패러디는 특정 작가의 작품을 모방하거나 해학적으로 변형하는 것을 말한다. 시와 소설, 음악과 미술 등 모든 예술 분야에서 다양하게 사용되고 있다. 단순한 오락으로 재미 삼아 가사와 곡을 바꾸는 수준을 넘어 창작물로 받아들여지고 있다. 표절과는 전혀 다른 개념이다.
패러디(Parody)의 어원은 그리스어 패러디아(Paradia)에서 왔는데 접두어 패러(Para)는 하나가 아닌 이중 또는 양면이라는 뜻을 지니고 있다. 따라서 패러디는 원전을 모방하지만 다르다는 뜻이 있다. 패러디 작품이나 노래가 표절이 아닌 창작물로 여겨지는 것은 바로 이 때문이다. 창작물이지만 패러디 작품을 원작자의 동의 없이 영리 목적 또는 원곡을 크게 망쳤을 때는 소송을 당할 수도 있다. 서태지가 자신의 노래 ‘컴백홈’을 ‘컴배콤’으로 패러디한 가수를 상대로 소송을 낸 적이 있다.
외국에는 시와 소설, 그림과 음악과 영화 등 많은 분야에서 유명한 패러디 작품들이 있다. 우리나라에도 패러디 작품이 적지 않지만 잘 알려진 패러디 작품은 시(詩)에서 쉽게 게 찾아볼 수 있다. 내로라하는 시인들이 반복적으로 패러디하는 시는 아마도 김춘수 시인의 ‘꽃’이라는 작품일 것이다. ‘내가 그 이름을 불러주기 전에는, 그는 다만, 하나의 몸짓에 지나지 않았다. 내가 그 이름을 불러 주었을 때, 그는 나에게로 와서, 꽃이 되었다. …’
소설가이자 시인인 장정일은 ‘꽃’을 패러디해 ‘라디오같이 사랑을 끄고 켤 수 있다면’이란 작품을 썼다. ‘내가 단추를 눌러 주기 전에는, 그는 다만, 하나의 라디오에 지나지 않았다. 내가 그의 단추를 눌러주었을 때 그는 나에게로 와서 전파가 되었다. …’ 오규원 시인은 아예 시 제목을 ‘꽃의 패러디’라고 지었다. 이들 외에도 많은 시인과 일반인들이 ‘꽃’을 패러디하고 있다.
우리 민요 ‘아리랑’은 아마도 노래 가운데 가장 많이 패러디된 작품으로 손꼽힐 것이다. 강원도 아리랑, 밀양 아리랑, 진도 아리랑…. 이들 모두가 따지고 보면 아리랑을 패러디한 작품들이다.
요즘 뜨는 가수 이애란씨가 노래한 ‘백세인생’이 대박 행진을 하고 있다. 정치권에서 내년 총선 로고송으로 사용하기 위해 공을 들이고 있다고 한다. ‘백세인생’의 인기 비결은 친숙한 가락과 노랫말에 있다. ‘백 세에 저 세상에서 날 데리러 오거든, 좋은 날 좋은 시에 간다고 전해라. 아리랑 아리랑 아라리오, 아리랑 고개로 또 넘어 간다.’ ‘백세인생’은 누가 뭐라 해도 아리랑을 패러디한 노래다. ‘백세인생’ 노랫말은 고령화 사회를 투영하고 있다. 죽음을 노래한다는 점에서 슬프지만, ‘(못) 간다고 전해라’라는 대목에서 해학을 느낀다. 많은 사람이 ‘ 백세인생’을 패러디하고 있다. 무엇보다 젊은이들에게 공감을 준다는 점이 반갑다. 아리랑 패러디물이 이어지길 기대한다.
강동형 논설위원 yunbin@seoul.co.kr
패러디(Parody)의 어원은 그리스어 패러디아(Paradia)에서 왔는데 접두어 패러(Para)는 하나가 아닌 이중 또는 양면이라는 뜻을 지니고 있다. 따라서 패러디는 원전을 모방하지만 다르다는 뜻이 있다. 패러디 작품이나 노래가 표절이 아닌 창작물로 여겨지는 것은 바로 이 때문이다. 창작물이지만 패러디 작품을 원작자의 동의 없이 영리 목적 또는 원곡을 크게 망쳤을 때는 소송을 당할 수도 있다. 서태지가 자신의 노래 ‘컴백홈’을 ‘컴배콤’으로 패러디한 가수를 상대로 소송을 낸 적이 있다.
외국에는 시와 소설, 그림과 음악과 영화 등 많은 분야에서 유명한 패러디 작품들이 있다. 우리나라에도 패러디 작품이 적지 않지만 잘 알려진 패러디 작품은 시(詩)에서 쉽게 게 찾아볼 수 있다. 내로라하는 시인들이 반복적으로 패러디하는 시는 아마도 김춘수 시인의 ‘꽃’이라는 작품일 것이다. ‘내가 그 이름을 불러주기 전에는, 그는 다만, 하나의 몸짓에 지나지 않았다. 내가 그 이름을 불러 주었을 때, 그는 나에게로 와서, 꽃이 되었다. …’
소설가이자 시인인 장정일은 ‘꽃’을 패러디해 ‘라디오같이 사랑을 끄고 켤 수 있다면’이란 작품을 썼다. ‘내가 단추를 눌러 주기 전에는, 그는 다만, 하나의 라디오에 지나지 않았다. 내가 그의 단추를 눌러주었을 때 그는 나에게로 와서 전파가 되었다. …’ 오규원 시인은 아예 시 제목을 ‘꽃의 패러디’라고 지었다. 이들 외에도 많은 시인과 일반인들이 ‘꽃’을 패러디하고 있다.
우리 민요 ‘아리랑’은 아마도 노래 가운데 가장 많이 패러디된 작품으로 손꼽힐 것이다. 강원도 아리랑, 밀양 아리랑, 진도 아리랑…. 이들 모두가 따지고 보면 아리랑을 패러디한 작품들이다.
요즘 뜨는 가수 이애란씨가 노래한 ‘백세인생’이 대박 행진을 하고 있다. 정치권에서 내년 총선 로고송으로 사용하기 위해 공을 들이고 있다고 한다. ‘백세인생’의 인기 비결은 친숙한 가락과 노랫말에 있다. ‘백 세에 저 세상에서 날 데리러 오거든, 좋은 날 좋은 시에 간다고 전해라. 아리랑 아리랑 아라리오, 아리랑 고개로 또 넘어 간다.’ ‘백세인생’은 누가 뭐라 해도 아리랑을 패러디한 노래다. ‘백세인생’ 노랫말은 고령화 사회를 투영하고 있다. 죽음을 노래한다는 점에서 슬프지만, ‘(못) 간다고 전해라’라는 대목에서 해학을 느낀다. 많은 사람이 ‘ 백세인생’을 패러디하고 있다. 무엇보다 젊은이들에게 공감을 준다는 점이 반갑다. 아리랑 패러디물이 이어지길 기대한다.
강동형 논설위원 yunbin@seoul.co.kr
2015-12-23 31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