독일이 다시 통일을 이룬 1990년대 초반. 통독 과정을 기획 취재하느라 동·서독의 여러 도시를 방문한 적이 있다. 학창 시절 한때 도시계획학도였던 기자에게 무엇보다 인상적인 건 도시마다 고층 빌딩이 많지 않다는 사실이었다. 옛 동독의 고도(古都) 드레스덴이 그랬고, 서독의 임시 수도였던 본도 마찬가지였다.
나중에 알고 보니 엄격한 층고 제한은 독일식 도시계획의 특징이었다. 정밀한 교통 및 환경 영향평가 등을 통해 7층 이상의 빌딩 건축을 여간해서 허용하지 않는 게 오래된 전통이었다는 얘기다. 심지어 공업 도시인 슈투트가르트에선 백여년 전부터 구릉지에 건물을 지을 때는 층고를 2층까지로 제한해 왔다고 한다. 경관을 가리는 일을 막기 위해서였다.
사실 초고층은 유럽보다는 다분히 미국적 건축 양식이다. 필자가 미국의 대도시들을 방문할 때마다 한눈에 들어오는 건 대개 초고층 빌딩들이었다. 뉴욕은 물론이고 시카고·보스턴 등에서도 마천루(摩天樓)들이 이른바 ‘랜드마크’ 구실을 하고 있었다. 이름 그대로 하늘을 찌를 듯 치솟은 마천루들이 도시의 상징 구실을 한다면? 그 도시의 역사성이 그만큼 빈약하다는 방증일 수도 있다. 생각해 보라. 수백 년 된, 고색창연한 건축물들이 즐비한 파리에서 새삼 무슨 랜드마크가 필요하겠는가. 지금은 세계적 명소가 됐지만, 에펠탑 건축 당시 프랑스 국민들 사이에 엄청난 반대 여론이 일었던 이유다.
현대차그룹이 서울 삼성동의 옛 한국전력 본사 부지에 초고층 신사옥 건축을 예고했다. 계획대로라면 115층, 571m로 국내 최고층이라고 한다. 교통영향평가 등을 통한 서울시와의 협의 과정에서 조정될 여지는 있지만, 서울에서 마천루 건축 경쟁이 불붙을 조짐이다. 현대차 측이 잠실의 제2롯데월드보다 높게 짓겠다고 공언했기 때문이다. 더구나 평택으로 이전하는 용산 미군기지에도 50층 빌딩이 8개나 들어설 예정이라니 말이다.
서울은 아름다운 전통 문화가 깃든 고도이지만, 로마나 파리처럼 역사적 랜드마크 건축물이 적은 게 사실이다. 대리석이 아닌 목조 건축의 한계인지도 모르지만. 그래서 서울에도 초고층 랜드마크 빌딩이 몇 개는 필요하다는 주장이 나온다. 빼어난 조망권을 가진 마천루가 도시의 브랜드 가치를 높일 수 있다는 논리다. 그렇다 하더라도 서울과 같은 초과밀 도시를 뉴욕의 맨해튼처럼 마천루의 숲으로 뒤덮이게 하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아 보인다. 초고층 건물이 건립된 곳에는 경기 불황이 닥친다는 뜻의 ‘마천루의 저주’는 미신으로 치부한다고 하더라도 그렇다. 어차피 투입·산출 분석에 따르면 70층 이상은 경제성이 없다고 한다. 더욱이 안전문제나 교통 혼잡 등 부작용이 불거지면 스카이라인을 망치는 것 이상의 재앙이 될 수 있음을 유념해야 할 듯싶다.
구본영 논설고문 kby7@seoul.co.kr
나중에 알고 보니 엄격한 층고 제한은 독일식 도시계획의 특징이었다. 정밀한 교통 및 환경 영향평가 등을 통해 7층 이상의 빌딩 건축을 여간해서 허용하지 않는 게 오래된 전통이었다는 얘기다. 심지어 공업 도시인 슈투트가르트에선 백여년 전부터 구릉지에 건물을 지을 때는 층고를 2층까지로 제한해 왔다고 한다. 경관을 가리는 일을 막기 위해서였다.
사실 초고층은 유럽보다는 다분히 미국적 건축 양식이다. 필자가 미국의 대도시들을 방문할 때마다 한눈에 들어오는 건 대개 초고층 빌딩들이었다. 뉴욕은 물론이고 시카고·보스턴 등에서도 마천루(摩天樓)들이 이른바 ‘랜드마크’ 구실을 하고 있었다. 이름 그대로 하늘을 찌를 듯 치솟은 마천루들이 도시의 상징 구실을 한다면? 그 도시의 역사성이 그만큼 빈약하다는 방증일 수도 있다. 생각해 보라. 수백 년 된, 고색창연한 건축물들이 즐비한 파리에서 새삼 무슨 랜드마크가 필요하겠는가. 지금은 세계적 명소가 됐지만, 에펠탑 건축 당시 프랑스 국민들 사이에 엄청난 반대 여론이 일었던 이유다.
현대차그룹이 서울 삼성동의 옛 한국전력 본사 부지에 초고층 신사옥 건축을 예고했다. 계획대로라면 115층, 571m로 국내 최고층이라고 한다. 교통영향평가 등을 통한 서울시와의 협의 과정에서 조정될 여지는 있지만, 서울에서 마천루 건축 경쟁이 불붙을 조짐이다. 현대차 측이 잠실의 제2롯데월드보다 높게 짓겠다고 공언했기 때문이다. 더구나 평택으로 이전하는 용산 미군기지에도 50층 빌딩이 8개나 들어설 예정이라니 말이다.
서울은 아름다운 전통 문화가 깃든 고도이지만, 로마나 파리처럼 역사적 랜드마크 건축물이 적은 게 사실이다. 대리석이 아닌 목조 건축의 한계인지도 모르지만. 그래서 서울에도 초고층 랜드마크 빌딩이 몇 개는 필요하다는 주장이 나온다. 빼어난 조망권을 가진 마천루가 도시의 브랜드 가치를 높일 수 있다는 논리다. 그렇다 하더라도 서울과 같은 초과밀 도시를 뉴욕의 맨해튼처럼 마천루의 숲으로 뒤덮이게 하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아 보인다. 초고층 건물이 건립된 곳에는 경기 불황이 닥친다는 뜻의 ‘마천루의 저주’는 미신으로 치부한다고 하더라도 그렇다. 어차피 투입·산출 분석에 따르면 70층 이상은 경제성이 없다고 한다. 더욱이 안전문제나 교통 혼잡 등 부작용이 불거지면 스카이라인을 망치는 것 이상의 재앙이 될 수 있음을 유념해야 할 듯싶다.
구본영 논설고문 kby7@seoul.co.kr
2015-02-03 31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