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가사유상은 가볍게 고개를 숙인 채 오른 손가락을 왼쪽 뺨에 살짝 대어 깊이 사유하는 자세를 취하고 있다. 반가(半跏)는 아래로 내린 왼쪽 다리의 무릎 위에 오른 다리를 올린 모습을 말한다. 반가는 반가부좌의 줄임말이다. 반가사유상에 ‘미륵보살’이라는 표현을 덧붙였던 시절도 있었다. 일본 오사카의 야추지(野中寺)에 전하는 반가사유상의 발바닥에 ‘병인년’(666년)과 함께 ‘미륵’이라는 글자가 새겨져 있어 ‘반가사유상은 곧 미륵보살’이라는 등식이 한동안 통용됐기 때문이다. 실제 우리나라의 반가사유상 역시 미륵보살일 가능성이 크다고 한다.
우리나라 반가사유상의 제작 시기가 삼국시대 말에 집중되어 있는 것도 당시 불교 신앙의 양상과 궤를 같이한다. ‘백제의 미소’로 잘 알려진 서산 용현리 마애여래삼존불의 왼쪽 협시보살도 반가사유상의 모습이다. 반가사유상이 집중 조성된 6세기 말 7세기 초의 마애불이다. 미륵은 미래 이 땅에 내려와 죽음이 없고 평화로우며 풍요로운 도솔천을 구현하는 존재다. 싯다르타의 고뇌를 극복한 세상이 바로 이런 모습일 것이다. 그런 점에서 싯다르타가 고뇌한 이유와 미륵의 역할은 다르지 않다. 하지만 반가상이 꼭 미륵이라고 할 수도 없어 오늘날에는 반가사유상이라는 표현이 지지를 얻고 있다.
국립중앙박물관에서 ‘한일 국보 반가사유상의 만남’ 특별전이 열리고 있다. 국보 제78호 금동반가사유상과 일본 국보인 나라 주구지(中宮寺)의 목조반가사유상을 비교해 볼 수 있는 절호의 기회다. 한·일 국교 정상화 50주년을 계기로 현실화되기 어려운 일이 성사된 것이다.
두 반가사유상을 보고 있노라면 닮았으면서도 다른 한·일 두 나라의 미의식 차이를 실감하게 된다. 사실 닮은 것으로 따지면 국보 제83호 금동반가사유상과 일본 고류지(廣隆寺)의 반가사유상은 쌍둥이만큼이나 닮았다. 개인적으로 두 반가사유상도 우리 것은 우리식의, 일본 것은 일본식의 미의식이 담겨 있다고 생각한다. 그럼에도 함께 전시했다면 특별전의 취지와는 관계없이 불필요한 고류지 반가상의 제작지 논란만 다시 번질 가능성도 없지 않았을 것이다. 그런 점에서 국보 제78호와 주구지 반가사유상을 특별전에 앞세운 것 역시 고심의 결과다.
서동철 논설위원 dcsuh@seoul.co.kr
2016-05-26 31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