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지만 사회적 측면에서 고독사는 엄연히 다르다. 지난해 4월 처음 시행된 고독사예방관리법에 따르면 고독사는 ‘가족, 친척 등 주변 사람들과 단절된 채 홀로 사는 사람이 자살·병사 등으로 혼자 임종을 맞고, 시신이 일정한 시간이 흐른 뒤에 발견되는 죽음’이다. 사람들로부터 절대적으로 고립된 공간에서 질병과 생활고에 내몰린 채 맞는 외롭디외로운 죽음이다.
그렇게 부패한 상태가 돼서야 발견되곤 하는 비극적 죽음이 끊이지 않는다. 서울 송파구, 경기 수원시 등에서 잇따랐던 가족 집단고독사는 복지 사각지대의 한 단면이자 사회경제적 위기가구가 필연적으로 봉착하는 모습이다. 만연한 사회현상이 됐지만 아무런 관련 집계가 없었기에 ‘통계 없는 죽음’으로도 통했다.
보건복지부가 지난 14일 최근 5년간 고독사 현황 및 특징을 조사해 발표했다. 국가가 집계한 첫 고독사 관련 통계인 셈이다. ‘2022년 고독사 실태조사’를 보면 우리 사회의 몇몇 단면들이 엿보인다. 2017년 2412명이던 고독사는 2021년 3378명으로 늘었다. 또 남성의 고독사가 여성보다 매년 4배 이상 많았으며 연평균 증가율 또한 남성은 10%로, 여성(5.6%)보다 높았다. 연령대로는 50~60대 고독사가 60%를 넘었다. 미처 정립되지 못한 복지 시스템과 무너지는 가부장제에 적응 못하는 중년 남성쯤으로 설명 가능할 것이다.
철학적 사유를 곁들인다면야 인간의 고독사는 불가피하다. 하지만 죽음에 이르는 마지막 시간까지 쓸쓸한 고독의 심연에, 절대 빈곤의 고통과 기아 속에 괴로워하며 고립무원 상태 속 인간의 존엄성이 훼손되도록 남겨 두는 일은 막아야 한다. 사회적 노력이 절실하다. 정부는 내년 1분기까지 ‘제1차 고독사 예방 기본계획’을 수립한다고 밝혔다. 고독할지언정 존엄하게 죽는 것 또한 인간의 권리다. ‘존엄한 고독사’는 형용모순일 수 있지만 우리가 궁극적으로 지향해야 할 과제다.
2022-12-16 27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