배설 선생 기념사업회로부터 문자 한 통을 받았다. 5월 7일 오전 서울 마포구 합정역 7번 출구 양화진성지공원에서 107주기 배설 선생 경모대회를 개최한다는 행사 안내문이었다. 지난해 처음 이 행사에 참석했는데 예상 밖의 규모에 깜짝 놀랐다. 행사 진행 요원들의 열정도 감동적이었다. 몇 분 안 되는 기념사업회 임원들이 혼신의 힘을 다해 손님을 맞았다. 군악대의 연주가 이어지고, 대한독립군가선양회 합창단의 배설 선생 송가, 한국전통춤연구회의 진혼무 등 다채로운 행사도 펼쳐졌다.
배설 선생의 본명은 어니스트 토머스 베델이다. 고종 황제가 영국인인 그에게 배설(裵說)이라는 이름을 지어 줬다고 한다. 그는 영국 런던에서 발간되던 일간지 크로니클의 통신원으로 러일전쟁을 취재하기 위해 1904년 3월 10일 한국 땅을 밟았다. 이후 양기탁·신채호·박은식 선생과 접촉하면서 대한제국이 풍전등화에 놓인 것을 알고 1904년 7월 18일 대한매일신보를 창간한다. 이후 대한매일신보를 통해 을사늑약이 무효라는 것을 밝히는 호외를 발간하고, 국채보상운동을 펼치는 등 대한제국의 자주독립을 위해 노력하다 1909년 사망한다. 그의 나이 37세였다. 여기까지는 잘 알려진 사실이다. 그러나 한국프레스센터(서울신문) 1층 로비에 배설 선생의 흉상이 있다는 것을 아는 사람들은 드물 것이다. 이곳에는 대한매일신보 영인본도 전시돼 있다. 아울러 배설 선생이 만든 대한매일신보의 창간일 7월 18일이 서울신문 창간 기념일이라는 사실을 기억하는 사람도 많지 않을 것이다. 대한매일신보는 일제시대 경성일보의 한글판인 매일신보를 거쳐 해방 후 서울신문, 대한매일, 서울신문으로 제호가 바뀌어 오늘에 이르고 있다. 배설 선생은 “나는 죽더라도 대한매일신보는 영생케 하여 한국 동포를 구하라”는 유언을 남겼다고 한다. 제호는 바뀌었지만 올해 창간 112주년을 맞은 서울신문이 선생의 유지를 이어 가고 있다. 그러나 남북으로 분단된 현실 속에서 선생의 유지는 여전히 미완으로 남아 있다.
영화 ‘동주’를 그제서야 봤다. 이 영화를 통해 시인 윤동주의 진면목과 독립운동가 송몽규를 알게 된 건 큰 수확이었다. 앞으로는 몽규가 없는 동주를 상상할 수 없을 것 같다는 생각이 들었다. 그런데 영화 ‘동주’를 보면서 배설 선생이 떠오르는 건 무엇 때문일까. 아마도 부끄럽고, 죄스런 마음이 아닐까 한다. 윤동주는 시를 통해 우리 곁을 떠난 적이 없었다. 영화를 통해 그의 새로운 모습을 봤을 뿐이다. 그런데 배설 선생에 대해서는 너무나 모르고 지내 온 것 같다. 최소한의 도리도 못 한 것이 부끄럽고 죄스럽다. ‘파란 녹이 낀 구리 거울 속에, 내 얼굴이 남아 있는 것은, 어느 왕조의 유물이기에, 이다지도 욕될까…’ 윤동주의 참회록을 되뇌면서 배설 선생을 추모한다.
강동형 논설위원 yunbin@seoul.co.kr
영화 ‘동주’를 그제서야 봤다. 이 영화를 통해 시인 윤동주의 진면목과 독립운동가 송몽규를 알게 된 건 큰 수확이었다. 앞으로는 몽규가 없는 동주를 상상할 수 없을 것 같다는 생각이 들었다. 그런데 영화 ‘동주’를 보면서 배설 선생이 떠오르는 건 무엇 때문일까. 아마도 부끄럽고, 죄스런 마음이 아닐까 한다. 윤동주는 시를 통해 우리 곁을 떠난 적이 없었다. 영화를 통해 그의 새로운 모습을 봤을 뿐이다. 그런데 배설 선생에 대해서는 너무나 모르고 지내 온 것 같다. 최소한의 도리도 못 한 것이 부끄럽고 죄스럽다. ‘파란 녹이 낀 구리 거울 속에, 내 얼굴이 남아 있는 것은, 어느 왕조의 유물이기에, 이다지도 욕될까…’ 윤동주의 참회록을 되뇌면서 배설 선생을 추모한다.
강동형 논설위원 yunbin@seoul.co.kr
2016-05-07 23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