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58년 문을 연 대한극장은 미국 영화사 20세기 폭스의 설계를 바탕으로 건축됐을 정도로 첫출발이 화려했다. 최대 규모와 최신 시설을 앞세워 이듬해 대작 ‘벤허’를 상영, 지방 영화팬까지 끌어들이며 간판 극장으로 자리 잡았다.
위기는 1998년 11개 상영관을 갖춘 국내 첫 멀티플렉스 ‘CGV강변’이 문을 열면서 찾아왔다. 대한극장도 이에 발맞춰 2001년 스크린을 11개로 확대하고 변신을 꾀하기도 했지만 역부족. 국내 영화시장을 주도하는 CGV, 롯데시네마, 메가박스 등 멀티플렉스 3사의 공세에 당해낼 재간이 없었다.
멀티플렉스 3사는 여러 스크린을 구비하고 각각의 취향을 가진 이들이 동시에 영화를 관람할 수 있는 공간을 마련해 관객의 발길을 유도했다. 지하철역, 쇼핑센터와도 연결하며 이용의 편의성도 도모했다. 열악한 관람 환경이 개선되니 관객은 늘어났고 한국 영화산업의 비약적 발전에도 한몫했다.
하지만 산이 높으면 골도 깊듯이 멀티플렉스의 부작용도 덩달아 커지고 있다. 대표적인 사례가 스크린 독과점이다. 넷플릭스 등 온라인동영상서비스(OTT) 등장과 코로나19 사태 이후 극장 관람객이 감소하면서 ‘돈이 되는 영화’만 몰아주는 행태가 갈수록 노골적이다. 눈앞의 이익에만 매달린 극장들은 예술영화, 독립영화를 북돋는다는 최소한의 명분도 버리고 블록버스터에만 ‘몰빵’하고 있다.
‘파묘’ 이후 국내 영화로 올해 두 번째 1000만을 기록한 ‘범죄도시4’에 온전히 박수를 보낼 수 없는 까닭이다. 개봉 초부터 무려 80%가 넘는 점유율로 스크린을 싹쓸이했다. 멀티플렉스 3사가 거의 모든 상영관을 범죄도시4로 도배했으니 관객의 선택권은 박탈된 셈이다.
역설적으로 극장 한 곳에서 영화 한 편만 걸던 ‘단관 극장’ 시대는 나름대로 상영의 다양성이 보장됐었다. 스크린이 널렸어도 하나의 영화만 보도록 강요받는 지금은 ‘풍요 속의 빈곤’이나 다름없다.
박상숙 논설위원
2024-05-16 27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