애초 차례는 매월 초하루와 보름에 사당에서 조상에게 차를 올리는 것이 전부였다고 한다. 조선 후기 때부터는 설과 단오, 추석과 동지 등 특정 절기에만 각각 차례를 지냈는데 회수가 줄어든 반면 차례상은 제사상에 준할 정도로 풍성해졌다.
일제가 1930년대 가정의례를 간소화한 이후 차례는 설과 추석 두 차례 지내는 게 일반화됐다. 그런데 풍성한 차례상이 조상에 대한 후손의 도리인 양 잘못 계승되다 보니 1960~70년대에는 그 어렵던 시절에도 그야말로 상다리가 휘청댈 정도로 온갖 음식을 만들어 차례상에 진설(陳設)하는 게 미덕처럼 여겨졌다.
며칠 전 유교 전통문화를 보존해 온 성균관이 차례상 간소화 방안을 내놨다. 성균관의 ‘차례상 표준안’에 따르면 차례상 기본 음식은 송편, 나물, 구이, 김치, 과일, 술 등 6가지이고, 육류와 생선, 떡을 곁들이는 정도면 충분하다. 기름기 흥건하게 전(煎)을 부쳐 차례상에 올릴 필요도 없다고 했다. ‘홍동백서’, ‘좌포우혜’, ‘어동육서’, ‘두동미서’, ‘조율이시’ 등과 같은 진설 예법은 과거로부터 전해져 내려온 것이 아니라 양반의 후손이라는 신분을 과시하고픈 현대인들이 만들어 낸 가짜 예법으로 차례상을 차릴 때 음식은 편하게 놓으면 된다고 성균관은 밝혔다.
요즘에는 건강 등을 이유로 고기를 먹지 않는 채식주의가 확산되면서 차례상 자체를 비건(채식주의) 음식으로만 차리는 가정도 늘고 있다고 한다. 실제 인터넷과 유튜브 등에는 비건 차례상과 관련한 콘텐츠가 넘쳐 나고 있다. 차례가 끝나면 차례상 음식은 식구들이 나눠 먹기 마련인데 채식주의자 가족이라면 구태여 육류나 생선 등을 차례상에 올려 음식쓰레기로 내버릴 필요가 있을까 싶기도 하다. 올해 추석 차례상 차림 비용이 4인 가족 기준 평균 32만여원이라고 한다. 참조기 가격이 최근 들어 무려 116%나 올랐다는데 비건 차례상을 고려해 볼 만도 하겠다.
2022-09-08 27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