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남 하동의 화개장터는 가수 조영남의 노래로 익히 알려졌지만, 김동리의 단편소설 ‘역마’(驛馬·1948)가 이곳을 배경으로 쓰였다는 사실은 덜 알려져 있다. 소설은 이곳 장터에서의 장돌림들과 주모(酒母) 간의 ‘하룻밤 인연’을 모태로 3대(三代)에 걸친 우연과 운명을 펼쳐 낸다. 줄거리는 이렇다. 주모 옥희의 아들 성기와 남사당패(당시 체장수)의 딸 계연이 사랑을 하게 되지만 ‘한 핏줄’임이 밝혀지는 등 이들 간에 얽힌 이야기가 이어진다. 이윽고 성기는 계연을 뒤로하고 엿판을 멘 채 하동 쪽으로, 계연은 하동을 등진 구례 쪽으로 떠나면서 연을 끝맺는다.
화개장은 볼품없는 산협(山峽)의 일개 장터에 불과하지만, 한때 집산물들이 모여들던 곳이었다. 하동군사(河東郡史)에는 “옛적(조선시대)에 전국 7위의 거래량을 자랑한 큰 시장이었고, 전북 남원과 경북 상주 상인까지 와 중국의 비단과 제주의 생선까지 거래했다”고 적고 있다. 당시 돛단배가 섬진강을 따라 화개장 앞에까지 들어왔고 장날이면 지리산 화전민은 산채를, 구례의 황아 장수는 실과 면경 등 생활용품을, 섬진강 하류의 하동 해물 장수는 거룻배로 소금과 해산물을 실어 날랐다고 한다. 장(場)이 흥하면서 주막이 하나둘 생겼고 ‘떠돌이 삶’을 상징하는 곳으로 자리했다. 장터가 그러하듯 음담패설도 많이 만들어졌다고 한다. 하지만 화개장은 한국전쟁 이후 지리산의 빨치산 토벌로 쇠락의 길로 접어들고 만다.
지금의 화개장터는 2001년에 복원한 것이다. 전통 장옥과 난전, 주막, 대장간 등이 자리하고 있다. 1988년에 가요 ‘화개장터’가 인기를 끌면서 영호남의 지역감정을 해소하는 상징적인 곳으로 인식돼 전국적 명소가 됐다. 노랫말대로 ‘있어야 할 건 있고, 없을 건 없는 곳’으로 자리 잡았다. 지역산을 중심으로 300가지의 먹거리가 거래된다. ‘아랫마을 하동 사람, 윗마을 구례 사람’이 오가니 지역감정이 생길 리 없고, 따라서 영호남 화합 행사도 잇따라 열렸다. 18대 대통령선거 때는 경남과 전남선관위가 ‘깨끗한 선거 기원’ 행사를 이곳에서 열기도 했다.
화개장터에서 어제 새벽에 큰불이 나 80개 점포 가운데 장옥과 장터 명물인 대장간 등 41개의 점포가 홀랑 타 버렸다. 5000만원어치의 약초를 화마에 잃은 영세 상인도 있다고 한다. 시설물 보험엔 가입돼 있지만 타 버린 약초를 보상받게 될지는 판단하기 어렵다니 안타깝다. 상인들의 망연자실한 심정이야 오죽할까만 영호남 교류의 큰 뜻에 생채기가 날까 저어된다. 하동과 구례로 각각 떠난 ‘역마’의 두 연인이 이를 알게 된다면 안타까움은 더할 듯하다.
정기홍 논설위원 hong@seoul.co.kr
화개장은 볼품없는 산협(山峽)의 일개 장터에 불과하지만, 한때 집산물들이 모여들던 곳이었다. 하동군사(河東郡史)에는 “옛적(조선시대)에 전국 7위의 거래량을 자랑한 큰 시장이었고, 전북 남원과 경북 상주 상인까지 와 중국의 비단과 제주의 생선까지 거래했다”고 적고 있다. 당시 돛단배가 섬진강을 따라 화개장 앞에까지 들어왔고 장날이면 지리산 화전민은 산채를, 구례의 황아 장수는 실과 면경 등 생활용품을, 섬진강 하류의 하동 해물 장수는 거룻배로 소금과 해산물을 실어 날랐다고 한다. 장(場)이 흥하면서 주막이 하나둘 생겼고 ‘떠돌이 삶’을 상징하는 곳으로 자리했다. 장터가 그러하듯 음담패설도 많이 만들어졌다고 한다. 하지만 화개장은 한국전쟁 이후 지리산의 빨치산 토벌로 쇠락의 길로 접어들고 만다.
지금의 화개장터는 2001년에 복원한 것이다. 전통 장옥과 난전, 주막, 대장간 등이 자리하고 있다. 1988년에 가요 ‘화개장터’가 인기를 끌면서 영호남의 지역감정을 해소하는 상징적인 곳으로 인식돼 전국적 명소가 됐다. 노랫말대로 ‘있어야 할 건 있고, 없을 건 없는 곳’으로 자리 잡았다. 지역산을 중심으로 300가지의 먹거리가 거래된다. ‘아랫마을 하동 사람, 윗마을 구례 사람’이 오가니 지역감정이 생길 리 없고, 따라서 영호남 화합 행사도 잇따라 열렸다. 18대 대통령선거 때는 경남과 전남선관위가 ‘깨끗한 선거 기원’ 행사를 이곳에서 열기도 했다.
화개장터에서 어제 새벽에 큰불이 나 80개 점포 가운데 장옥과 장터 명물인 대장간 등 41개의 점포가 홀랑 타 버렸다. 5000만원어치의 약초를 화마에 잃은 영세 상인도 있다고 한다. 시설물 보험엔 가입돼 있지만 타 버린 약초를 보상받게 될지는 판단하기 어렵다니 안타깝다. 상인들의 망연자실한 심정이야 오죽할까만 영호남 교류의 큰 뜻에 생채기가 날까 저어된다. 하동과 구례로 각각 떠난 ‘역마’의 두 연인이 이를 알게 된다면 안타까움은 더할 듯하다.
정기홍 논설위원 hong@seoul.co.kr
2014-11-28 31면