독일 작가 마르크스 피카르트는 ‘침묵의 세계’라는 책을 통해 침묵을 이렇게 정의했다. “침묵은 인간을 포함해 세상 모든 것의 존재를 증명하는 제3자의 언어와 같다. 침묵은 말을 포기해서가 아니라 말이 끝나는 지점에서 그 존재를 드러낸다. 우리는 침묵이란 언어를 잊고 있었을 뿐이다.” 뇌의학의 관점에서 침묵은 가치가 있다고 한다. 새로운 지식 혹은 정보가 뇌에 입력될 때까지는 시간(침묵)이 필요한 데 쉴 새 없이 또 다른 지식이나 소음이 들어가면 이전의 지식과 정보는 날아가 버린다는 것이다. 또 인간이 동물과 구분되는 특징 중의 하나인 충동과 욕구를 잘 조절해 주는 데도 침묵이 도움이 된다.
침묵은 때론 위력적이다. 오바마 미국 대통령은 2011년 1월 13일 애리조나 총기 난사 사건 현장인 투손을 방문해 30분이 넘는 추모 연설을 했다. 오바마는 “우리 민주주의가 9살 난 최연소 희생자 크리스티나 그린이 상상한 것과 같이 좋았으면 한다”는 대목에 이르러 그만 감정에 북받쳐 연설을 중단해야만 했다. 감정을 추스르느라 입을 다물었고 눈물을 보였다. 51초 동안 침묵이 흘렀다. 뉴욕타임스는 ‘국민과 소통한 극적 순간’이라며 극찬했다. 프레젠테이션의 귀재로 불렸던 애플의 스티브 잡스는 제품 설명 도중 말을 툭 끊는 것으로 유명했다. 청중의 관심을 끄는 ‘의도된 침묵’으로 늘 성공했다. 지난해 5월 세월호 참사 관련 대국민 담화 발표 도중 희생자의 이름을 부르다 말문이 막힌 박근혜 대통령의 침묵도 눈길을 끌었다.
침묵은 반대로 난처하거나 사실을 숨기려 할 때 괜찮은 무기로 활용된다. 곧이곧대로 말할 수는 없고, 그렇다고 거짓말을 할 수도 없을 때다. 민감한 사안에 대한 질문을 요구받는 누구라도 이를 애써 외면하지 못한다. 한때는 독재자들이 침묵을 방패막이로 활용했다. 정신분석학자인 에리히 프롬은 저서 ‘건전한 사회’에서 “실제적인 관점에서 진리보다 침묵이 더 위대하다. 지도자들은 어떤 문제에 대한 언급을 회피하거나 또는 바람직하지 않다고 판단한 사실이나 쟁점을 처칠이 말한 ‘철의 장막’으로 둘러쳐 대중이 그것을 알지 못하게 함으로써 아주 떠들썩하게 반박하거나 논리적 반증으로 견강부회하는 것보다 훨씬 더 효과적이다”고 했다. 침묵의 또 다른 얼굴이다.
롯데가의 경영권 분쟁에 창업자인 신격호 총괄회장이 요즘 침묵으로 일관하고 있다고 한다. 일부러 말을 하지 않으려고 하는 건지, 일각의 우려처럼 건강 이상설 등으로 말을 못 하는 건지는 알 수 없다. 고 정주영 현대그룹 명예회장은 ‘왕자의 난’ 때 아들들이 문지방이 닳도록 들락거리는 걸 보고 얼른 문을 닫았다고 한다. 말도 잘 못 하고 정신도 오락가락했지만 본능적으로 다투는 모습을 외면하고 싶었을 것이라는 후문이었다. 적어도 신 회장도 ‘말의 침묵’보다는 ‘생각의 침묵’을 택했을 수 있다. ‘욕망의 침묵’은 아닐 테고.
주병철 논설위원 bcjoo@seoul.co.kr
침묵은 때론 위력적이다. 오바마 미국 대통령은 2011년 1월 13일 애리조나 총기 난사 사건 현장인 투손을 방문해 30분이 넘는 추모 연설을 했다. 오바마는 “우리 민주주의가 9살 난 최연소 희생자 크리스티나 그린이 상상한 것과 같이 좋았으면 한다”는 대목에 이르러 그만 감정에 북받쳐 연설을 중단해야만 했다. 감정을 추스르느라 입을 다물었고 눈물을 보였다. 51초 동안 침묵이 흘렀다. 뉴욕타임스는 ‘국민과 소통한 극적 순간’이라며 극찬했다. 프레젠테이션의 귀재로 불렸던 애플의 스티브 잡스는 제품 설명 도중 말을 툭 끊는 것으로 유명했다. 청중의 관심을 끄는 ‘의도된 침묵’으로 늘 성공했다. 지난해 5월 세월호 참사 관련 대국민 담화 발표 도중 희생자의 이름을 부르다 말문이 막힌 박근혜 대통령의 침묵도 눈길을 끌었다.
침묵은 반대로 난처하거나 사실을 숨기려 할 때 괜찮은 무기로 활용된다. 곧이곧대로 말할 수는 없고, 그렇다고 거짓말을 할 수도 없을 때다. 민감한 사안에 대한 질문을 요구받는 누구라도 이를 애써 외면하지 못한다. 한때는 독재자들이 침묵을 방패막이로 활용했다. 정신분석학자인 에리히 프롬은 저서 ‘건전한 사회’에서 “실제적인 관점에서 진리보다 침묵이 더 위대하다. 지도자들은 어떤 문제에 대한 언급을 회피하거나 또는 바람직하지 않다고 판단한 사실이나 쟁점을 처칠이 말한 ‘철의 장막’으로 둘러쳐 대중이 그것을 알지 못하게 함으로써 아주 떠들썩하게 반박하거나 논리적 반증으로 견강부회하는 것보다 훨씬 더 효과적이다”고 했다. 침묵의 또 다른 얼굴이다.
롯데가의 경영권 분쟁에 창업자인 신격호 총괄회장이 요즘 침묵으로 일관하고 있다고 한다. 일부러 말을 하지 않으려고 하는 건지, 일각의 우려처럼 건강 이상설 등으로 말을 못 하는 건지는 알 수 없다. 고 정주영 현대그룹 명예회장은 ‘왕자의 난’ 때 아들들이 문지방이 닳도록 들락거리는 걸 보고 얼른 문을 닫았다고 한다. 말도 잘 못 하고 정신도 오락가락했지만 본능적으로 다투는 모습을 외면하고 싶었을 것이라는 후문이었다. 적어도 신 회장도 ‘말의 침묵’보다는 ‘생각의 침묵’을 택했을 수 있다. ‘욕망의 침묵’은 아닐 테고.
주병철 논설위원 bcjoo@seoul.co.kr
2015-08-11 27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