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러한 인식을 배경으로 ‘갑질’이라는 표현이 자연스럽게 등장했다. 유래는 알 수 없지만 10년이 채 되지 않았다는 게 정설이다. 직장 내 상사가 부하 직원에게, 본사 직원이 협력업체에, 식당 등 서비스업 손님이 종업원에게 자신의 우월함을 과시하며 함부로 대하는 말과 행동들이다. 표현 자체의 역사는 그리 길지 않더라도 ‘갑질 문화’는 유구하다. 지난해 한 여론조사에서 한국 사회의 갑질 문화가 심각하다고 응답한 이들이 85.9%에 이르렀다.
핵심은 권력 관계다. 그렇다고 특별한 권력을 가진 자들만의 몫도 아니다. 양쪽 당사자가 존재하는 관계가 성립되는 곳이라면 남녀노소, 지역, 계층·계급, 시대 등을 뛰어넘어 나타난다. 이곳의 갑질 가해자가 저곳의 갑질 피해자가 될 수밖에 없는 구조다.
한 개그 프로그램에서 옷가게에 짜장면 배달을 간 배달노동자가 갑질 수모를 당하자 대뜸 옷을 사겠다고 한 뒤 옷가게 직원에게 갑질을 되갚는 모습은 웃픈 현실을 적나라하게 보여 준다. 관계 속에서 힘의 기울어짐이 있고 좀더 우위에 있는 작은 권력의 달콤함이 있는 한 피할 수 없다. 배려와 존중을 아무리 강조해도 쉽게 근절되지 않는 것은 그러한 인간 본성이 깔려 있기 때문일 것이다.
최근 뉴욕타임스, CNN 등 외신이 한국의 직장 내 괴롭힘을 ‘갑질’(gapjil)이라고 표현하며 잇따라 보도했다. 2020년 옥스퍼드 사전에서 ‘한국에서 우월적 지위에 있는 사람의 상대방에 대한 오만하고 권위적인 태도나 행위’로 설명하며 이 표현을 등재했다. 좀 고약하긴 하지만 한국 드라마ㆍ영화 등 대중문화가 세계적인 보편성을 얻어 가는 과정이라고 이해하고 싶다. 한데 따지고 보니 외국에서 주목하는 한국어 신조어는 부정적인 것들이 많다. 재벌, 꼰대, 라떼 등등. 계면쩍긴 하다.
2022-07-06 31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