 확대


외국에서 김은 오랫동안 ‘바다 잡초’로 취급받았다. 시커먼 색에 비릿한 냄새, 김에 대한 첫인상이 그다지 좋을 리 없다. 제2차 세계대전 후 전범재판에서 미군 측이 일본의 포로 학대 증거로 ‘검은 종이’, 즉 김을 제시했다는 일화는 유명하다. 그들에게 해조류는 가축에게나 먹이는 것이었다. 푸대접의 역사가 길었지만 최근에는 없어서 못 먹는 슈퍼푸드로 ‘추앙’하고 있다.

고단백·저칼로리 건강식품이면서 생산 과정에서 이산화탄소를 줄여 주는 ‘블루카본’ 역할까지 하는 것으로 알려진 김에 대한 서양인의 인식 전환은 관련 산업에 대한 전망을 더욱 밝히고 있다. 세계에서 김을 생산하는 나라는 한국과 중국, 일본 세 곳뿐. 지구온난화로 생산량이 줄어 중국과 일본의 수출 여력이 없는 사이 한류 열풍에 힘입은 K조미김이 세계인의 입맛을 사로잡았다.

지난해 한국의 김 수출액은 사상 처음 1조원을 돌파했다. 김은 2019년부터 우리나라 수산식품 수출액 1위 자리를 지키고 있다. 하늘이 우리에게 ‘검은 황금’ 석유는 허락하지 않았지만 ‘검은 반도체’ 김을 줬다는 우스갯소리가 나올 정도로 수출 성장세는 폭발적이다.

특히 가장 김을 기피했던 미국에서의 인기는 상상 이상이다. 미국 수출액이 8078만 달러로 전년 대비 41% 넘게 증가했다. 틱톡 등 SNS에서 파란 눈의 아기들에게 김을 먹이는 영상이 수두룩하다. 밥도둑의 힘을 미국 엄마들도 알아챈 것이다.

김의 수출 활황이 좋은 점만 있는 건 아니다. 가격이 점점 오르고 있어서다. 국내 조미김값이 최근 10~20% 올랐다. 해수 온도가 올라가면서 생산 시기가 짧아지고 병충해까지 확산하면서 원초 생산량이 감소했기 때문이다. 외국인들이 삼겹살 맛에 눈뜨면서 값이 오르는 부작용이 생겼듯 김도 같은 상황을 맞고 있다. 업계에서는 육상 양식 등 다양한 기술 개발을 꾀하고 있다는데 수출과 내수 두 마리 토끼를 다 잡을 ‘검은반도체특별법’이라도 필요한 게 아닌가 싶다.

박상숙 논설위원
2024-09-04 31면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해리스 vs 트럼프 승자는?
카멀라 해리스 미국 부통령(민주당)과 도널드 트럼프 전 대통령(공화당)은 지난 10일(현지시간) 105분가량 진행된 대선 후보 TV 생방송 토론에서 한 치의 양보도 없는 불꽃 튀는 대결을 했습니다. 양 측은 서로 자신이 토론에서 승리했다고 주장하고 있습니다. 당신은 토론에서 누가 우세했다고 생각하십니까.
카멀라 해리스
도널드 트럼프
잘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