당일 오전 11시 20분쯤 ‘구로구청 사건’이 터졌다. 서울 구로을 선거관리위원들이 투표가 진행되던 중 부재자 우편 투표함을 들고 투표장인 구로구청을 나와 트럭에 옮겨 싣고 있었다. 공정선거감시단원이 이를 목격하고 “부정 투표함”이라고 소리쳤다. 삽시간에 주변에 있던 시민과 대학생들이 몰려들었다. 귤·빵·과자 등이 실려 있던 트럭의 빵 상자 안에서 봉인되지 않은 문제의 투표함이 나왔다. 또 구청 3층에 마련된 선거관리위원회 사무실에서는 백지 투표용지 1500여장과 인주가 묻어 있는 장갑 6켤레 등이 발견됐다.
오후 4시쯤부터 5000여명이 ‘부정선거’를 외치며 농성에 나섰다. 2박3일간 계속되던 농성은 18일 아침 6시쯤 경찰에 의해 강제 진압됐다. 1050명이 연행되고 208명이 구속됐다. 당시 서울대 경영학과 3학년 양원태씨가 구청 5층에서 떨어져 하반신이 마비되는 중상을 입었다.
부정선거 의혹은 노태우 후보의 당선과 함께 쟁점이 되지 못했다. 흐지부지됐다. 이 때문에 ‘다수 사망설’, ‘개표 사전 조작’ 등의 유언비어가 나돌았다. 소셜네트워크서비스(SNS)가 없던 시절인 까닭에 대자보와 유인물을 통해 입에서 입으로 검증되지 않은 소문들이 퍼져 나갔다. 특정 상황이나 사건을 올바르게 파악하고 대처하려는 일반인들의 주체적이고 적극적인 언론 활동을 유언비어로 보는 시각도 있다. 닫힌 사회의 양상이다.
문제의 투표함은 선관위로 되돌아갔다. 그러나 투표함을 열지 않고 대선 개표를 마감했다. 4529명의 부재자 투표자 중 4325명이 투표했을 것으로 예상됐지만 무효 처리했다. 노태우 후보와 김영삼 후보와의 표차가 200만표나 돼 최종 개표 결과를 바꿀 수 없다는 등의 판단이 작용했다. 투표함은 ‘부정투표’ 논란에 대한 진위조차 가리지 않은 채 봉인돼 중앙선관위 수장고에 들어갔다.
29년이 흘렀다. 구로을 투표함이 오는 14일 공개적으로 개봉된다. 중앙선관위가 민주화운동 30주년과 19대 대선을 앞두고 투표함을 열어 검증하자는 한국정치학회의 제안을 받아들인 결과다. 판도라의 상자를 여는 것이다. 선관위의 부정선거였는지, 농성자들의 과잉 대응이었는지는 지켜볼 일이다. 예단할 필요도 없다. 다만 분명한 사실은 결코 다시는 있어선 안 될 ‘비극적인’ 사건이라는 점이다.
박홍기 논설위원 hkpark@seoul.co.kr
2016-07-02 23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