엊그제 문화체육관광부가 국립현대미술관장 재공모를 하겠다고 했을 때 “역시나” 싶었다. 최근 문체부가 굴러온 사정을 웬만큼만 꿰고 있어도 누구나 그쯤 반응했을 것이다. 일단 여기서부터 문체부는 위기 상황이다. 인사 잡음에 대한 편견의 벽을 너무 높게 쌓아 놨다. 그 다음날 ‘역시나’의 개운찮음에는 쐐기가 박혔다. 관장 최종 후보에 올랐다가 문체부의 철회 통보를 받은 최효준 전 경기도미술관장은 기자들을 모아 놓고 김종덕 문체부 장관을 향해 원색적인 비난을 쏟았다. “자기 편이 아닌 사람을 불신하고 불안해하는 사람은 문화기관의 수장 자격이 없다”는 맹공도 모자라 “문화 사이코 패스”라는 극언을 썼다.
최 전 관장은 4월 초 인사혁신처의 역량평가를 통과해 문체부에 적격자로 통보됐다. 이후 설왕설래 속에 문체부는 임용 결정을 미뤄 왔다. 최 전 관장에 따르면 문체부 쪽에서 취임 준비를 하라는 언질까지 해 놓고 지난 8일 갑자기 임용불가를 통보해 왔다는 것이다. 이에 문체부는 함량 미달 인물을 뽑아 허송세월할 수 없었다고 반박하고 있다.
국립현대미술관장의 인물 적격 여부를 최종 결정하는 건 문체부 장관의 고유 권한이다. 최 전 관장에게 임명장을 줬다가 다음날 이유 없이 도로 뺏은 것이 아니다. 문체부가 절차 자체의 치명적 오류를 범한 건 없다. 문제는 인사를 둘러싸고 계속 돌출되는 잡음에 문체부의 이미지가 아마추어 조직으로 전락했다는 대목이다. 주요 기관장 인사를 할 때마다 통과의례처럼 의심의 눈초리를 퍼붓고 ‘흔들어도’ 될 만큼 만만하게 보여지고 있다. 이런 사실을 문체부 안에서만 모르고 있는 듯하다. 빌미를 차곡차곡 쟁여 준 것도 문체부 자신이다. 지난해 김 장관이 취임한 이후 임명된 문체부 산하 주요 기관장들이 대부분 장관의 모교인 홍익대 출신 아니면 그의 주요 활동 영역이던 디자인 쪽 인사다. 그뿐인가. 지난 2월엔 국립오페라단 단장이 문화계 내부에서 제기된 자격논란 끝에 임명된 지 50여일 만에 결국 제 발로 물러났다. 그 자리는 아직 비어 있다. 문체부의 허술하기 짝이 없는 인사 검증이 불씨였음은 말할 것도 없다.
장관이 국민들 앞에서 사이코 패스란 소리를 듣게 됐다는 건 이유야 어찌 됐건 ‘막가는’ 상황이다. 제 사람을 앉히려는 꼼수를 부렸다는 최 전 관장의 주장이 설령 진실이 아니더라도 이번 일은 장관의 실책이다. ‘인사 잡음 전담반’이란 비아냥이 문체부로 쏠리고 있다. 버선목처럼 속을 뒤집어 보여 줄 능력이 없다면 살얼음판에서 발을 떼듯 인사에 신중 또 신중해야 했다. 아니 땐 굴뚝에서 나는 연기가 무섭거든 솥단지를 걸지 말라. 오얏나무 아래를 지나거든 문체부는 당분간 끈 묶을 갓을 아예 쓰지 않는 게 상책이다. 가뜩이나 메르스에 지친 국민들 정신건강도 좀 고려해 줬으면 한다.
황수정 논설위원 sjh@seoul.co.kr
최 전 관장은 4월 초 인사혁신처의 역량평가를 통과해 문체부에 적격자로 통보됐다. 이후 설왕설래 속에 문체부는 임용 결정을 미뤄 왔다. 최 전 관장에 따르면 문체부 쪽에서 취임 준비를 하라는 언질까지 해 놓고 지난 8일 갑자기 임용불가를 통보해 왔다는 것이다. 이에 문체부는 함량 미달 인물을 뽑아 허송세월할 수 없었다고 반박하고 있다.
국립현대미술관장의 인물 적격 여부를 최종 결정하는 건 문체부 장관의 고유 권한이다. 최 전 관장에게 임명장을 줬다가 다음날 이유 없이 도로 뺏은 것이 아니다. 문체부가 절차 자체의 치명적 오류를 범한 건 없다. 문제는 인사를 둘러싸고 계속 돌출되는 잡음에 문체부의 이미지가 아마추어 조직으로 전락했다는 대목이다. 주요 기관장 인사를 할 때마다 통과의례처럼 의심의 눈초리를 퍼붓고 ‘흔들어도’ 될 만큼 만만하게 보여지고 있다. 이런 사실을 문체부 안에서만 모르고 있는 듯하다. 빌미를 차곡차곡 쟁여 준 것도 문체부 자신이다. 지난해 김 장관이 취임한 이후 임명된 문체부 산하 주요 기관장들이 대부분 장관의 모교인 홍익대 출신 아니면 그의 주요 활동 영역이던 디자인 쪽 인사다. 그뿐인가. 지난 2월엔 국립오페라단 단장이 문화계 내부에서 제기된 자격논란 끝에 임명된 지 50여일 만에 결국 제 발로 물러났다. 그 자리는 아직 비어 있다. 문체부의 허술하기 짝이 없는 인사 검증이 불씨였음은 말할 것도 없다.
장관이 국민들 앞에서 사이코 패스란 소리를 듣게 됐다는 건 이유야 어찌 됐건 ‘막가는’ 상황이다. 제 사람을 앉히려는 꼼수를 부렸다는 최 전 관장의 주장이 설령 진실이 아니더라도 이번 일은 장관의 실책이다. ‘인사 잡음 전담반’이란 비아냥이 문체부로 쏠리고 있다. 버선목처럼 속을 뒤집어 보여 줄 능력이 없다면 살얼음판에서 발을 떼듯 인사에 신중 또 신중해야 했다. 아니 땐 굴뚝에서 나는 연기가 무섭거든 솥단지를 걸지 말라. 오얏나무 아래를 지나거든 문체부는 당분간 끈 묶을 갓을 아예 쓰지 않는 게 상책이다. 가뜩이나 메르스에 지친 국민들 정신건강도 좀 고려해 줬으면 한다.
황수정 논설위원 sjh@seoul.co.kr
2015-06-12 31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