냉전 시절 미국이 개발한 M113은 ‘전장의 택시’로 불리며 8만대 이상이 생산될 만큼 인기를 끌었다. 이때도 장갑차의 주임무는 병력수송였지만, 이후 무기를 장착하는 단계로 진화하게 된다. 그런데 본격적인 전투장갑차는 소련이 1967년 개발(BMP1)했고, 충격을 받은 미국은 브래들리 장갑차를 개발하며 맞섰다. 이어 독일의 마더와 퓨마, 영국의 워리어, 스웨덴의 CV90 등 전투장갑차 개발이 잇따랐다.
한국 군의 첫 장갑차는 미국에서 원조받은 M113 400여대였다. 이후 국산장갑차 K200을 개발해 말레이시아에 111대를 수출하기도 했으나 무기체계가 약해 전형적인 전투장갑차로 보긴 힘들었다. 한국군의 명실상부한 전투장갑차는 2009년 개발한 K21이다.
그런데 어느덧 한국의 전투장갑차 개발 기술은 세계 정상급으로 발돋움했다. 한화디펜스가 개발한 보병전투장갑차 ‘레드백’(Red back·치명적인 독을 가진 호주의 독거미)이 호주군 주력 장갑차 선정 사업에서 미국, 영국 등 쟁쟁한 경쟁자들을 물리치고 독일과의 결승전만 남겨 두고 있는 것이다. 한화디펜스는 레드백 시제품 2대가 호주 육군의 최종 시험평가를 치르기 위해 28일 평택항에서 선적돼 호주 멜버른항으로 향한다고 26일 밝혔다. 한화디펜스는 지난해 9월 1차 관문에서 미국과 영국 등의 대형 방산기업을 제치고 독일 라인메탈디펜스의 ‘링스’ 장갑차와 함께 최종 2개 후보로 뽑혔다.
사업 규모 5조원인 이번 사업을 수주하면 한국이 선진국에 주력 장갑차를 납품하는 첫 번째 사례가 되며, 세계 노후 장갑차 대체 시장에서 유리한 위치를 점할 수 있게 된다. 이번 사업의 승자는 내년부터 시작되는 50조원 규모의 미군 장갑차 사업도 가져갈 가능성이 크다는 전망도 나온다. 코로나19로 어려움을 겪는 우리 기업과 한국 경제를 위해서라도 이번 사업을 꼭 따낼 수 있도록 정부가 총력 지원을 아끼지 말아야 할 것이다.
미국, 영국, 독일 등이 2차 대전에서 장갑차 경쟁을 벌일 때 우리는 군대는커녕 나라를 잃은 상태였다. 그로부터 80년 후 한국이 세계 6위의 군사강국으로서 그들과 당당히 경쟁을 벌이리라고 예상한 인류는 당시 지구상에서 한 명도 없었을 것이다.
2020-07-27 31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