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 서부 쓰촨(四川)성의 성도인 청두(成都) 주변은 청두평원, 또는 촨시(川西)평원으로 불린다. 총면적 2만 3000㎢에 이르는 대평원으로 끝없이 논과 밭이 펼쳐져 있어 중국 서부지역 최대의 양곡기지 역할을 톡톡히 하고 있다. 예로부터 이곳 사람들은 기근(飢饉)이 무슨 뜻인지도 모르고 살았다고 한다. 홍수와 가뭄이 없어 흉년을 경험하지 못했기 때문이다. 이곳을 물산이 풍부한 천부지국(天府之國)으로 부르는 이유다.
그러나 사실은 하늘이 내려준 땅이 아니었다. 수천년 전 선조들의 지혜와 땀으로 옥토가 만들어진 것이다. 일종의 댐, 제방 역할을 하는 두장옌(都江堰)으로 가뭄과 홍수를 효과적으로 제압해 온갖 산물이 풍성한 땅으로 바뀌었다. 역사는 2271년 전으로 거슬러 올라간다. 전국시대 진(秦)나라 소왕(昭王) 때 촉(蜀) 지방의 태수로 부임한 이빙(李?)은 청두평원에 큰 영향을 미치는 민(岷)강의 관개시설에 관심이 많았고, 마침내 기원전 256년부터 5년여간 두장옌을 건설했다.
원리는 비교적 간단하다. 강의 중심에 물고기의 주둥이를 닮은 대형 둑을 쌓아 물줄기를 두 가닥으로 분리함으로써 홍수와 가뭄을 동시에 대처할 수 있게 한 것이다. 대형 둑의 좌우는 내강과 외강으로 나뉜다. 홍수 때는 본류인 외강 쪽으로 강물의 60% 이상을 흐르도록 하고, 가물 때는 내강 쪽으로 60% 이상을 흘려보내 거미망 같은 3만여개의 관개수로를 따라 청두평원의 농지에 물을 공급해주는 방식이다. 두장옌의 물을 공급받는 지역은 현재 30여개 현과 시, 6600㎢에 이른다. 이쯤 되니 현지인들이 이빙을 치수(治水)의 신으로 추앙하는 것도 무리는 아니다.
사상 최악의 가뭄에 소양강댐 수몰 지역의 성황당 나무가 38년 만에 모습을 드러냈다고 한다. 소양강댐 수위는 1973년 준공 이후 역대 최저치에 근접한 상태다. 물이 부족해 인천 강화를 필두로 전국 곳곳의 농지가 거북등처럼 갈라지고, 농심은 타들어가고 있다. 한 바가지의 물이라도 더 긷기 위해 이미 마를 대로 말라버린 저수지 바닥을 포크레인으로 긁어내는 모습이 안쓰럽기만 하다.
수천년 동안 마르지 않은 두장옌과 40여년 동안 몇 차례나 바닥을 드러낸 소양강댐을 보면서 물을 대하는 차이를 엿보게 된다. 소양강댐도 처음엔 홍수와 가뭄 대처, 전력생산 등 다목적댐이라는 점을 내세웠다. 홍수를 막는 데는 톡톡한 역할도 했다. 하지만 가뭄에는 속수무책이다. 사실 전국이 바짝 말라가고 있지만 한강을 비롯한 4대강은 여전히 도도하게 흐르고 있다. 소양강댐 이남 청평댐, 팔당댐 등은 물이 가득 차 있다. 농부들로서는 ‘그림 속의 물’일 뿐이다. 예로부터 치수는 제왕들의 가장 큰 관심사였다. 무엇이 제대로 된 치수인지 이번 가뭄을 통해 확실히 알게 된다. 청두평원의 연평균 강수량은 1300㎜로 우리나라와 엇비슷하다.
박홍환 논설위원 stinger@seoul.co.kr
그러나 사실은 하늘이 내려준 땅이 아니었다. 수천년 전 선조들의 지혜와 땀으로 옥토가 만들어진 것이다. 일종의 댐, 제방 역할을 하는 두장옌(都江堰)으로 가뭄과 홍수를 효과적으로 제압해 온갖 산물이 풍성한 땅으로 바뀌었다. 역사는 2271년 전으로 거슬러 올라간다. 전국시대 진(秦)나라 소왕(昭王) 때 촉(蜀) 지방의 태수로 부임한 이빙(李?)은 청두평원에 큰 영향을 미치는 민(岷)강의 관개시설에 관심이 많았고, 마침내 기원전 256년부터 5년여간 두장옌을 건설했다.
원리는 비교적 간단하다. 강의 중심에 물고기의 주둥이를 닮은 대형 둑을 쌓아 물줄기를 두 가닥으로 분리함으로써 홍수와 가뭄을 동시에 대처할 수 있게 한 것이다. 대형 둑의 좌우는 내강과 외강으로 나뉜다. 홍수 때는 본류인 외강 쪽으로 강물의 60% 이상을 흐르도록 하고, 가물 때는 내강 쪽으로 60% 이상을 흘려보내 거미망 같은 3만여개의 관개수로를 따라 청두평원의 농지에 물을 공급해주는 방식이다. 두장옌의 물을 공급받는 지역은 현재 30여개 현과 시, 6600㎢에 이른다. 이쯤 되니 현지인들이 이빙을 치수(治水)의 신으로 추앙하는 것도 무리는 아니다.
사상 최악의 가뭄에 소양강댐 수몰 지역의 성황당 나무가 38년 만에 모습을 드러냈다고 한다. 소양강댐 수위는 1973년 준공 이후 역대 최저치에 근접한 상태다. 물이 부족해 인천 강화를 필두로 전국 곳곳의 농지가 거북등처럼 갈라지고, 농심은 타들어가고 있다. 한 바가지의 물이라도 더 긷기 위해 이미 마를 대로 말라버린 저수지 바닥을 포크레인으로 긁어내는 모습이 안쓰럽기만 하다.
수천년 동안 마르지 않은 두장옌과 40여년 동안 몇 차례나 바닥을 드러낸 소양강댐을 보면서 물을 대하는 차이를 엿보게 된다. 소양강댐도 처음엔 홍수와 가뭄 대처, 전력생산 등 다목적댐이라는 점을 내세웠다. 홍수를 막는 데는 톡톡한 역할도 했다. 하지만 가뭄에는 속수무책이다. 사실 전국이 바짝 말라가고 있지만 한강을 비롯한 4대강은 여전히 도도하게 흐르고 있다. 소양강댐 이남 청평댐, 팔당댐 등은 물이 가득 차 있다. 농부들로서는 ‘그림 속의 물’일 뿐이다. 예로부터 치수는 제왕들의 가장 큰 관심사였다. 무엇이 제대로 된 치수인지 이번 가뭄을 통해 확실히 알게 된다. 청두평원의 연평균 강수량은 1300㎜로 우리나라와 엇비슷하다.
박홍환 논설위원 stinger@seoul.co.kr
2015-06-18 31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