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석유고갈론자’들이 다 어디로 간 거지? 수십 년 뒤엔 자원이 바닥나 석기시대로 돌아갈 수 있다고 겁을 주던 사람들이 자취를 감췄다. 저유가 시대가 본격화하면서 나타난 현상이다. 2013년까지만 해도 배럴당 100달러를 맴돌던 국제 유가가 지난해엔 50~70달러, 올 들어 30달러 아래로 추락했다. 고갈을 막기 위해 아껴 쓰자던 석유가 그야말로 ‘똥값’이 된 이유는 공급 과잉이다. 그리고 그 중심에 미국이 있다. 미국은 셰일가스 채굴 이후 지난 6년간 원유 생산량을 약 2배 늘렸다. 셰일가스는 미국의 ‘에너지 혁명’을 이끌고 있다. 셰일가스 생산 이후 미국은 석유 수입을 줄이면서 석유 최대 수입국 지위를 2013년 중국에 넘겨줬다. 미국의 석유 수입량은 2014년 말 기준으로 셰일가스 생산 전보다 하루 약 400만 배럴 줄었다. 국제 석유시장에 그만큼 석유가 남아돌게 된 것이다. 공급 과잉이 오죽 심하면 국제에너지기구(IEA)가 지난 1월 “국제 원유시장이 익사할 수도 있다”고 했을까.
산유국들이 생산 조절에 나선다 해도 공급 과잉에 따른 저유가의 큰 흐름은 바뀌기 어려울 것 같다. 미국이 셰일가스 생산량을 계속 늘리고 있는 데다, 기술 발달에 따른 에너지 효율성이 높아지면서 에너지 필요량은 외려 줄어들고 있다. 세계적인 에너지 기업 엑손모빌은 2013년 보고서에서 2025년에 미국이 에너지 수출국이 될 것이라고 전망했다. 미국뿐만 아니라 유럽, 아태 지역에도 다량의 셰일가스 매장이 확인되고 있어 2020년까지 연평균 9% 셰일가스 시장이 성장할 것이라는 보고서까지 최근 나왔다. 반면 석유 수요는 앞으로도 크게 늘 것 같지 않다. 미국 전자공업협회(EIA) 등은 2025년이 되면 지구의 에너지 소비량이 약 35% 증가할 것으로 내다보고 있다. 하지만 전기차의 보편화, 원자력, 풍력, 태양광 등 다른 에너지원의 확대로 석유 수요는 외려 낮아질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저유가의 고착은 산유국과 채굴기업 등 ‘석유부자’들의 몰락을 가져올 가능성이 크다. 러시아는 직격탄을 맞고 있다. 에너지 자원 수출에 대한 경제 의존도가 절대적으로 높기 때문이다. 발등에 불이 떨어지자 올 들어 에너지와 항공, 철도 등 국가 기간산업을 떠받쳐 온 국영기업들의 매각에 나섰다. 천연가스 공급을 무기로 한, 유럽에 대한 영향력도 급속히 약화되고 있다. 중동 국가들의 처지도 마찬가지다. 최대 석유수출국인 사우디는 지난해 980억 달러 규모의 사상 최대 적자를 기록했고, 급기야 세계 최대 규모의 국영 석유기업인 아람코를 비롯, 항공사와 철도회사 등 거의 모든 분야에서 민영화를 검토하고 있다. 이들 산유국들에겐 저유가가 그야말로 재앙이다. 이들은 폭풍처럼 닥친 위기를 딛고 살아남을 수 있을까. 아니면 이들에게 석유 부국 지위를 안긴 ‘화석시대’를 호령했던 공룡들처럼 환경 적응에 실패해 결국 파멸을 맞을까.
임창용 논설위원 sdragon@seoul.co.kr
저유가의 고착은 산유국과 채굴기업 등 ‘석유부자’들의 몰락을 가져올 가능성이 크다. 러시아는 직격탄을 맞고 있다. 에너지 자원 수출에 대한 경제 의존도가 절대적으로 높기 때문이다. 발등에 불이 떨어지자 올 들어 에너지와 항공, 철도 등 국가 기간산업을 떠받쳐 온 국영기업들의 매각에 나섰다. 천연가스 공급을 무기로 한, 유럽에 대한 영향력도 급속히 약화되고 있다. 중동 국가들의 처지도 마찬가지다. 최대 석유수출국인 사우디는 지난해 980억 달러 규모의 사상 최대 적자를 기록했고, 급기야 세계 최대 규모의 국영 석유기업인 아람코를 비롯, 항공사와 철도회사 등 거의 모든 분야에서 민영화를 검토하고 있다. 이들 산유국들에겐 저유가가 그야말로 재앙이다. 이들은 폭풍처럼 닥친 위기를 딛고 살아남을 수 있을까. 아니면 이들에게 석유 부국 지위를 안긴 ‘화석시대’를 호령했던 공룡들처럼 환경 적응에 실패해 결국 파멸을 맞을까.
임창용 논설위원 sdragon@seoul.co.kr
2016-02-17 31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