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북촌은 이제 더이상 설명이 필요치 않은 문화의 거리가 됐다. 카페와 레스토랑이 큰 길가를 점령한 가운데 사이사이의 틈새를 장신구 가게며 옷 가게가 메워 가고 있는 것이 북촌의 겉모습이다. 그런데 가회동 골목골목의 한옥에는 전통 공예 공방이 벌써부터 자리잡아 가고 있다. 나전과 옻칠, 매듭과 자수, 한지와 민화, 염색과 단청, 도자 등 종류도 가지가지다. 여기에 서양 공예를 포함하면 이미 50개가 넘는 공방이 포진하고 있다.
공예 전문가인 최공호 한국전통문화대학교 교수는 북촌이 한국 공예의 중심지로 탈바꿈하고 있는 현상을 ‘견고한 관념을 뒤집은 통쾌한 변화’라고 설명한다. 이곳은 과거 명실상부한 권력 실세가 아니면 범접하기 어려운 곳이었다는 것이다. 실세가 아니면 현직에 있어도 물러나 살아야 했으니 돈이 있다고 아무나 들어갈 수 있는 곳이 아니었다. 그런데 가진 것은 ‘솜씨의 지혜’뿐인 공예인들이 주인이 되어 가고 있으니 놀랍다는 것이다.
사실 한국 사람만 몰랐을 뿐 한국 공예의 경쟁력은 남다르다. 화려하면서 기품 있는 왕실 공예와 절제의 미덕을 보여 주는 양반 공예, 소박한 기능미를 보여 주는 민초 공예의 다양한 양상 가운데 사라진 것도 없지는 않다. 하지만 20세기 척박한 환경에서도 한국 공예는 현대적 감각을 잃지 않았다. 예술성 높은 전통 공예 자체가 갖고 있는 현대성 때문이기도 하고, 현대적 감각을 전통 공예에 조화롭게 덧입힌 공예인들의 노력 때문이기도 하다.
한편으로 공예인 스스로 한국 공예를 세계에 알리고자 동분서주했다는 사실은 잘 알려지지 않았다. 공예인들은 2001년 파리 국제박람회 이후 자비를 들이다시피 각종 박람회에 참가했다. 해외 진출을 주도한 이칠용 한국공예예술가협회장은 “해외로 눈을 돌린 것은 국내에서 안 풀리는 것에 대한 반항이자 마지막 몸부림과 같은 것이었다”고 술회하고 있으니 미안할 뿐이다. 이런 노력으로 한국 공예의 국제적인 성가는 최근 크게 높아졌다. 이탈리아 밀라노에서는 해마다 ‘한국 공예의 법고창신전’이 열리고, 영국박물관(British Museum)과 빅토리아 앨버트 미술관도 출품된 옻칠 공예품을 구입한다.
지금 유럽에서는 북촌 공방도 참여한 또 하나의 한국 공예 전시회가 조용히 ‘공예 한류’의 바람을 이어 가고 있다. ‘한국 공예-사람, 장소, 이야기전’은 지난 1일부터 9월까지 벨기에, 독일, 영국 한국문화원에서 열린다. 나전과 옻칠은 언제나 주목의 대상이었지만, 이번에는 특히 바느질 중심의 규방 공예의 전시 및 체험 행사가 연일 관람객의 호응을 불러 모으고 있다고 한다. 문화체육관광부의 지원으로 이루어진 전시회다. 공예인들은 정부가 문화산업의 중요성을 말하지만, 시간이 흐를수록 값어치가 높아지는 문화산업이 공예 말고 또 있느냐고 반문한다. 이들의 목소리에 귀 기울였으면 한다.
서동철 수석논설위원 dcsuh@seoul.co.kr
공예 전문가인 최공호 한국전통문화대학교 교수는 북촌이 한국 공예의 중심지로 탈바꿈하고 있는 현상을 ‘견고한 관념을 뒤집은 통쾌한 변화’라고 설명한다. 이곳은 과거 명실상부한 권력 실세가 아니면 범접하기 어려운 곳이었다는 것이다. 실세가 아니면 현직에 있어도 물러나 살아야 했으니 돈이 있다고 아무나 들어갈 수 있는 곳이 아니었다. 그런데 가진 것은 ‘솜씨의 지혜’뿐인 공예인들이 주인이 되어 가고 있으니 놀랍다는 것이다.
사실 한국 사람만 몰랐을 뿐 한국 공예의 경쟁력은 남다르다. 화려하면서 기품 있는 왕실 공예와 절제의 미덕을 보여 주는 양반 공예, 소박한 기능미를 보여 주는 민초 공예의 다양한 양상 가운데 사라진 것도 없지는 않다. 하지만 20세기 척박한 환경에서도 한국 공예는 현대적 감각을 잃지 않았다. 예술성 높은 전통 공예 자체가 갖고 있는 현대성 때문이기도 하고, 현대적 감각을 전통 공예에 조화롭게 덧입힌 공예인들의 노력 때문이기도 하다.
한편으로 공예인 스스로 한국 공예를 세계에 알리고자 동분서주했다는 사실은 잘 알려지지 않았다. 공예인들은 2001년 파리 국제박람회 이후 자비를 들이다시피 각종 박람회에 참가했다. 해외 진출을 주도한 이칠용 한국공예예술가협회장은 “해외로 눈을 돌린 것은 국내에서 안 풀리는 것에 대한 반항이자 마지막 몸부림과 같은 것이었다”고 술회하고 있으니 미안할 뿐이다. 이런 노력으로 한국 공예의 국제적인 성가는 최근 크게 높아졌다. 이탈리아 밀라노에서는 해마다 ‘한국 공예의 법고창신전’이 열리고, 영국박물관(British Museum)과 빅토리아 앨버트 미술관도 출품된 옻칠 공예품을 구입한다.
지금 유럽에서는 북촌 공방도 참여한 또 하나의 한국 공예 전시회가 조용히 ‘공예 한류’의 바람을 이어 가고 있다. ‘한국 공예-사람, 장소, 이야기전’은 지난 1일부터 9월까지 벨기에, 독일, 영국 한국문화원에서 열린다. 나전과 옻칠은 언제나 주목의 대상이었지만, 이번에는 특히 바느질 중심의 규방 공예의 전시 및 체험 행사가 연일 관람객의 호응을 불러 모으고 있다고 한다. 문화체육관광부의 지원으로 이루어진 전시회다. 공예인들은 정부가 문화산업의 중요성을 말하지만, 시간이 흐를수록 값어치가 높아지는 문화산업이 공예 말고 또 있느냐고 반문한다. 이들의 목소리에 귀 기울였으면 한다.
서동철 수석논설위원 dcsuh@seoul.co.kr
2015-07-15 31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