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씨줄날줄] 강냉이죽과 급식빵/정기홍 논설위원

[씨줄날줄] 강냉이죽과 급식빵/정기홍 논설위원

정기홍 기자
입력 2015-03-20 18:12
수정 2015-03-20 18:15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14
경상남도의 학교 무상급식 중단을 놓고 문재인 새정치민주연합 대표와 홍준표 경남지사가 만나 설전을 벌였다. 문 대표가 홍 지사를 향해 “주가 올리기식 무상급식쇼”라고 하자, 홍 지사는 “대안부터 내놓아라”고 맞받았다. 양자 간의 언쟁 속에 정치적 계산이 다분해 보는 입장에선 달갑지만은 않다. 다만 문 대표가 언급한 ‘피란살이 때의 강냉이죽’이 중년들의 없어 배고팠던 시절을 상기시켰다.

강냉이죽은 문 대표가 언급한 6·25 피란살이 때만이 아니라 학교 급식으로 사용됐었다. 강냉이죽 말고 강냉이빵과 밀가루빵도 있다. 우리의 학교급식 제도는 외국의 원조물자가 들어온 1953년에 처음 도입됐다. 대체로 미국의 원조로 도입한 것으로 알려져 있지만 캐나다 정부가 그 해 3월 탈지분유 14만 파운드를 초등학교 결식아동에게 제공한 것이 시작이었다. 이후 유엔아동기금(유니세프)에서 분유 급식을 이어 맡았고 1972년 7월까지 분유 급식은 계속됐다. 60대 중반의 남성은 “큰 드럼통에 든 우유 가루를 줄을 서 타 먹은 기억이 새롭다”고 추억했다.

강냉이죽은 탈지분유를 먹은 적지 않은 학생들이 소화를 제대로 못 시키자 강냉이로 대체해 죽으로 끓여 급식한 것이다. 교사들은 수업 도중에 죽을 끓이는 일도 마다하지 않았다고 한다. 정부는 이를 해소하기 위해 1963년 죽 급식을 접고 빵으로 만들었는데 이것이 강냉이빵이다. 강냉이 급식은 많은 이야기를 쏟아냈다. 생활이 궁핍했던 당시, 상당수 학생들은 집에서 갖고 간 빈 도시락에다 강냉이죽을 듬뿍 받은 뒤 집으로 가져가 가족과 함께 나눠 먹었다. 하지만 죽보다 노릇노릇하게 구워진 강냉이빵의 고소한 맛을 말하는 이가 더 많다. 어린 당시에는 어른 손바닥만하게 보였던 타원형의 강냉이빵 크기는 실제로 가로 10㎝, 세로 5㎝, 두께 5㎝ 정도였다. 초등학생의 눈에는 빵이 훨씬 크게 보였던 것 같다. 이후 정부가 밀가루 분식을 장려하면서 강냉이와 밀가루를 섞은 빵을 급식으로 제공하다가 밀가루빵으로 바꾸었다. 학교의 빵 급식은 1977년 서울에서 대규모 식중독 사고가 나 학생 한 명이 사망하면서 중단된다.

밀가루빵은 신식의 급식빵이었다. 한개씩 따로 나온 게 아니라 한판에 20여개씩 붙어 있어 쪼개서 나눠 주었다. 한반의 정원이 70명을 넘었을 때였으니 세 판을 챙겨도 모자랄 때가 있었다. 교무실에서 빵을 받아오는 반장과 나눠주는 분단장의 권한은 제법 셌었다. 청소당번과 선생님의 심부름을 하면 덤으로 빵을 얻어먹기도 했다. 배식을 받은 빵을 취학 전인 동생에게 준다며 책 보따리에 싸 집으로 달음박질쳤던 추억도 모두가 갖고 있다. 더러 학생 간에 사고팔기도 했다. 빵에 사족을 못 쓰는 요즘의 ‘빵순이’와 ‘빵돌이’들이 그 맛을 알 턱이 없다. 값진 급식 시대의 추억을 갖고 있는 중년들로선 정치인들의 값싼 급식 아귀다툼이 별로 와 닿지 않는다.

정기홍 논설위원 hong@seoul.co.kr
2015-03-21 23면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전북특별자치도 2036년 하계올림픽 유치 가능할까?
전북도가 2036년 하계올림픽 유치 도전을 공식화했습니다. 전북도는 오래전부터 유치를 준비해 왔다며 자신감을 보였지만 지난해 ‘세계잼버리’ 부실운영으로 여론의 뭇매를 맞은 상황이라 유치는 쉽지 않을 것이라는 우려도 있습니다. 전북도의 올림픽 유치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가능하다
불가능하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