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류가 만든 최대의 인공섬. 하지만 사람이 발을 딛고 설 수 없는 떠다니는 플라스틱섬.’
미국 캘리포니아주와 북태평양 하와이 사이의 쓰레기섬이다. 언제부터 생성됐는지는 모르나 해류와 바람의 영향으로 북미와 중남미, 아시아에서 흘러들어온 쓰레기가 쌓이고 있다. 면적이 155만㎢로 한반도의 15배나 된다. 쓰레기의 90% 이상이 플라스틱이다. 환경단체에서 쓰레기섬에서 죽은 새들을 조사한 결과 위 속에 작은 플라스틱들만 수북이 쌓여 있었다고 한다. 자외선에 의해 서서히 부스러진 플라스틱을 모이로 착각해서 먹은 결과다.
1997년 요트항해 중 이 섬을 발견한 미국의 해양 환경운동가인 찰스 무어는 “지구의 25%가 물이 내려가지 않는 변기나 다름없다”고 해양 투기의 위험성을 경고한다. 하지만 플라스틱섬이 공해상에 있다 보니 어느 나라도 문제 해결에 적극적인 의지를 보이지 않고 있다.
그런데 ‘오션 클린업’(The Ocean Cleanup )이라는 한 비영리 환경단체가 나섰다. 해양 쓰레기 청소에 매진하는 네덜란드 발명가 보이얀 슬라트(24)가 18세 시절인 5년 전 만든 단체다. 그는 16살 때 지중해로 스쿠버 다이빙을 하러 갔다가 물고기보다 훨씬 더 많은 비닐봉지가 떠다니는 것을 보고 바다 청소에 나서게 됐다고 한다.
이 단체에 따르면 지난 8일(현지시간) 6개월의 작업 끝에 만든 해양 쓰레기 수거기가 샌프란시스코항에서 쓰레기섬으로 이동 중이다. 길이 600m의 영어 알파벳 U자 모양으로 된 수거기는 수면 아래 3m 길이의 탐사 스크린을 갖추고 있다. 해류에 따라 움직이며 플라스틱 부유물을 그 안에 가둔 뒤 어느 정도 양이 차게 되면 배로 수거해 육지로 옮기는 식이다. 물고기 등 해양동물은 3m 길이의 스크린 아래쪽으로 헤엄쳐 나갈 수 있다.
슬라트는 “석기시대, 청동기시대를 거쳐 지금은 플라스틱시대”라면서 “바닷속의 플라스틱은 절대로 저절로 없어지지 않고 거의 영구적으로 남는 만큼 행동에 나서야 한다”며 동참을 호소했다. 이 단체는 앞으로 5년 안에 플라스틱섬의 절반을 없앤다는 방침이다.
우리나라도 가입한 런던덤핑 협약에 따라 해양 폐기물 투기는 금지 사항이나 아직도 제대로 지켜지지 않고 있다. 우리나라의 단위 면적당 폐기물 발생량은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회원국 중 4위다. 쓰레기 매립지 규모도 세계 최대다. 서울 난지도 쓰레기 매립지 포화에 이어 수도권 쓰레기 매립지도 언제 포화 상태가 될지 모른다. 1회용 플라스틱 사용 금지 등 환경남용 방지를 실천에 옮길 때다.
eagleduo@seoul.co.kr
1997년 요트항해 중 이 섬을 발견한 미국의 해양 환경운동가인 찰스 무어는 “지구의 25%가 물이 내려가지 않는 변기나 다름없다”고 해양 투기의 위험성을 경고한다. 하지만 플라스틱섬이 공해상에 있다 보니 어느 나라도 문제 해결에 적극적인 의지를 보이지 않고 있다.
그런데 ‘오션 클린업’(The Ocean Cleanup )이라는 한 비영리 환경단체가 나섰다. 해양 쓰레기 청소에 매진하는 네덜란드 발명가 보이얀 슬라트(24)가 18세 시절인 5년 전 만든 단체다. 그는 16살 때 지중해로 스쿠버 다이빙을 하러 갔다가 물고기보다 훨씬 더 많은 비닐봉지가 떠다니는 것을 보고 바다 청소에 나서게 됐다고 한다.
이 단체에 따르면 지난 8일(현지시간) 6개월의 작업 끝에 만든 해양 쓰레기 수거기가 샌프란시스코항에서 쓰레기섬으로 이동 중이다. 길이 600m의 영어 알파벳 U자 모양으로 된 수거기는 수면 아래 3m 길이의 탐사 스크린을 갖추고 있다. 해류에 따라 움직이며 플라스틱 부유물을 그 안에 가둔 뒤 어느 정도 양이 차게 되면 배로 수거해 육지로 옮기는 식이다. 물고기 등 해양동물은 3m 길이의 스크린 아래쪽으로 헤엄쳐 나갈 수 있다.
슬라트는 “석기시대, 청동기시대를 거쳐 지금은 플라스틱시대”라면서 “바닷속의 플라스틱은 절대로 저절로 없어지지 않고 거의 영구적으로 남는 만큼 행동에 나서야 한다”며 동참을 호소했다. 이 단체는 앞으로 5년 안에 플라스틱섬의 절반을 없앤다는 방침이다.
우리나라도 가입한 런던덤핑 협약에 따라 해양 폐기물 투기는 금지 사항이나 아직도 제대로 지켜지지 않고 있다. 우리나라의 단위 면적당 폐기물 발생량은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회원국 중 4위다. 쓰레기 매립지 규모도 세계 최대다. 서울 난지도 쓰레기 매립지 포화에 이어 수도권 쓰레기 매립지도 언제 포화 상태가 될지 모른다. 1회용 플라스틱 사용 금지 등 환경남용 방지를 실천에 옮길 때다.
eagleduo@seoul.co.kr
2018-09-11 31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