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리아 다마스쿠스에 살던 압둘라 쿠르디 가족은 다른 난민들과 그리스로 건너가고자 작은 고무보트에 올랐다. 압둘라와 부인, 어린 두 아이가 내전을 피해 최종적으로 가고 싶었던 곳은 스웨덴이었다. 하지만 터키 해안을 출발하자마자 고무보트는 거친 파도에 위태롭게 흔들렸다. 안전을 장담하던 브로커는 혼자 뛰어내려 해안으로 도망쳤다. 결국 고무보트는 뒤집혔고 설상가상으로 바람마저 빠지고 있었다. 두 아이는 어느 틈엔가 품에서 사라졌다. 압둘라는 마지막까지 붙잡고 있던 아내의 손마저 놓치고 만다.
터키 해안에서 익사한 채 발견돼 전 세계를 울리고 있는 세 살배기 시리아 난민 아일란 쿠르디는 바로 압둘라의 막내아들이다. 압둘라는 인형보다 귀여웠던 아일란은 물론 다섯 살짜리 큰아들 갈립과 부인도 함께 잃었다. 압둘라는 전에도 두 차례나 브로커에게 돈을 주고 에게해를 건너 그리스의 코스섬까지 가려고 했지만 성사되지는 않았다고 한다. 이번이 세 번째 시도였다고 외신은 전하고 있다.
전쟁의 고통에서 벗어나 안전한 곳으로 가려던 압둘라 가족의 비극은 한국인들에게는 남다르게 다가온다. 6·25전쟁을 겪은 세대라면 비슷한 경험을 공유한 사람이 많기 때문이다. 아일란의 죽음은 지난해 연말 개봉해 올해 상반기 내내 적지 않은 관객을 눈물짓게 했던 영화 ‘국제시장’의 한 장면을 곧바로 연상시킨다.
흥남 철수 당시 주인공 덕수의 작은 여동생 막순이 동해의 차가운 물속으로 떨어지는 장면을 기억하는 사람이 많을 것이다. 막순은 미국 화물선 메러디스 빅토리호에 오르는 과정에서 오빠의 손을 놓치고 말았다. 극중 막순의 나이가 세 살이나 네 살쯤 되지 않았을까 싶다. 구조된 막순이 미국에 입양되어 나중에 가족과 극적 상봉을 하는 것은 아일란과 다르지만….
유럽 각국은 쏟아져 들어오는 시리아 난민을 어떻게 나누어 수용할 것인가를 두고 눈치싸움이 한창이었다. 앙겔라 메르켈 독일 총리는 망명을 신청한 80만명의 시리아 난민을 모두 받아들일 것이라고 공언했다. 나아가 메르켈은 유럽연합 각국에도 폐쇄적인 이민 및 난민 정책의 변화를 촉구하기도 했다. 노동력이 부족한 독일이니 그런 것 아니냐는 시각도 없지는 않다. 하지만 메르켈은 지금 독일 국내에서 극심한 반대를 무릅쓰고 있는 만큼 그것만으로는 설명이 되지 않는다.
그런데 아일란의 주검을 담은 사진 한 장이 충격을 던지면서 난민 수용에 소극적이었던 유럽 국가의 자세도 바꾸어 놓고 있다. 그동안 난민 수용에 반대하던 영국의 데이비드 캐머런 총리가 수천 명의 시리아 난민을 수용할 것이라고 조만간 밝힐 예정이라는 것이다. 멀리 떨어진 곳에서 일어난 일이라고 누구를 칭찬하고 누구를 비난할 상황은 아닌 것 같다. 우리에게 이런 대규모 난민이 예상치 않게 닥친다면 어떻게 뜻을 모을 것인지 정말 궁금하다.
서동철 수석논설위원 dcsuh@seoul.co.kr
터키 해안에서 익사한 채 발견돼 전 세계를 울리고 있는 세 살배기 시리아 난민 아일란 쿠르디는 바로 압둘라의 막내아들이다. 압둘라는 인형보다 귀여웠던 아일란은 물론 다섯 살짜리 큰아들 갈립과 부인도 함께 잃었다. 압둘라는 전에도 두 차례나 브로커에게 돈을 주고 에게해를 건너 그리스의 코스섬까지 가려고 했지만 성사되지는 않았다고 한다. 이번이 세 번째 시도였다고 외신은 전하고 있다.
전쟁의 고통에서 벗어나 안전한 곳으로 가려던 압둘라 가족의 비극은 한국인들에게는 남다르게 다가온다. 6·25전쟁을 겪은 세대라면 비슷한 경험을 공유한 사람이 많기 때문이다. 아일란의 죽음은 지난해 연말 개봉해 올해 상반기 내내 적지 않은 관객을 눈물짓게 했던 영화 ‘국제시장’의 한 장면을 곧바로 연상시킨다.
흥남 철수 당시 주인공 덕수의 작은 여동생 막순이 동해의 차가운 물속으로 떨어지는 장면을 기억하는 사람이 많을 것이다. 막순은 미국 화물선 메러디스 빅토리호에 오르는 과정에서 오빠의 손을 놓치고 말았다. 극중 막순의 나이가 세 살이나 네 살쯤 되지 않았을까 싶다. 구조된 막순이 미국에 입양되어 나중에 가족과 극적 상봉을 하는 것은 아일란과 다르지만….
유럽 각국은 쏟아져 들어오는 시리아 난민을 어떻게 나누어 수용할 것인가를 두고 눈치싸움이 한창이었다. 앙겔라 메르켈 독일 총리는 망명을 신청한 80만명의 시리아 난민을 모두 받아들일 것이라고 공언했다. 나아가 메르켈은 유럽연합 각국에도 폐쇄적인 이민 및 난민 정책의 변화를 촉구하기도 했다. 노동력이 부족한 독일이니 그런 것 아니냐는 시각도 없지는 않다. 하지만 메르켈은 지금 독일 국내에서 극심한 반대를 무릅쓰고 있는 만큼 그것만으로는 설명이 되지 않는다.
그런데 아일란의 주검을 담은 사진 한 장이 충격을 던지면서 난민 수용에 소극적이었던 유럽 국가의 자세도 바꾸어 놓고 있다. 그동안 난민 수용에 반대하던 영국의 데이비드 캐머런 총리가 수천 명의 시리아 난민을 수용할 것이라고 조만간 밝힐 예정이라는 것이다. 멀리 떨어진 곳에서 일어난 일이라고 누구를 칭찬하고 누구를 비난할 상황은 아닌 것 같다. 우리에게 이런 대규모 난민이 예상치 않게 닥친다면 어떻게 뜻을 모을 것인지 정말 궁금하다.
서동철 수석논설위원 dcsuh@seoul.co.kr
2015-09-05 23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