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사를 재구성하는 데 무덤이 갖는 중요성은 독보적이다. 특히 시대가 올라갈수록 무덤의 존재는 더욱더 중요해진다. 갖가지 벽화를 남긴 고구려 고분이 없었다면 삼국시대 사람들의 정신세계를 재구성하는 작업은 엄두를 내지 못했을 것이다. 공주 송산리 고분군의 무령왕릉이 발견되지 않았다면 백제사를 규명하는 작업도 지금보다 어려웠을 것이다.
무덤이 중요한 것은 껴묻거리의 존재 때문이다. 전통 시대 가치관은 한마디로 다른 사람의 무덤을 넘보는 것은 벼락 맞을 일이었다. 그런데 일제강점기에 접어들어 가치관에 변화가 일어나면서 천년도 넘게 아무 일 없었던 무덤도 성치 않게 됐다. 부장품이 화려할수록 돈이 됐으니 도굴꾼도 들끓었다. 불행한 일이다.
무령왕릉이 중요한 것도 도굴을 피했기 때문이었다. 무령왕릉에서 출토된 유물은 4600점에 이른다. 국립공주박물관이 새로 세워진 것도 무령왕릉 출토 유물을 전시하기 위해서였다. 무덤 주인이 누구인지 알려 주는 지석(誌石)과 신(神)에게 땅을 사들여 장사 지내는 것을 상징하는 양나라 동전 오수전(五銖錢), 그리고 무덤에 나쁜 기운이 침입하지 않도록 하는 석수(石獸)의 존재는 당시 장례 문화와 정신세계를 그대로 알 수 있게 했다.
고구려·백제와 비교해 신라 무덤에서 상대적으로 화려한 껴묻거리가 다량으로 출토된 것은 장례 문화가 달랐다기보다는 독특한 무덤 구조가 한몫했을 것이다. 신라의 대표적인 무덤 형태라고 할 수 있는 돌무지덧널무덤(積石木槨墳)은 도굴이 쉽지 않았다. 무령왕릉은 1971년 배수로를 파는 과정에서 우연히 발견됐다. 존재 자체를 몰라 도굴을 피한 것이다.
불교국가 고려는 내세(世)를 중요시하는 종교적 특성상 역시 불교국가였던 신라와 다름없이 부장품에 적지 않게 신경을 썼을 것이다. 하지만 화려한 껴묻거리가 있을 것으로 보이는 무덤일수록 도굴꾼의 기세도 드셌다. 오늘날 국보급 고려청자의 대부분은 사실상 고려왕릉의 부장품으로 알려져 있다. 안타깝게도 이미 고려 후기부터 도굴이 횡행했다고 한다.
반면 조선시대 왕릉은 대부분 도굴꾼의 손아귀에서 벗어날 수 있었다. 조선왕실 무덤은 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에 대거 등재됐을 만큼 풍수지리적으로 의미 있는 곳에 아름답고 화려하게 조성됐다. 하지만 껴묻거리는 역사상 어느 시대보다 소박했기 때문이다. 성리학을 국시로 표방한 조선은 ‘주자가례’를 비롯한 유교 경전의 가르침을 성실하게 따랐다.
어제 국립고궁박물관에서 개막한 ‘조선왕릉, 왕실의 영혼을 담다’ 특별전에서는 화려한 왕릉, 소박한 명기(明器)의 양상을 직접 확인할 수 있다. 명기란 죽은 자가 사후 세계에서 쓸 생활용품을 무덤에 넣은 것이다. 조선 왕실의 장례 문화 전반과 함께 정조 초장지(初葬地)에서 나온 왕실 명기의 실체를 보는 재미가 크다.
서동철 논설위원 dcsuh@seoul.co.kr
무령왕릉이 중요한 것도 도굴을 피했기 때문이었다. 무령왕릉에서 출토된 유물은 4600점에 이른다. 국립공주박물관이 새로 세워진 것도 무령왕릉 출토 유물을 전시하기 위해서였다. 무덤 주인이 누구인지 알려 주는 지석(誌石)과 신(神)에게 땅을 사들여 장사 지내는 것을 상징하는 양나라 동전 오수전(五銖錢), 그리고 무덤에 나쁜 기운이 침입하지 않도록 하는 석수(石獸)의 존재는 당시 장례 문화와 정신세계를 그대로 알 수 있게 했다.
고구려·백제와 비교해 신라 무덤에서 상대적으로 화려한 껴묻거리가 다량으로 출토된 것은 장례 문화가 달랐다기보다는 독특한 무덤 구조가 한몫했을 것이다. 신라의 대표적인 무덤 형태라고 할 수 있는 돌무지덧널무덤(積石木槨墳)은 도굴이 쉽지 않았다. 무령왕릉은 1971년 배수로를 파는 과정에서 우연히 발견됐다. 존재 자체를 몰라 도굴을 피한 것이다.
불교국가 고려는 내세(世)를 중요시하는 종교적 특성상 역시 불교국가였던 신라와 다름없이 부장품에 적지 않게 신경을 썼을 것이다. 하지만 화려한 껴묻거리가 있을 것으로 보이는 무덤일수록 도굴꾼의 기세도 드셌다. 오늘날 국보급 고려청자의 대부분은 사실상 고려왕릉의 부장품으로 알려져 있다. 안타깝게도 이미 고려 후기부터 도굴이 횡행했다고 한다.
반면 조선시대 왕릉은 대부분 도굴꾼의 손아귀에서 벗어날 수 있었다. 조선왕실 무덤은 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에 대거 등재됐을 만큼 풍수지리적으로 의미 있는 곳에 아름답고 화려하게 조성됐다. 하지만 껴묻거리는 역사상 어느 시대보다 소박했기 때문이다. 성리학을 국시로 표방한 조선은 ‘주자가례’를 비롯한 유교 경전의 가르침을 성실하게 따랐다.
어제 국립고궁박물관에서 개막한 ‘조선왕릉, 왕실의 영혼을 담다’ 특별전에서는 화려한 왕릉, 소박한 명기(明器)의 양상을 직접 확인할 수 있다. 명기란 죽은 자가 사후 세계에서 쓸 생활용품을 무덤에 넣은 것이다. 조선 왕실의 장례 문화 전반과 함께 정조 초장지(初葬地)에서 나온 왕실 명기의 실체를 보는 재미가 크다.
서동철 논설위원 dcsuh@seoul.co.kr
2016-06-22 31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