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는 홍해를 항행하였다. … 봉운이 나를 깨워 갑판으로 인도하였다. “시나이 산.” 그는 이렇게 말하고는 아주 먼 거리에 검푸른 빛으로 어렴풋이 보이는 산정을 가리켰다. 그날 밤, 우리의 배는 수에즈운하를 통과하였다. 큰 여객선은 모래 언덕 사이의 좁은 물길을 고생스럽게 간신히 지나갔다. 좌우로 쓸쓸한 풍경이 창백한 달빛 아래에 전개되었다. 천천히, 우리가 걷는 것보다도 별로 빠르지 않은 속도로, 휘황찬란한 창을 수없이 가진 배가 처참한 빈 사막을 미끄러져 갔다.’
독일에서 문명(文名)을 떨친 작가 이의경(1899~1950)의 자전적 소설 ‘압록강은 흐른다’의 한 대목이다. 이미륵이라는 필명으로 더욱 잘 알려진 그는 경성의전 재학 시절 3·1운동이 일어나자 학생운동을 주도하다 중국 상하이로 망명한다. 이후 대한민국 임시정부의 일을 돕다가 유럽으로 건너가 1920년 독일에 정착하게 된다. 독일 문단에서 호평을 받으며 베스트셀러에 오른 이 소설에 묘사되어 있는 대로 당시 아시아에서 유럽으로 가려면 수에즈운하를 통과하는 것이 당연했다.
지중해의 포트사이드와 홍해의 수에즈를 잇는 길이 193.3㎞의 수에즈운하는 1869년 11월 17일 개통됐다. 수에즈는 고대 이집트 시대부터 홍해와 나일강을 잇는 교통의 요지이자 무역의 중심지 역할을 했던 유서 깊은 도시다. 반면 포트사이드는 수에즈운하 개발에 따라 새로 만들어진 도시로 포트(port)라는 유럽어식 표현에 이슬람 세계에서 흔한 사이드(Said)라는 인명이 더해진 지명이다.
수에즈운하는 프랑스인 페르디낭 마리 드 레셉스가 운하 개발권을 따내 1859년 4월 25일 착공했다. 드 레셉스에게 운하 개발권을 넘긴 사람이 당시 오스만제국의 이집트 총독 사이드 파샤였다. 1863년 세상을 떠난 그의 후계자 이스마일 파샤가 운하의 개통을 축하하는 뜻으로 이탈리아 작곡가 베르디에게 의뢰해 오페라 ‘아이다’가 탄생했다는 사실은 잘 알려져 있다.
수에즈운하로 아시아와 유럽 사이의 항로는 아프리카 남단 희망봉을 돌아갈 때보다 절반이나 짧아졌다. 부(富)의 보고인 아시아, 중동, 아프리카에 영향력을 확대하기 급급했던 유럽 국가들은 수에즈운하를 사이에 두고 수없이 충돌했다. 영국이 1875년 이집트 정부의 운하 지분을 사들인 이후 지배권을 오래 행사했지만, 1959년 이집트의 나세르 정권이 옛 소련의 지원으로 전격 국유화에 성공했다.
이집트가 제2 수에즈운하를 건설해 6일(현지시간) 개통식을 가졌다. 일부는 기존 운하와 나란히 새로운 운하를 뚫었고, 일부 구간은 폭과 깊이를 늘려 쌍방향 통행이 가능하도록 했다. 이집트 정부는 통행료 수입이 많이 늘어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고 한다. 하지만 또 어떤 갈등의 불씨가 될지는 짐작조차 할 수 없다. 이제는 중국까지 나서 운하의 지분을 확보하려 동분서주하고 있다는 소식이다.
서동철 수석 논설위원 dcsuh@seoul.co.kr
독일에서 문명(文名)을 떨친 작가 이의경(1899~1950)의 자전적 소설 ‘압록강은 흐른다’의 한 대목이다. 이미륵이라는 필명으로 더욱 잘 알려진 그는 경성의전 재학 시절 3·1운동이 일어나자 학생운동을 주도하다 중국 상하이로 망명한다. 이후 대한민국 임시정부의 일을 돕다가 유럽으로 건너가 1920년 독일에 정착하게 된다. 독일 문단에서 호평을 받으며 베스트셀러에 오른 이 소설에 묘사되어 있는 대로 당시 아시아에서 유럽으로 가려면 수에즈운하를 통과하는 것이 당연했다.
지중해의 포트사이드와 홍해의 수에즈를 잇는 길이 193.3㎞의 수에즈운하는 1869년 11월 17일 개통됐다. 수에즈는 고대 이집트 시대부터 홍해와 나일강을 잇는 교통의 요지이자 무역의 중심지 역할을 했던 유서 깊은 도시다. 반면 포트사이드는 수에즈운하 개발에 따라 새로 만들어진 도시로 포트(port)라는 유럽어식 표현에 이슬람 세계에서 흔한 사이드(Said)라는 인명이 더해진 지명이다.
수에즈운하는 프랑스인 페르디낭 마리 드 레셉스가 운하 개발권을 따내 1859년 4월 25일 착공했다. 드 레셉스에게 운하 개발권을 넘긴 사람이 당시 오스만제국의 이집트 총독 사이드 파샤였다. 1863년 세상을 떠난 그의 후계자 이스마일 파샤가 운하의 개통을 축하하는 뜻으로 이탈리아 작곡가 베르디에게 의뢰해 오페라 ‘아이다’가 탄생했다는 사실은 잘 알려져 있다.
수에즈운하로 아시아와 유럽 사이의 항로는 아프리카 남단 희망봉을 돌아갈 때보다 절반이나 짧아졌다. 부(富)의 보고인 아시아, 중동, 아프리카에 영향력을 확대하기 급급했던 유럽 국가들은 수에즈운하를 사이에 두고 수없이 충돌했다. 영국이 1875년 이집트 정부의 운하 지분을 사들인 이후 지배권을 오래 행사했지만, 1959년 이집트의 나세르 정권이 옛 소련의 지원으로 전격 국유화에 성공했다.
이집트가 제2 수에즈운하를 건설해 6일(현지시간) 개통식을 가졌다. 일부는 기존 운하와 나란히 새로운 운하를 뚫었고, 일부 구간은 폭과 깊이를 늘려 쌍방향 통행이 가능하도록 했다. 이집트 정부는 통행료 수입이 많이 늘어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고 한다. 하지만 또 어떤 갈등의 불씨가 될지는 짐작조차 할 수 없다. 이제는 중국까지 나서 운하의 지분을 확보하려 동분서주하고 있다는 소식이다.
서동철 수석 논설위원 dcsuh@seoul.co.kr
2015-08-07 27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